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조선 및 해운산업의 잠재력
- 트렌드
- 인도
- 콜카타무역관 박영선
- 2025-03-28
- 출처 : KOTRA
-
인도 조선업 2030년 세계 10위 진입 목표
인도의 조선업은 일본과 한국 등 주요 경쟁국들의 관심을 받으며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인도 정부는 조선업을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리타임 인디아 비전(MIV) 2030'과 '마리타임 암릿 칼 비전(MAKV) 2047'을 도입하여 2030년까지 세계 10위, 2047년까지 5위권 내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인도는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 0.0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한국이 전체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 조선소들이 2028년까지 생산 일정이 가득 찬 상황에서 인도는 조선 공급망의 중요한 대체국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인도는 7,516km의 해안선과 13개의 주요 항구, 200개 이상의 중소형 항구를 보유하고 있어 해운 산업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인도 영해를 통과하는 화물선이 많아 물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노동 비용이 낮고 제조업 기반이 발전하고 있어 조선업 육성의 잠재력이 크다. 2024년 기준 인도의 조선업 시장 규모는 11억 2000만 달러로, 2033년까지 8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연평균 60%의 성장률을 의미하며, 2022년 9000만 달러에서 급성장한 수치이다.
2023-24 회계연도 동안 인도의 주요 항구들은 8억 1797만 톤(MT)의 화물을 처리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4.45% 증가한 수치이다. 인도의 상품 수출도 4,510억 달러로 증가하면서 조선업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인도 정부는 조선업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계화, 수심 확장, 신속한 화물 처리 등 다양한 조치를 도입하고 있다. 조선업은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도는 자체 기술로 해군 전투함, 잠수함, 순찰함을 건조하며 국방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스코르펜급(Scorpène-class) 잠수함 6척을 건조하여 방위산업의 자립도를 높이고 있다. 조선업은 또한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 성장에 기여하며, GDP의 4%를 차지하고 있다. 해양 관광, 수산업, 항만 물류 개선을 촉진하고, 물류 비용 절감 및 도로·철도 교통량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 조선업은 해양용 강철, 내비게이션 시스템, 추진 장비 등의 원자재와 부품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비용 부담이 크고, 공급망 불안정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인도의 조선업 수입 동향 및 시장 현황
인도는 조선업 원자재와 부품의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총 114억 8000만 달러 규모의 조선 관련 장비를 수입했다. 이는 전년 대비 37.1% 감소한 수치로, 글로벌 경기 침체와 수입 정책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과 싱가포르는 인도의 조선 장비 주요 공급국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중국에서 31억 1000만 달러, 싱가포르에서 27억 5000만 달러 규모의 장비를 수입했다. 그러나 싱가포르에서의 수입량은 전년 대비 47.1% 감소하는 등 시장 변동성이 컸다. 반면 미국과 인도네시아에서의 수입은 각각 115.7%와 57.7% 증가하며 새로운 공급망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각각 70.7%와 22.4%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수입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국내 조선업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 변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경기 둔화, 외환 보유고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 정부는 해외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조선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재정 지원, 친환경 기술 개발, 인프라 현대화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인도의 조선업을 2030년까지 세계 10위권으로 성장시키고, 2047년까지 해상 물동량을 연간 1,300MMTPA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와 함께 조선 금융 지원 정책(SBFAP 2.0)을 통해 2026년까지 조선 계약의 최대 20%를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2024년 현재까지 313척의 선박 주문을 확보하며 총 4040만 달러 규모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35억 9000만 달러 규모의 해양개발기금(MDF)을 조성하여 인도 국적 선박의 비중을 2047년까지 2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친환경 조선업 육성을 위한 정책도 강화되고 있다. 정부는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건조에 대해 30%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 저감 기술 및 친환경 조선소 설립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추진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2025-26 회계연도 연방 예산에서 조선업 및 해운 산업 지원을 대폭 강화했다. 우선 조선소 현대화 및 자동화를 위해 7억 200만 달러를 투입하여 최신 설비 도입과 공정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소의 생산 효율성과 선박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국내 해운 산업 강화를 위해 인도 국적 선박의 점유율을 2047년까지 20%로 확대하는 정책이 시행된다. 이는 외국 선박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해운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해양 기술 개발 및 연구개발(R&D) 투자도 확대되었다. 총 1억 1900만 달러 규모의 예산이 해양 기술 및 조선업 연구개발(R&D) 지원에 배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 및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항만 인프라 현대화도 적극 추진되고 있다. 사가르말라(Sagarmala) 프로그램을 통해 820억 달러 규모의 574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목표는 항만 현대화, 연안 운송 확대, 물류 효율화이다. 이를 통해 인도의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해운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인도의 주요 항구, 조선소 및 산업 전망
