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만 정부 2025년 예산안 발표
- 경제·무역
- 오만
- 무스카트무역관 이슬아
- 2025-02-14
- 출처 : KOTRA
-
배럴당 60달러, 100만 1000배럴/일 생산을 지표로 하여 예산 편성, 변동성이 큰 석유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의지 강조
재정적 지속 가능성과 사회 복지를 유지하며 공공부채 비율을 줄이기 위한 긍정적인 조치 채택
최소 3%의 성장률을 달성하고, 지역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면서 재정 지속 가능성 계획 이행 완료를 위한 편성
2025년 예산안 개요
오만 국왕 하이쌈 빈 타리크 알 사이드는 2025년 1월 1일 왕령 1/2025을 통해 2025년도 오만 예산을 비준하였다. 오만의 2025년 예산은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FDP, Five-Year Development Plan 2021-2025)에 기반한 마지막 예산안으로, 지정학적,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국제 환경 속에서 5개년 개발 계획과 정부의 재정 지속 가능성 이니셔티브를 계속 이행 해나갈 예정이다. 2025년 예산은 ①주정부 개발 프로그램 시행 지원, ②최소 3%의 경제 성장률 달성, ③재정적 지속 가능성 계획 이행 완료, ④공공 및 민간 부문 고용 계획 지속, ⑤기본 정부 사회 서비스의 품질 유지, ⑥디지털 혁신 프로그램을 통한 제도적 성과 완료, ⑦전기, 수도, 연료, 기본 식료품 및 기타 서비스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지속적 제공, ⑧도시 이동 지원과 더 많은 시민의 주택 소유 지원, ⑨전 사회적 보험 혜택 및 사회 보호 제공 등을 목표로 한다.
2025년 회계연도의 국가 일반 예산은 전년과 같이 공공 재정이 유가 변동과 국제 정세, 특히 지정학적 사건과 같은 국제 변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기초와 가정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2025년 예산안 내 재정수입은 전년 예산안 대비 1.5% 증가한 111억8000만 오만 리알(209억6800만 달러)로 평균 유가 배럴당 60달러, 일평균 원유생산량 1,001,000배럴에 기반을 두어 편성되었다. 이 중 석유 관련 수입은 58억3000만 리알(151억5800만 달러)로 전체 재정수입의 약 52.1%를 차지하고, 가스 수입은 17억7700만 리알(46억2000만 달러)로 전체 재정수입의 약 15.9%로 석유·가스 수입이 전체 재정수입의 약 68%를 차지한다. 그 외, 경상수입 등을 포함한 비석유 수입이 35억7300만 오만 리알(92억9000만 달러)로 전체 재정수입의 32%를 차지한다.
공공 지출은 전년도 예산안 대비 1.3% 증가한 118억 오만 리알(306억8000만 달러)로 편성되었다. 경상지출은 전년 대비 0.2% 감소한 85억5500만 오만 리알(222억4300만 달러)로 전체 지출의 72.5%이며, 보조금 등 사회 복지 관련 지출이 14.1%를 차지한다.
