-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4-07
- 출처 : KOTRA
-
제조 혁신 이끌 3D프린터 제품과 기술 총망라
점차 커지는 중국 3D프린터 관련 기업들의 존재감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
개최 기간
2025년 3월 17~19일, 총 3일
개최 장소
국가회전중심(NECC, 国家会展中心)
주최 기관
상해만요과신전람회사(上海万耀科迅展览有限公司)
개최 규모
전시 면적: 45,000㎡ 이상
참가 기업: 450여 개사
관람객: 2만5000명 이상
전시 분야
① 3D프린팅 장비 ② 3D프린팅 후가공 장비 ③ 3D프린터 소프트웨어 시스템 ④ 3D프린팅 재료 ⑤ 3D프린터 적층 제조 설비 등
홈페이지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회장 입구>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촬영]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 현장 소개
지난 3월 17일부터 19일까지 총 3일간 상하이 국가회전중심에서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가 개최됐다. 상하이에서 개최된 아시아 최대 규모의 3D프린터 전시회인 만큼, 3D프린팅 관련 기술과 시장 동향을 발 빠르게 확인하기 위한 사람들로 북적였다. 특히 이번 2025년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참가자들이 직접 3D프린팅 기술을 체험해 보거나, 3D프린팅 기업이 제공하는 강연을 들으며 새로운 활동을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것이다.
<3D프린팅 기술을 체험하고, 강연을 듣는 참가자들>
[자료: KOTRA 상하이무역관 촬영]
중국 상하이 3D 프린터 전시회(TCT Asia)는 2015년부터 아시아 최초로 상하이에서 매년 개최됐으며, 이제는 상하이를 비롯한 중국 선전에서도 개최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3D프린터 전시회 명성에 걸맞게 3D프린터 관련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망라했다. 전시회 규모는 두 개관(7.1H, 8.1H) 4만5000제곱미터에 약 450개의 기업이 참가했다. 전시회장은 크게 3D프린터 부대설비, 3D프린터 금속·비금속 재료, 3D프린터 서비스, 3D프린터 바이오(BIO) 기술 분야로 구성됐다. 세부 전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전시회장 구성>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KOTRA 상하이무역관 정리]
현장인터뷰 ①
3D프린팅 재료: 주재료인 플라스틱을 넘어 다양한 금속·비금속 재료 선보여
3D프린팅 기술이 빠른 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공업·기계, 항공·우주, 자동차, 소비품·전자, 의료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3D프린팅 제품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기존 3D프린팅의 주재료인 플라스틱을 사용한 비금속 제품뿐만 아니라, 제조업 현장에 활용될 금속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금속 3D프린팅이 미래 제조업의 주요 발전 방향으로 인식됨에 따라 금속 인쇄의 기반이 되는 금속 분말 재료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한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에서는 3D프린터 재료 구역을 금속 재료와 비금속 재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3D프린팅 재료 전시 구역에서 인기 기업으로 주목받은 기업 중 하나인 ‘허베이이보어(河北依铂)’는 티타늄합금, 고온합금, 알루미늄합금, 구리합금 등을 비롯한 다양한 3D프린팅 금속 재료를 전시했다. 해당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 X 씨는 KOTRA 상하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진공 분무, 전극유도분무 등의 제분기술을 도입해 항공우주 및 자동차 부품 제조, 바이오메디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3D프린팅 재료의 연구개발과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고객의 요구에 맞춘 고품질의 금속분말 제공 서비스와 금속분말 성분 성능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유관 한국 기업과의 협력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허베이이보어(河北依铂) 사의 다양한 3D프린팅 재료>
[자료: KOTRA 상하이무역관 촬영]
현장인터뷰 ②
3D프린터 적층 제조 설비: 대형화된 3D프린터, 1.5m 초과하는 부품 적층 현실화
이번 전시회에서는 중국 3D프린팅 기술 발전의 주요 방향 및 트렌드가 도처에 녹아 있었다. ‘3D프린터의 초대형 빌드 사이즈 및 다중 레이저 시스템’을 통해, 여러 제조업 산업에 필요한 대형 금속제품 양산이 점차 현실과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중국 ‘14차 5개년’ 계획과 2035년 장기 목표 개요(中国“十四五”规划和2035年远景目标纲要)》를 이행하고 3D프린팅 관련 적층 제조가 경제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추천, 전문가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 3D프린팅 스마트 제조 시범 기업을 선정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선정한 기업 중 하나인 ‘화슈가오커(华曙高科)’는 중국의 3D프린팅 선도 기업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이번 전시회에서 ‘FS1521M-U’ 3D프린터를 새롭게 선보였고, 전시회 현장에서 판매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KOTRA 상하이무역관과 인터뷰를 진행한 화슈가오커(华曙高科) 관계자 A 씨는 새롭게 전시된 ‘FS1521M-U’에 최대 32개의 500W 파이버 레이저와 이를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이 탑재돼 이제는 1.5m를 초과하는 금속 제품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전했다. 작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에서 소개한 ‘FS811M’ 프린터와 비교했을 때 16개의 레이저가 더 탑재됐고 적층에 필요한 기술 향상도 이뤄져 더 큰 크기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화슈가오커(华曙高科) 사의 3D프린터와 3D프린터로 생산한 항공기 부품>
[자료: 화슈가오커(华曙高科) 공식 홈페이지, KOTRA 상하이무역관 촬영]
시장 동향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중국 3D프린팅 관련 기업들의 높아진 기술력은 어떤 요인으로부터 기인한 것일까. 중국의 미래산업연구원에 따르면, 3D프린팅 적층 제조 시장의 응용범위 확대와 맞물려 중국의 3D프린팅 산업은 향후 몇 년간 빠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산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3D프린팅 산업 성장 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2025년 시장 규모는 최초로 63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중국은 3D프린팅 산업에서 지난 10년 동안 30배가 넘는 시장 규모 성장을 이룩한 국가가 된다.
