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4-06-24
- 출처 : KOTRA
-
고품질 폴리부타디엔 고무는 여전히 수입제품 의존
친환경 제품이 대세
상품명 및 HS Code
폴리부타디엔 고무(BR)는 생고무나 SBR 고무 다음으로 많이 생산, 소비되는 합성고무다. 탄성이 우수하고 발열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타이어 생산에 많이 사용한다. 발열이 적어 시속 100km의 속도로 주행할 때 발생하는 열량도 견디는 탄성고무이며, 저온에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다.
상품명
HS 코드
(한글) 폴리부타디엔 고무
(중문) 顺丁橡胶
400220
시장 현황
줘촹즈쉰(卓创资讯)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총생산 능력은 489만 톤에 달했다. 이 중 중국의 생산능력은 183만 톤 규모로 세계 생산 능력의 약 37%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다음으로는 미국, 한국의 생산능력이 크며 각각 63만 톤(13%), 49만 톤(10%)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2018년부터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 능력이 급증해 내수시장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했다. 이후 중국 기업들이 수출기업으로 전환하면서 중국은 폴리부타디엔 고무 주요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2023년 기준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시장 수요량은 전년 대비 8.1% 증가해 153만 톤으로 집계됐다.
<2023년 국가별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 능력 점유율>
(단위: %)
[자료:줘촹즈쉰(卓创资讯)]
중국 내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주요 응용 분야는 타이어(70%), 개질(ABS 수지 등) (11%), 신발 (8%), 테이프 및 호스(7%), 기타 고무 제품(4%)이다. 최근 폴리부타디엔 고무가 원료로 쓰이는 타이어 등 제품에 고성능, 친환경 전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발맞춰 고속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좋은 제품이나 생산과정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제품,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폴리부타디엔 고무 응용 분야 점유율>
(단위: %)
[자료: 화타이치훠연구원(华泰期货研究院)]
경쟁 동향
중국의 폴리부타디엔 고무 주요 생산기업은 약 20개 사가 있다. 그 중 CPC(中国石油化工), CNPC(中国石油天然气)의 생산 능력이 중국 전체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 능력의 60%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Shandong Witt(山东威特), China Zhenhua Oil(振华石油), HUAYU Rubber(华宇橡胶)와 같은 민간 기업의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능력은 확대됐지만, 아직 다양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 않다. 때문에 중국 시장에서 고품질 제품은 여전히 수입 제품의 비중이 높다.
수입 동향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수입액은 전년 대비 6.2% 증가한 4억1545만 달러 (약 5673억 원)이다. 주요 수입 지역은 러시아, 한국, 일본, 태국, 아랍에미리트 연합,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독일, 대만, 프랑스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 수입 금액이 전체의 93%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7426만 달러(약 1014억 원)로 국가별 수입액 2위를 차지했다.
<폴리부타디엔 고무 (HS 400220) 수입 상위 10개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명
수입액
증감률
2021년
2022년
2023년
2023년/2022년
총계
377,255
391,197
415,453
6.2
1
러시아
15,958
99,960
145,883
45.9
2
한국
96,684
95,242
74,259
-22.0
3
일본
80,520
59,646
56,703
-4.9
4
태국
20,105
17,309
20,260
17.1
5
아랍에미리트 연합
17,512
6,123
18,652
204.6
6
사우디아라비아
12,326
22,370
16,491
-26.3
7
싱가포르
28,899
16,803
14,924
-11.2
8
독일
10,225
13,581
14,451
6.4
9
대만
30,066
22,711
13,356
-41.2
10
프랑스
19,132
14,207
11,796
-17.0
[자료: KITA]
유통구조
중국의 폴리부타디엔 고무 유통구조를 보면 국내 생산업체 또는 수입업체가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 가장 많다. 생산 업체에서 직접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재료로 사용하는 타이어, 신발, 테이프 및 호스 등 생산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일부 유통업자 및 도매상을 통해서 시장에 유통되기도 한다.
관세율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관세율은 일반세율이 14%이고, 최혜국 세율이 7.5%이며 한-중 FTA 세율은 2.5%이다. 관세율이 가장 낮은 한-중 FTA 무역협정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4년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관세율>
HS Code
관세율
일반세율
MFN(최혜국 세율)
한-중 FTA 세율
400220
14%
7.5%
2.5%
[자료: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인증제도
폴리부타디엔 고무는 중국 수입 시 별도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통관 시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별도로 제출해야 한다.
시사점
중국 내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 능력이 증가하면서 수입은 다소 감소하고 있지만, 고품질 제품은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아울러 중국 및 글로벌 환경규제 움직임으로 친환경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예로 중국 정부는 2024년 4월 29일 '타이어 및 카본블랙의 단위 제품당 에너지 소모 한도(轮胎和炭黑单位产品能源消耗限额) GB 29449-2024' 국가표준을 발표했다. 해당 국가표준의 시행일은 2025년 5월 1일로 정해졌다. 이 표준은 타이어 및 카본블랙 물질의 제품별 에너지 소비량, 기술 요구 사항을 지정하고 계산 방법을 설명한 표준이다. 관련 기업은 에너지 소비 제한을 충족하기 위해 생산 공정 개선, 에너지 절약 장비 도입하는 등 다양한 에너지 절감 조치를 채택해야 한다.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생산 기업은 이처럼 다양해지는 환경 규제에 맞춰 기술을 개발하고 공장 설비를 업그레이드하며 대응하고 있다.
우리 기업도 변화하는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시장 환경에 대응해 고성능 제품이나 친환경 제품 등 차별화된 기술을 개발해 중국 시장 진출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줘촹즈쉰(卓创资讯), 화타이치훠연구원(华泰期货研究院), KITA,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폴리부타디엔 고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홍콩 무알코올 음료 시장동향
홍콩 2024-06-25
-
2
중국 마스크팩 시장동향
중국 2024-06-26
-
3
인도네시아 합성고무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 2023-12-28
-
4
2024년 모잠비크 흑연 산업 정보
모잠비크 2024-06-24
-
5
중국 집적회로 부품 시장동향
중국 2024-06-24
-
6
미국, 전기식 잔디깎이 시대로의 전환 빨라진다
미국 2024-06-24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