<2024/2025년 예산안 요약 비교>
[자료: Oman Ministry of Finance 자료 기반 무역관 재작성]
<2025년 오만 예산안 세부 내용 비교>
(단위: 백만 달러, %)
주: 1 OMR = 2.6 USD 적용
2025 편성 예산
2024 편성 예산
유가($/배럴)
$60
$60
일평균 원유생산량
(천 배럴)
1,001
1,031
편성 금액
비중
(%)
‘24
예산 대비(%)
편성 금액
비중
(%)
수입
석유
15,158
52
(1.4)
15,379
54
가스
4,620
16
12.8
4,095
14
그 외 수입
9,290
32
1.9
9,152
32
총수입
29,068
100
1.5
28,626
100
지출
방산 및 보안
7,982
26.0
-
7,982
26.4
정부 부처
11,882
38.7
2.6
11,578
38.2
공채상환
2,379
7.8
(12.9)
2,730
9.0
정부 부처개발비
2,340
7.7
-
2,340
7.7
사회 보장 보호 보조금
1,500
4.9
3.0
1,456
4.8
주택보조금
190
0.6
32.7
143
0.5
전력 보조금
1,352
4.4
13.0
1,196
4.0
기타 보조금
1,066
3.5
(2.8)
1,097
3.6
채무 상환 준비금
1,144
3.7
10.0
1,040
3.4
개발 프로젝트
624
2.0
0
624
2.1
국내외 기관 참여비
221
0.7
112.5
104
0.3
총지출
30,680
100
1.3
30,290
100
재정수지
(1,612)
-
(3.1)
(1,664)
-
재정적자 발생 시 조달계획
국내∙외 차관
572
35
-
624
38
국가 준비금
1,040
65
-
1,040
62
[자료: Ministry of Finance 참고 무역관 재작성]
2025년 재정수입
2025년 재정수입은 2024년 편성안 대비 1.5% 증가한 111억8000만 오만 리알(290억6800만 달러)이 편성되었다. 석유와 가스 수입이 각각 52%, 16%로 정부 전체 수입의 68%를 차지하며, 편성안 내 석유 수입은 전년 예산안 대비 1.4% 감소했지만, 가스 수입과 비석유 수입은 전년 예산안 대비 각각 12.8%, 1.5% 증가했다.
2025년 예산안은 전년과 동일한 배럴당 60달러에 기반을 두어 산정되었으나, OPEC+ 감산 결정 연기 등으로 하루 평균 석유 생산량은 전년 대비 2.9% 감소한 일 1,001,000배럴이 기준이다. 가스 판매 수입의 증가 원인은 전반적인 가스 판매량 증가와 약 3% 인상된 가스 판매 가격에 기인했으며, 비석유부문 수입 증가는 부가가치세, 특별소비세, 법인세 등의 세수 증가와 정부 서비스 비용 등에 기인했다.
2025년 예산안에 따르면 부가가치세 및 특별소비세 관련 세수는 6억8000만 오만 리알, 법인세 수입은 6억5600만 오만 리알로 전년 예산안 대비 각각 5.4%, 4.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2000년~2025년 예산안 내 재정 수입구조 변화>
[자료: Oman Ministry of Finance]
2025년 재정지출
2025년 예산안 내 총 재정지출은 전년 예산안 대비 1.3% 증가한 118억 오만 리알(306억8000만 달러)이 편성되었다. 경상지출은 전년 대비 0.2% 감소한 85억5500만 오만 리알(222억4300만 달러)로 전체 지출의 72.5%를 차지하며, 보조금 등 사회 복지 관련 지출이 13.4%를 차지한다.
경상지출 중 35.9%는 군경 고용을 비롯한 방산 관련 지출이며, 53.4%는 정부 부처 관련 지출, 10.7%는 부채 상환 비용으로 편성되었다. 방산 관련 지출은 전년과 동일한 30억7000만 오만 리알이 편성되었다. 정부 부처 관련 지출은 전년도 예산안 대비 2.6% 증가한 45억7000만 리알이 편성되었는데, 이러한 인상의 주원인은 2015년~2016년 배치된 직원의 연공서열 승진 비용 및 정기 수당 관련 비용, 정부 단위 목표 및 프로그램 이행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 민간 부문 기업에 대한 미납금 정산에 따른 것이다.
공공부채 상환 비용은 경상지출의 10.7%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전년 예산안 대비 12.8% 감소한 9억1500만 오만 리알이 편성되었는데, 이러한 감소의 주원인은 오만 정부의 지속적인 부채 관리와 공공부채 감소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 평가된다.
예산안에 포함되는 보조금 및 개발, 참여금 관련 지출에는 사회 보호 시스템, 전력 보조금, 물 및 폐수 보조금, 준비금 등이 포함된다. 해당 부문에는 전년 예산안 대비 7.7% 증가한 23억4500만 오만 리알이 편성되었는데, 인상분의 대부분은 전기 부문과 주택 부문 보조금 증가에 기인했다.