인도는 해운 및 조선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항만 인프라 확충과 조선업 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인도에는 12개의 주요 항구와 200개 이상의 중소형 항구가 운영되고 있으며, 해상 물동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제13번째 주요 항구인 바다반항(Vadhavan Port)의 건설이 진행 중이다. 이 항구는 9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며 완공될 경우 세계 10대 항구 중 하나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인도는 중동과 유럽을 연결하는 해상 무역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로는 딘다얄항(칸들라항), 뭄바이항, 자와할랄 네루항(JNPT), 첸나이항, 비샤카파트남항, 콜카타항 등이 있다. 이들 항구는 인도의 해운 산업 중심지로 국가 전체 무역 물동량의 상당 부분을 처리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사가르말라(Sagarmala) 프로젝트를 통해 항만 인프라를 현대화하고 있으며 물류 비용 절감을 위해 항구 운영 자동화 및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안 운송을 확대하고 항만과 철도 및 도로 연결망을 개선함으로써 인도를 해상 물류 허브로 전환하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인도의 조선업은 공공 및 민간 조선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형 선박 건조와 해군 전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공공 조선소로는 마자곤 독 조선소(MDL), 코친 조선소(CSL), 힌두스탄 조선소(HSL), 가든 리치 조선소(GRSE) 등이 있다. 마자곤 독 조선소는 해군 전투함과 잠수함 건조를 담당하며 스코르펜급(Scorpène-class) 잠수함과 구축함, 프리깃을 제조하고 있다. 코친 조선소는 상업용 선박과 해군 함정을 건조하며 친환경 선박 및 전기 하이브리드 선박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힌두스탄 조선소는 8만 DWT급 대형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해군 및 상업용 선박 제조뿐만 아니라 선박 수리 및 개조도 수행하고 있다. 가든 리치 조선소는 해군 함정 및 해안경비대 선박을 건조하며 방글라데시와 모리셔스 등 해외 수출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민간 조선소 중에서는 L&T 조선소, 릴라이언스 네이벌 & 엔지니어링(RDEL), ABG 조선소, 티타가르 마린(Titagarh Marine Ltd) 등이 인도 조선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L&T 조선소는 첸나이 카투팔리에 위치하며 해군 및 상업용 선박을 제조한다. 릴라이언스 네이벌 & 엔지니어링은 인도 최초의 민간 해군 선박 제조업체로 대형 군함 및 상업용 선박 건조를 수행하고 있다. ABG 조선소와 티타가르 마린은 국내 및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다양한 선박을 건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민간 조선소로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 조선소의 현대화와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도 조선업이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해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인도의 조선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금융 조달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조선 금융 지원 정책(SBFAP 2.0)을 강화하고 추가적인 금융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조선업체들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숙련 노동력 부족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인도의 노동 비용은 저렴하지만 생산성이 낮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조선업 특화 기술 교육과 숙련 노동자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는 산학 협력 프로그램과 기술 훈련 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술 격차와 원자재 수입 의존도도 조선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인도는 해양용 강철, 추진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비 등 핵심 부품의 70% 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공급망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한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제도를 도입하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조선업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현재 인도는 중국, 한국, 일본과 비교해 국가 차원의 조선업 보조금과 금융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해외 투자 유치, 기술 협력 확대, 무역 협정 강화를 통해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의 입지를 높이려 하고 있다. Navnautik Technical Services사의 프로젝트 및 사업개발 총괄매니저인 아니루드 센(Aniruddh Sen)에 의하면 인도의 조선업은 대형 공기업(PSU)과 소규모 민간 조선소로 나뉜다. 민간 조선소들은 5,000~7,000DWT급 대형 선박 건조에 도전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 부족으로 성장 속도가 더디다. 정부는 친환경 연료 선박에 20% 보조금을 지원하지만 대규모 조선 장비 제조 시설이 부족하고 원자재에 대한 높은 관세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부 입찰 기회는 있지만 민간 조선소들은 대형 계약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사점
인도의 조선업은 정부의 지원 정책과 해외 투자 유치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세계 10대 조선업 국가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금융 조달 문제, 숙련 인력 부족, 기술 격차 및 원자재 수입 의존 등의 과제가 존재하며 이를 해결해야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인도정부는 금융 지원 확대, 기술 개발 촉진, 친환경 조선업 육성, 인프라 확충 등의 정책을 통해 조선업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향후 10~20년 내에 인도 조선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위해 민간 부문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혁신이 필수적이며 국제 조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국제적으로 조선업에 경쟁력을 갖춘 국내기업들은 성장하는 인도시장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경쟁 및 협력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자료: IBEF, Business Standard, Money Control, Maritime Gateway, Indian Trade Portal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조선 및 해운산업의 잠재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LNG 패권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우리 기업의 기회는?
미국 2025-03-28
-
2
미래를 바꾸는 미국 안티에이징 시장 트렌드
미국 2025-03-28
-
3
중국은 ‘무설탕 음료’ 전성시대
중국 2025-03-28
-
4
'공업의 조미료' 안티모니, 수출규제로 살펴본 중국 공급망 동향
중국 2025-03-28
-
5
이집트 페인트 시장, 느리지만 꾸준한 성장 예상
이집트 2025-03-28
-
6
독일 방산 스타트업, 새로운 성장 시대... K-방산 스타트업에도 기회있다
독일 2025-03-26
-
1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2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3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4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5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
-
6
2023년 인도 전기자동차 산업 정보와 현지 동향
인도 202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