<2021~2025년 중국 3D프린팅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억 위안, %)
[자료: 톈펑증권연구소(天风证券研究所)]
성장의 원동력: ①3D프린팅 기업을 향한 적극적 투자
중국상업정보망에 따르면, 2023년 3D프린팅 스타트업에 대해 총 38건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진행됐고, 중국 3D프린팅 산업 투자 규모는 73억3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해 세계 3D프린팅 산업 투자 규모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치다. 2024년에는 3D프린팅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총 32건 진행됐고, 3D프린팅 산업 투자 규모는 37억5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2023년 대비 투자 규모가 작아졌지만, 3D프린팅 산업이 위축됐다고 볼 수는 없다.
2023년 8월 27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단계적 IPO 속도 긴축’을 발표한 이후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 시장에서 94개 기업만이 IPO 상장에 성공했으며, 2023년과 비교했을 때 자금 조달 규모와 상장 기업 수 측면에서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창업시장의 투자 금액과 투자 횟수가 줄어들게 돼 3D프린팅 산업도 이러한 외부 요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증권일보(证券日报)에 따르면, 3D프린팅 산업은 외부 요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시장 규모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 중국 3D프린팅 시장 규모는 최초로 6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24년 중국 3D프린팅 자금조달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난지시옹3D프린팅망(南极熊3D打印网)]
성장의 원동력: ②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핵심 기술 산업이라면 지원을 아끼지 않는 행보를 보여 왔고 3D프린팅 산업도 예외는 아니었다. 2021년 3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중국 ‘14차 5개년’ 계획과 2035년 장기 목표 개요(中国“十四五”规划和2035年远景目标纲要)“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시장에서 중국 제조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핵심기술 육성, △기술 응용 확대, △산업 생태계 구축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설정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3D프린팅 산업이 중국 핵심 발전 분야로 채택됐고 3D프린팅이 활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국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중국 3D프린팅 산업 관련 주요 정책>
발표 시기
발표 기관
정책명
주요 내용
2021년 3월
국무원
중국 ‘14차 5개년’ 계획과 2035년 장기 목표 개요
(中国“十四五”规划和2035年远景目标纲要)
- 제조 산업의 핵심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제조 기술 개발 지원
- 3D프린팅 산업을 향후 핵심 발전 분야로 선정
2021년 12월
공업정보화부
중국 ‘14차 5개년’ 스마트제조 발전계획
(中国“十四五”智能制造发展规划)
- 3D프린팅을 스마트 제조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임을 강조
- 3D프린팅을 응용한 생물의료 분야의 적층 제조 기술 개발 및 응용을 위한 지원책 마련
2021년 12월
공업정보화부,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등 10개 부서
‘14차 5개년’ 의료장비 산업 발전계획
(“十四五”医疗装备产业发展规划)
- 소비자 맞춤형 의료기기 3D프린팅 기술 응용 및 임상 지원
- 생물의학 재료를 활용한 3D프린팅 기술 개발 지원
2023년 6월
공업정보화부 등
5개 부서
제조업 신뢰성 향상 실시의견
(制造业可靠性提升实施意见)
- 2030년까지 핵심 제품의 신뢰성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려 중국의 제조업 신뢰도 제고
- 특히 기계, 전자, 자동차, 3D프린팅 등 산업의 제품 및 기기 장비와 시스템 신뢰도 제고를 위한 지원
2023년 12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업구조조정 지도목록(2024년본)
(产业结构调整指导目录(2024年本))
- 주요 산업을 장려류, 제한류, 퇴출류로 구분
- 3D프린팅 ‘적층 제조’ 연관 산업 장려
2024년 2월
국무원
폐기물 순환 이용 체계 구축을 위한 의견
(国务院办公厅关于加快构建废弃物循环利用体系的意见)
- 3D프린팅 적층 제조 핵심기술의 보급 확대
- 비파괴검사, 유연가공 등 제조 핵심 기술 보급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중국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약진하는 중국 기업들