개발 지출은 전년과 동일한 9억 오만 리알이 편성되었으며, 이 중 4400만 오만 리알은 주정부 개발에, 5000만 오만 리알은 민간 부문 오만인 고용 확대에 편성되었다. 개발 지출 중 사회 복지와 인프라 부문에 각각 42%, 36%가 편성되어 오만 정부의 주요 국가 목표가 국민 복지 향상과 인프라 개발에 있음을 알려준다. 개발지출에 기반한 2025년 시행 예정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다.
<2025년 시행 예정 개발 프로젝트>
부문
주요 프로젝트
교육
- 20개의 공립학교 건설
- 22개 공립학교 건설을 위한 입찰
- 56,000건 이상의 현지 및 해외 장학금 제공
- 수르와 이브리 지역 기술응용과학대학(UTAS) 추가 건물 건설
- 해외 유학생 150명에게 5년간 장학금을 지급하는 Rowad Oman 프로그램의 이행
- 공립학교 에어컨 45,000대 이상 교체
의료
- 9개의 정부 병원 완공(Sultan Qaboos Hospital in Salalah, Al Suwaiq Hospital, Samail Hospital, Khasab Hospital, Mahout Hospital, Al-Falah Hospital, Al-Namaa Hospital, Madha Hospital, Wadi Bani Khalid Hospital)
- 국립 여성 건강 센터의 컨설팅 서비스 입찰
- 중앙 공중보건 실험실 완공
- 국립 가상 건강 센터 건설 시작
- 당수치 측정을 위한 전자 센서 및 인슐린 펌프 구매
문화, 스포츠
- 오만 문화 단지(Oman Cultural Complex) 완공
- 클럽 및 스포츠 단지 재건
- 2025 오사카 엑스포 참여
주택, 도시계획
- 술탄 하이쌈 도시 인프라(1단계) 완공
- 수해 등 기후 영향권 내 주택의 완공
- 1,200건의 적격 사례 대상 주택보조금 지급
도로
- Muscat Expressway 확장
- Khasab-Dibba-Lima 도로 완공
- Al Sharqiyah Expressway 완공
- Al Ansab-Al Jifnain 도로 이중화 프로젝트 완공
- Adam-Thumrait 이중화 프로젝트 완공
- 주(州) 내부 도로망 개선
농수산수자원
- Wadi Al-Zuhaimi 댐, Wadi Al Khoud, Wadi Al-Ansab 완공
- Dibba 어항(漁港) 개발
- Mahut 항구 건설 시작
- Wadi Adai 댐, Wadi Sal 댐 완공
- Masirah Port 건설 시작
관광
- 오만 식물원(Oman Botanical Garden) 완공
- Hawiyat Najm Part 부지 개발
- Al Ashkharah 해안가 개발
사회 복지
- 사회 보호 혜택 지급 완료
- 사회 보장 프로그램 지속
[자료: Oman Ministry of Finance]
2025년 재정적자
예산안에 따른 재정적자는 전체 수입의 6%, GDP의 1.4% 수준인 6억2000만 오만 리알로 전년 예산안 6억4000만 오만 리알 대비 3.1% 감소했다. 단, 2023년 예산 결과는 실제 예산안 대비 9억3100만 오만 리알의 흑자가 발생했고, 2024년 예산안 예비 결과 또한 수입과 지출이 예산안 대비 각각 15%, 4% 증가하여 약 5억4000만 리알의 흑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오만이 계속해서 보수적인 예산 편성을 통해 재정적자 감소를 우선하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예산안의 적자가 실제 재정적자로 이어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2025년 예산안 내 적자가 발생하면 외부 및 국내 차입을 통해 2억2000만 오만 리알(35.5%)을 조달할 예정이며, 약 4억 오만 리알(64.5%)은 예비비를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2025년 투자계획과 PPP 프로젝트
오만투자청(OIA)과 산하기관은 2024년 승인 금액 12억4000만 오만 리알(32억2400만 달러)에서 44% 증가한 18억 오만 리알(46억8000만 달러)을 투자할 예정이다. 또한, 에너지개발오만(EDO)은 석유와 가스 생산 투자 프로젝트에 약 15억 오만 리알(39억 달러)을 기여할 예정이다.
오만 재무부는 다수의 프로젝트를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협력사업) 형태로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 계속 진행 중이거나 계획된 PPP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다.
