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호주 정부의 디지털 미래를 향한 투자, NBN 업그레이드 계획
- 트렌드
- 호주
- 시드니무역관 이정아
- 2025-02-14
- 출처 : KOTRA
-
호주 정부, 전국 인터넷 광케이블 전면 교체 가속화
초고속 인터넷망 업그레이드로 기대되는 인터넷 환경 개선 및 경제 효과 증가 기대
호주 정부의 NBN 인프라 개선 예산안 발표
2025년 1월 신년을 맞은 알바니즈 총리는 38억 호주 달러(약 25억 달러) 규모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그는 빠르고 안정적이며 저렴한 인터넷은 현대 경제의 필수 구성 요소라고 언급했으며, 연결성은 국가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을 가능하게 하며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밝혔다. 자체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FTTN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은 향후 10년간 누적적으로 104억 호주 달러(약 67억6000만 달러)의 GDP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개별 가정은 더 빠른 광대역에 액세스하기 위해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과 비용을 연간 100시간 이상, 2580 호주 달러(약 1650달러) 이상 절약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이 완료되면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94% 이상의 사업장(1100만 개 이상의 가정과 기업)에서 최대 1G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연결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새로운 FTTN 업그레이드는 2030년까지 약 62만2000개의 추가 건물에 더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2024년 호주 브로드밴드 인터넷 속도 비교 표>
(단위: mbps)
[자료: SBS.com.au, 2024.7.27.]
이런 정부에 발표에는 호주 인터넷 속도가 다른 선진국 국가들에 현저히 낮은 점에서 시작된다. 호주는 SBS의 세계인터넷 속도 순위표에 따르면, 호주는 82위로 10등 국가들과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륙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국가들도 포진하고 있어 호주도 충분히 극복 가능한 수치로 보이며, 이번 호주 정부의 투자로 인해 광역망, 인프라 사업 및 호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NBN이란?
국가 광대역 네트워크(NBN, National Broadband Network)는 호주 전역의 가정과 기업에 초고속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정부 주도 사업이다. 이는 호주 통신 기반 시설을 개선하고 도시와 지방을 막론하고 모든 국민이 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NBN은 구리선과 광케이블을 혼합한 다양한 기술 혼합(MTM, Multi-Technology Mix) 방식을 채택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내 광케이블(FTTP), 노드 광케이블(FTTN), 연석 광케이블(FTTC), 하이브리드 광동축(HFC), 고정 무선 및 위성(스카이 머스터) 등의 기술이 활용되며, 이러한 다양한 기술들을 통해 NBN은 각기 다른 지리적 환경과 기존 기반 시설 조건에 최적화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한다.이는 2000년대부터 진행된 한국의 광대역 인터넷 사업의 호주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광대역 사업과 다른 주요한 부분이 있다면, 호주는 지리적으로 넓고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 많아 비용적인 부분을 고려해 구리망과 케이블망을 일부 활용해 비용을 절감시켰다. 반면에 인구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은 적은 비용으로 고속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했던 게 주요하게 작용했다.
광섬유 케이블이란?
광섬유 케이블은 전기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해 머리카락 굵기의 유리 섬유나 플라스틱 같은 물질을 통해 전송하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이러한 케이블은 투명 절연체(유리, 플라스틱)를 가늘고 길게 뽑아 만든 광섬유를 심선으로 사용해 부피와 무게가 작고 구리선에 비해 외부 전파 간섭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존 구리선 등 다른 유선 전송 매체에 비해 넓은 대역폭을 제공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뛰어나 최근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시장 동향 및 수입 규모
위와 같은 뉴스들로 인해 호주의 광섬유 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래의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Horizon Grand View Research의 광섬유 케이블 생산업 시장 보고서(Fiber-Optic Cable Market value, 2023)에 따르면, 2023년 전체 광섬유 케이블 생산업 시장규모는 약 1억3430만 달러며, 2030년까지 전체 시장규모는 약 2억8380만 달러로 2023년 대비 11.3%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2018~2030년 호주 광섬유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Horizon Grand View Research, 2023]
2023년 주요 수입 국가 순위로는 중국 멕시코가 주를 이루며 뒤를 이어 미국, 폴란드, 인도, 한국 순으로 수입이 형성돼 있다. 2023년 독보적인 1위 수입국인 중국산 제품의 작년 수입액은 약 65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시장의 2위부터 10위까지의 국가에 비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2023년 호주의 광섬유 수입국 순위>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수입 금액
1
중국
64,541
2
멕시코
18,454
3
미국
8,536
4
폴란드
7,368
5
인도
6,398
6
한국
6,098
7
체코
4,725
8
일본
4,028
9
독일
2,098
10
태국
2,463
[자료: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2023]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2023)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호주로 수출 규모는 약 609만 달러 규모로 상위 5개국보다는 수출량이 적은 편이지만, 시장규모가 성장하는 만큼 수출 점유율이 확대될 수 있다.
관세
관세는 수출국의 입장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 중의 하나다. 호주와의 지속된 FTA 관계에 따라 HS 코드 8544.70에 해당하는 제품(광섬유)은 호주로 수출 시 관세가 0%로 적용된다. 다만 FTA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이 FTA에서 정한 원산지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제품의 HS 코드를 정확히 확인하고,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우리 기업들은 수출입 전에 해당 절차를 철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사점사물인터넷(IoT) 기반 연결 기기(Connected devices) 분야의 비약적인 성장과 초고속 인터넷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지금까지 무선통신 및 케이블 업계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지속적인 투자를 해왔고, 이는 그 대표적인 수요 품목인 광섬유 케이블 시장에 꾸준한 호조로 작용해 왔다. 그리고 이번 호주 정부의 투자 뉴스들로 인해 앞으로 더욱 성장 가능한 시장이라고 여겨진다.
호주 전선 및 광섬유 수출 업계 H 회사의 관계자는 KOTRA 시드니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전선과 광섬유 케이블은 향후 증가하는 전기 소모량과 5G 기술을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에 성장으로 인해 향후 5년 동안에도 설치 업계로부터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측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서, 이미 진출한 기업이나 진출을 계획하는 업계 관계자들은 해당 이슈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출 전략 수립 시 이를 반영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
자료: IBIS World,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관세법령정보포털(CLIP),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Horizon Grand View Research, SBS.com.au, FTA.GO.KR, KOTRA 워싱턴 무역관 경제통상 리포트,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KOTRA 시드니 무역관 자료 종합<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호주 정부의 디지털 미래를 향한 투자, NBN 업그레이드 계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셀럽 뷰티·젠지 공략…최신 미국 뷰티 트렌드
미국 2025-02-17
-
2
꽁꽁 언 지갑이 열린다, 중국 소비자를 사로잡은 패션 시장
중국 2025-02-14
-
3
캐나다 농업의 미래, 첨단 기술이 이끄는 혁신
캐나다 2025-02-17
-
4
황금기를 맞이한 중국 복합소재시장, 탄소섬유를 주목하라
중국 2025-02-14
-
5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스포츠 관광산업, 스포츠 투어리즘
인도네시아 2025-02-17
-
6
베트남 디지털 전환 본격 추진... 5G·AI·핀테크 등 성장 기회 확대
베트남 2025-02-17
-
1
2024년 호주 광업 산업 정보
호주 2024-12-13
-
2
2024 호주 수소산업 정보
호주 2024-04-24
-
3
2021년 호주 광업 정보
호주 2022-01-04
-
4
2021년 호주 의료기기 산업 정보
호주 2021-12-27
-
5
2021년 호주 인프라 산업 정보
호주 2021-12-27
-
6
2021년 호주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호주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