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조미김 시장 동향
  • 상품DB
  • 인도
  • 콜카타무역관 박병국
  • 2024-07-31
  • 출처 : KOTRA

김 시트 및 스낵 등 인기, 시장성장 초기 단계로 성장세 기대

상품명 : 김, 미역, 기타 해조류(HS CODE 121221)

           * 해당 HS CODE로 분류되는 제품이 다양하기 때문에 조미김을 중심으로 조사함


시장 동향


인도의 해조류 식품 부문은 아직은 초기 성장단계로 속도도 완면한 편이다. 최근 해조류 식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스낵 부문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India Business & Trade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인도 해조류 관련 산업의 가치는 약 6억 달러로 추정되며 식품, 에너지, 화학 및 의약품 원료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며, 향후 성장성도 유망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인도의 해조류 기반 산업은 현지 생산 원자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Blue Revolution Scheme에 따라 2025년까지 해조류 생산량을 연간 100만 톤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약 8680만 달러를 투자하였다. 해조류는 인도에서 웰빙식품뿐만아니라 파우치, 녹는 빨대 등 플라스틱 제품의 대안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의약품 포장재로도 이용된다.


해조류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 인도에서는 슈퍼푸드로 여겨지고 있으며 인도의 식물성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해조류의 인기는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젊은 노동인구의 증가, 가처분 소득 증가, 핵가족 증가 등 최근 인도 사회의 변화는 간편식 대중화에 기여하였고 이는 해조류 식품의 판매 확대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인도 최대 스낵 브랜드 중 하나인 비카지 푸드 인터내셔널(Bikaji Foods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22년 인도 스낵 시장은 89억 달러 규모이며 2026년까지 연평균 15%대로 성장하여 14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도의 해조류 식품 주요 수입업체들은 인도 인구의 60%가 이미 해조류 스낵을 소비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고소한 '감칠맛'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해조류에 대한 수요는 남부에 비해 인도 북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인도식당에서 김, 미역, 라토 등 다양한 해조류를 메뉴에 포함시키고 있다. 포장된 해초는 샐러드, 수프, 채식주의자 요리 등 다양한 요리의 풍미 강화제 및 고명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 해조류 식품 시장은 주로 초밥과 김밥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조미김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스낵은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지만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 소비자들은 조미김을 간편식 옵션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으며, 작은 조미김 시트는 직장인들에게 인기 있는 식사 옵션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카페와 레스토랑에서 김 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수입규모


인도의 제한된 식용 해조류 생산으로 인해 상당량의 해조류가 수입되고 있다. 2023년 인도의 식용 해조류 수입액은 340만 달러로 2022년 280만 달러보다 22.1% 증가하였다. 지난 수년간 이스라엘이 최대 수출국이었으나 최근 수출규모는 지속 감소하고 있다. 반면, 중국의 대 인도 수출이 급증하여 2023년에는 110만 달러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인도네시아의 점유율은 15.1%에서 6.4%로 급격히 하락한데 반해, 스리랑카가 새로운 공급처로 시장에 진입했고, 일본의 수출도 32.3% 증가하였다. 한국은 2023년 들어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했으나 규모는 아직 적은 수준이다.


<인도의 식용 해조류 수입 현황>

(단위: U$ 천, %)

순위

수입국

2021

2022

2023

증감
2023/2022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세계

2,984.0

100.0

2,775.0

100.0

3,388.0

100.0

22.1

1

이스라엘

2,510.0

84.1

2,107.0

75.9

1,972.0

58.2

-6.4

2

중국

4.0

0.2

0.1

0.0

1,091.0

32.2

  > 9,999

3

인도네시아

-

-

419.0

15.1

217.0

6.4

-48.3

4

스리랑카

-

-

-

-

73.0

2.2

-

5

일본

4.0

0.2

9.0

0.3

12.0

0.4

32.3

6

호주

-

-

8.0

0.3

9.0

0.3

24.5

7

한국

3.0

0.1

-

-

9.0

0.3

-

8

미국

55.0

1.8

21.0

0.8

2.0

0.1

-91.2

9

독일

-

-

-

-

1.0

0.0

-

10

말레이시아

405.0

13.6

204.0

7.4

1.0

0.0

-99.4

(HS CODE: 121221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편, 인도에서는 제품 통관시 HS CODE가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바이어들이 제품을 수입할때 여러가지 제품을 조합하여 수입하면서 HS CODE가 하나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어 실제 수입량과 수입통계상의 괴리도 상당부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미김의 경우도 시장에 유통되는 다양한 제품들로 미루어 볼때 수입통계보다는 많은 양이 수입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쟁 동향


인도 조미김 시장에서 최근 한국 제품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비비고, 대천김, 광천김 등이 유통되고 있으며 제품 종류도 김 시트, 김 스낵 등 다양한 편이다. 


<인도에서 유통중인 주요 한국 상품>

비비고

대천김

광천김

Binari

[자료: amazon.in]

<한국 상품 이외 주요 제품>

Nourcery(인도)

Urban Platter(인도)

Sakura(중국)

TaoKaeNoi(태국)

[자료: nourcery.in, urbanplatter.in, flipkart.com, amazon.in]

인도에서 조미김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일본 및 중국 등의 브랜드가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다. 일본 브랜드의 경우, 가격이 높아 대중적인 유통망에서는 찾기가 힘든 상황이며, 중국 브랜드로는 Sakura와 Yoka 등이 유통되고 있다. 인도 국내 브랜드는 거의 없지만 Nourcery가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고 태국 브랜드인 TaoKaeNoi도 시장에서 상당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유통 구조


식용 해조류의 주요 유통 채널은 Big Bazaar, Spencer's Retail 등과 같은 슈퍼마켓 및 대형 마트와 Amazon, Flipkart, BigBasket, Blink It 등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다. Nature's Basket, KS foods, Naturally Yours 등과 같은 고급 식품전문점도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수입업체들은 대형 유통망에도 공급하지만 자체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유통망 등을 통해서도 판매하고 있다. 시장 수요의 상당 부분은 일식과 한식을 제공하는 레스토랑과 케이터링 서비스 업체 등인 것으로 파악된다. 


관세율 및 인증


식용 해조류는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에 포함되어 CEPA 특혜 관세는 5%가 적용된다. 인도 식품 안전 및 표준청(FSSAI)은 해조류 수입에 관한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다. 수입 식품은 오염 물질, 독소 및 잔류물에 대한 허용된 함량 범위를 충족해야 한다. 최근에는 비소, 카드뮴, 수은, 납 함량이 0.3 mg/kg 이하인 해조류 수입품이 세관을 통과하였고, 2023년에는 해조류 수입의 85%가 FSSAI 검사를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현지 바이어들에 따르면 최근 인도에서 김 제품에 대한 수요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바이어들은 김 시트와 스낵의 유통기간이 짧아 대량으로 수입이 어렵고 이로 인해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난다고 언급하였다. 인도의 경우, 식품 보관 인프라가 부족하여 상품의 유통기간도 바이어가 수입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현지 바이어들은 인도의 해조류 식품 부문이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였다. 최근 김 스낵 제품이 시장에 선보이면서 소비자들의 반응에 기대를 보이고 있으며, 김 시트 시장은 안정세에 접어들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료: indiabusinesstrade.in, investindia.gov.in, bikaji.com, statista.com, fssai.gov.in, amazon.com, indiamart.com, pmfias.com, 

     globalseafood.com, imarcgroup.com, glocery.in, koreanshop.in, nourcery.in, urbanplatter.in, flipkart.com, Global Trade

     Atlas, 무역관 자료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조미김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