<2025년 진행 중이거나 계획된 PPP 프로젝트>
부문
세부 내용
교육
- 공립학교 버스 관리, 운영 및 개발 프로젝트
의료
- Sohar 재활 센터 프로젝트
- 무스카트, 북 알 바티나, 남 알 바티나 주의 진단 서비스 관리, 운영 및 개발
- 무스카트, 북 알 바티나, 남 알 바티나 주의 보건 시설 유지와 관리
- 의료 공급망 프로젝트
교통통신기술
- Oman Business Platform 프로젝트
정부 건물
- 상공투자촉진부 신사옥 건설(Oman Business Portal)
[자료: Oman Ministry of Finance]
국가 신용등급
오만은 재정 및 경제 상태를 강화하고, 재정 의무를 관리하며, 공공부채를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가 신용 등급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오만 경제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를 강화하여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경제 부문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024년 12월 피치는 오만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조정하고, 신용 등급을 BB+로 확정했다. 이러한 변화는 공공 및 국영기업(SOE)의 부채를 줄이고 재정 개혁을 시행하며 순 국외 자산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반영한 것이다. 피치는 재정 건전화 조치가 유지되고, GDP 대비 공공부채가 감소하고, 비 탄화수소 수입이 증가하고, 외화 보유고가 증가하면 오만의 신용 등급이 더 향상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24년 9월 스탠더드앤푸어스(S&P)는 오만의 신용 등급을 기존 BB+에서 BBB-(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하며 유가 위기로 인한 수년간의 신용 등급 강등 이후 투자 등급 지수로의 복귀를 알렸다. 이번 등급 상향 조정은 오만의 재정 실적 개선, 재정 흑자 달성, 공공부채 감소를 반영한 것이다. S&P는 오만 정부가 비 탄화수소 수입 증가와 공공 지출의 효율성 개선에 초점을 맞춘 재정 관리 전략을 계속 이행한다면 향후 2년 동안 추가적인 개선이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한다.
2024년 8월 무디스는 오만의 신용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조정하고 신용 등급을 Ba1으로 확정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공공부채의 지속적인 감소와 석유 수입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무디스는 오만 정부의 공공부채 관리 전략이 대외 부채 리스크를 완화하고 오만의 재정 상태를 강화하여 긍정적인 성과와 안정적인 외화 보유고를 달성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2016년~2024년 오만 신용 등급 변화>
신용평가기관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무디스
BAA1
BAA2
BAA3
BA1
BA3
BA3
BA3
BA1
BA1
S&P
BBB-
BB
BB
BB
B+
B+
BB-
BB+
BBB-
피치
-
BBB-
BB+
BB+
BB-
BB-
BB
BB+
BB+
[자료: Ministry of Finance]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과 2025년 예산안 비교
2021~2024년 회계연도 국가 일반 예산의 재무 데이터에 따르면 오만의 재정 성과는 공공 지출 통제, 비 탄화수소 수입 증가, 유가 개선 등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2021년 예산의 재정적자는 12억2300만 오만 리알로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의 재정 프레임워크에 명시된 22억4000만 오만 리알 대비 감소했다. 또한, 2022년 및 2023년 예산은 각각 11억4600만 오만 리알, 9억3600만 오만 리알의 흑자를 달성했다. 2024년 예산의 예비 결과는 재정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오만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반영하고 있으며, 예산편성안의 5억4000만 오만 리알의 적자 대신 1억6500만 오만 리알의 흑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회계연도 일반 예산은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의 재정 프레임워크에서 승인된 6억5000만의 흑자 대신 6억2000만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적자는 OPEC+의 감산 결정에 따른 평균 석유 생산량 감소 등을 포함한 다수의 요인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공공 재정 지표, 국가 재정 상태 및 민간 부문에 대한 인센티브 개선으로 특정 정부 이니셔티브가 연기된 것도 이러한 적자에 기여했다.