3D프린터데이터베이스(3D打印资源库)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3D프린터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3개 기업이 중국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대표적인 3D프린터 기업인 BLT(铂力特), 화슈가오커(华曙高科), 차오줘항커(超卓航科)가 각각 2위, 3위, 9위를 기록했다. 중국 내 3D프린팅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전문가들은 중국 신생 기업들과 성과를 내던 기존 기업들의 약진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3D프린터 주요 기업 개요>
기업명
설립 시기
주요 제품
응용 분야
성장 요인
BLT
(铂力特)
2011
금속 3D프린터(SLM),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항공우주, 군수품 등
- 중국 C919 티타늄 부품의 유일한 인증기업, 항공우주 시장 점유율 70% 초과
화슈가오커
(华曙高科)
2009
금속 및 수지 3D프린터,
3D프린팅 복합재료 시스템
신에너지 자동차, 소비자 전자제품 등
- 세계 최초의 ‘금속+광경화’ 이중 기술 양산화
- 2024년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 기업 NIO(蔚来) 및 세계 1위 중국 배터리 제조기업 CATL(宁德时代) 납품 주문량 전년 대비 200% 증가
시앤린 3D
(先临三维)
2004
의료용 3D프린터, 치과 및 정형외과 임플란트 제품
의료 분야
- 중국 유일한 FDA 인증 금속 정형외과 임플란트 업체
- 3차 병원과 임상시험센터 공동 설립
창샹산웨이
(创想三维)
2014
소비자용 FDM 3D프린터
교육 분야, 디자인 설계 등
- 3D프린팅 소프트웨어 연구
- 3D프린터 제조 및 유통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140만 명이 넘는 사용자와 연간 출하량 120만 대 이상이라는 실적 달성
리앤타이커지
(联泰科技)
2000
DLP 3D프린팅 설비, 주얼리 및 치과 맞춤 3D프린팅 설비
주얼리, 자동차 부품, 구강의료 등
- 세계 최초 마이크로미터급 정밀 주얼리 제조 공정으로 구강 의료 디지털 솔루션 시장 점유율 40% 이상 달성
[자료: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시사점
중국은 제조 강국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Intelligently Made in China’를 표명하며 최근 몇 년간 3D프린팅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을 쏟아낸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3D프린팅 산업은 국가 발전 전략 수준으로 격상되며, 이제는 도입 단계를 넘어 미국과 같은 ‘3D프린팅 퍼스트 무버’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진행하는 3D프린팅 전문 인력 양성교육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L 씨를 이번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L 씨는 KOTRA 상하이무역관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중국의 3D프린팅 산업이 굉장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느끼고, 이제는 세계적으로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위치에 올라서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의 경우 여타 3D프린터 전시회와 다르게 많은 기업들이 장비를 전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직접 제품을 출력해 업체들이 보유한 기술력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돼 좋았다고 밝혔다.
한국의 3D프린팅 관련 기업들은 중국의 3D프린팅 산업 시장이 기술 혁신과 적극적인 투자로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파생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또는 소재·공정 등 3D프린팅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로 협력할 수 있는 신(新)성장 분야를 포착해야 할 것이다.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중국공업정보화부(中国工业和信息化部),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난지시옹(南极熊3D打印网), 톈펑증권연구소(天风证券研究所), 3D프린터데이터베이스(3D打印资源库), 중국 증권일보(证券日报) 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중국 상하이 3D프린터 전시회(TCT ASIA)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호주 커피의 수도 멜버른에서 개최된 MICE 2025 참관기
호주 2025-04-04
-
2
2025년 먹거리 트렌드를 한눈에! ‘FOODEX JAPAN 2025’ 참관기
일본 2025-04-04
-
3
민(民)-관(官)-학(學) 협력으로 고속 성장 중인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중국 2025-04-07
-
4
[기고] 연장근무 수당 산정 방법 및 관련 유의사항
중국 2025-04-07
-
5
중국 스마트 농업 산업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
중국 2025-04-07
-
6
중국 공작 기계 산업 및 기술 동향
중국 2025-04-07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