일례로 오만 재무부 술탄 살림 알 합시 장관은 2025년 예산 발표 기자회견에서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에 명시된 개인소득세 도입 결정이 아직 내려지지 않았음을 발표했으며, 부가가치세 인상 부문 또한 가까운 시일 내 도입 계획이 없음을 발표했다. 오만 개인 소득세법은 월급 6500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에게만 선택적으로 도입될 예정으로 도입 시 해당 개인소득세에 영향받는 인구는 오만 인구의 약 1%로 전망되고 있다.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 내 적자 규모와 실제 예산 비교>
(단위: 천 배럴/일, $/배럴, 백만 오만 리알)
항목
단위
2021
2022
2023
2024
2025
계획안
실제
계획안
실제
계획안
실제
계획안
예비 결과
계획안
예상
평균석유생산
천 배럴/일
960
966
1,107
1,060
1,133
1,051
1,140
1,001
1,140
1,001
평균 유가
$/배럴
45
61
45
94
50
82
50
82
50
60
수입
백만 OMR
8,640
11,195
9,940
14,473
10,815
12,542
11,315
12,674
11,500
11,180
지출
백만 OMR
10,880
12,418
11,150
13,329
11,420
11,606
11,480
12,134
11,435
11,800
(적자)/흑자
백만 OMR
(2,240)
(1,223)
(1,660)
1,146
(605)
931
(165)
540
65
(620)
[자료: Oman Ministry of Finance]
시사점
오만의 2025년 예산은 전략적 균형에 중점을 두고 사회 복지 지원을 강조하는 동시에 재정적 책임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25년도 전년도와 같이 석유 제품, 전기, 수도, 폐수 처리와 같은 주요 부문은 사회 보호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이니셔티브와 함께 정부 보조금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금 제도의 폐지는 오만의 재정 개혁을 위해 다년간 논의되었으나 고유가에 힘입어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오만 정부가 재정 개혁보다 사회적 안정에 계속해서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단기적으로 사회적 안정을 강화하지만, 재정 개혁이 계속해서 지연되면 장기적으로 재정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오만의 예산 편성 기준 유가는 배럴당 60달러나 평균 유가가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에 따라 전년과 같이 재정적자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은 정부의 장기 개발 계획에 따라 필수 인프라와 사회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가능케 하고 있다. 또한, 오만 정부는 대출을 보다 비용 효율적인 조건으로 재구조화하여 공공부채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경제 회복력을 높이며 재정 개혁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반대로, 유가의 지속적인 하락 시 발생할 수 있는 수입 감소와, 높은 국방비와 과잉 인력의 고정 인건비, 신규 보조금 제도 도입 등에 따른 지출 증가 등을 2025년 예산안의 한계와 불확실성으로 꼽을 수 있겠다.
오만 정부는 교육, 의료, 인프라 등의 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탈 석유산업을 위한 경제 다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러한 경제 다각화 노력은 산업 기만 확장을 통해 오만 정부의 오랜 문제인 청년 실업률을 완화하고, 민간 부문 활성화를 촉진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오만의 국가 신용 등급의 향상, 나아가 오만의 외국인 투자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자료: Ministry of Finance, KPMG, 현지 언론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오만 정부 2025년 예산안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3자무역 실무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통상정책 활용 방법
중국 2025-02-14
-
2
[기고] 워킹 홀리데이로 캐나다 간호사 도전하기, 현직 캐나다 간호사가 전하는 팁
캐나다 2025-02-14
-
3
쿠웨이트 관세청, 12자리 HS Code 도입
쿠웨이트 2025-02-13
-
4
2024년 베트남 수출입 동향
베트남 2025-02-17
-
5
2024년 브라질 무역통계 분석
브라질 2025-02-17
-
6
2025년 호주 정부의 디지털 미래를 향한 투자, NBN 업그레이드 계획
호주 2025-02-14
-
1
2024년 오만 석유산업 정보
오만 2024-12-20
-
2
2021년 오만 의료산업 정보
오만 2021-10-08
-
3
2021년 오만 관광산업 정보
오만 2021-10-05
-
4
2021년 오만 석유가스산업 정보
오만 2021-09-17
-
5
2021년 오만 유통 산업 정보
오만 2021-09-13
-
6
2021년 오만 산업 개관
오만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