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트디부아르 자동차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윤하림
- 2024-06-07
- 출처 : KOTRA
-
코트디부아르 엔진용 부품 (HS코드 8409) 수입은 2023년에 약 1,200 만 달러 기록
HS 코드 840999에 해당하는 엔진용 부품이 HS코드 8409 수입의 64.49%를 차지
상품명 및 HS코드
HS코드 840999는 제8407호나 제8408호의 엔진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품으로 분류된다.
시장동향
코트디부아르의 차량 보유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5%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유지보수 및 수리를 위한 부품 및 부분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재생 정책(5년 이상 된 차량 수입 금지)에도 불구하고, 코트디부아르의 차량 평균 연식은 10년 정도이다. 코트디부아르 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체 운행차량은 150만 대였으며 이 중 60% 이상이 중고차로 나타났다. 이는 코트디부아르의 중고차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중고차량을 위한 자동차 부품 시장 또한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트디부아르의 엔진용 부품(HS코드 840999)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세는 주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디젤 엔진 사용 수요가 증가한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통: 특히 상용 차량 부문이 크게 확장되어 디젤 엔진의 교체 및 유지보수 부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 농업: 관개 및 토지 준비와 같은 작업에 디젤로 구동되는 기계에 크게 의존하며, 이는 엔진 부품에 대한 수요를 촉진시켰다.
- 인프라 개발: 코트디부아르 정부의 국가 개발 프로그램 (PND 2025) 및 비전 2030 (Vision 2030)에 의거한 지속적인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으로 인해 디젤 엔진으로 구동되는 중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부품에 대한 시장 또한 활성화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에서 자동차 부품 및 부분품을 생산하는 현지업체가 없으므로 해당 시장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자동차 부품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삼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 분야를 코트디부아르의 7개 투자 유망 분야 중 하나로 지정하였으며, 이 분야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고자 특화된 산업단지 조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코트디부아르의 엔진용 부품 (HS코드 8409) 수입은 2023년에 1195만4546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2년 대비 1.68% 감소한 수치이다. 이 중 엔진용 부분품(HS코드 840999)은 전체 수입의 64.49%를 차지했다. 코트디부아르에서 엔진 부품 및 부분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없으므로 시장이 전적으로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코트디부아르 자동차 부품(HS코드 840999) 수입동향 >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2~2023
증감률
전체
5,359
6,494
7,293
7,710
5.67
1
중국
690
679
1,463
1,830
25.18
2
미국
950
2,376
773
1,074
38.93
4
일본
303
313
433
731
69.05
5
독일
379
303
1,132
576
49,46
6
프랑스
927
613
303
451
48.84
7
벨기에
342
282
144
392
170.83
8
인도
196
149
113
314
176,59
9
대한민국
72
64
97
270
179.38
10
영국
218
556
144
160
11.11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에서의 수입은 202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27만 달러를 기록해 2022년 9만7000달러 대비 179.38% 대폭 상승세를 기록했다. 한국은 코트디부아르의 자동차 부품(HS코드 840999) 수입국 중 9위를 자치하고 있으며, 중국 및 미국이 상위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동향
코트디부아르의 자동차 부품 시장은 수입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자동차 부품 공급국은 중국, 미국, 일본, 독일 등이다.
- 딜러
주요 외국 브랜드를 대표하는 유통업체들이며 공급되는 자동차 부품의 독창성 측면에서 더 신뢰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 전문점
코트디부아르에는 자동차 부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상점이 많이 있다. (Auto Pieces spare parts, OCK pieces AUTO, SAMCO, MIKE ANTHONIO PIECES AUTO, GOD SUPPORT PIECES AUTO, WINPART CI 등) 이러한 판매점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여러 종류의 다양한 부품을 제공한다.
- 자동차 수리점
코트디부아르에는 수만 개의 자동차 수리점이 있으며, 대부분 자동차 부품도 함께 판매한다. 그러나 대부분 중고 자동차 부품 및 부분품을 공급한다.
- 온라인 판매자
최근 몇 년간 자동차 부품 및 부분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점이 많이 생겨났다. 주요 온라인 상점은 아래와 같다.
https://kymauto.com, https://easypieces.ci, https://www.general-ci.com, https://ivoirelite.net/9-pieces-auto
<코트디부아르 주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딜러>
딜러명
브랜드
CFAO Motors
Peugeot, Citroën, Mitsubishi, Fuso, Daf
SOCIDA
Renault, Suzuki
Tractafric Motors Côte d'Ivoire (TMCI)
Hyundai, BMW, Ford, Mazda, Mini
ATC Comafrique
Nissan, Audi, Volkswagen
SETACI
KIA
Farhat et frères
Honda
Rimco motors
Great Wall, Haval, Sino Truck, Clark, Zhongtong ; Changan, Yuejin
Afcar auto
SEAT
Star Auto
Mercedes, Jeep
EMAUCI
Alfa Roméo, Fiat
SCIMI
Range Rover, Chevrolet
Tigers Motors
Chery
[자료: 아비장 무역관]
유통구조
코트디부아르에서 자동차 부품 유통구조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경로로 구성된다.
- 수입업자: 대부분의 자동차 부품은 코트디부아르 내에서 생산되지 않고 있다. 이에, 자동차 부품 수입업자들을 통해 주로 아시아(특히 중국), 유럽, 미국 등지에서 자동차 부품을 공급받고 있다.
- 도매업자: 이들은 대량으로 부품을 구매하여 소매업자나 수리업체 등에 재판매하며, 도매업자들은 주로 코트디부아르의 주요 도시들, 특히 경제 수도인 아비장에 위치해 있다.
- 소매업자: 도매업자로부터 부품을 구입한 소매업자들은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한다. 이들은 작은 상점이나 시장 내에서 영업을 하며, 종종 특정 브랜드나 부품 유형에 특화되어 있기도 한다.
- 수리업체 및 정비소: 일부 수리업체와 정비소는 직접 부품을 수입하거나 도매업자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들은 고객의 차량을 수리하면서 필요한 부품을 제공한다.
- 온라인 유통: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부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는 온라인 상에서 직접 부품을 검색하고 주문할 수 있다. 이는 국내외 부품 공급자로부터 직접 배송되는 경우도 있다.
관세율·인증
자동차 부품을 코트디부아르로 수출입하는데 특별한 인증이 필요하지 않으며, 코트디부아르로의 수입 관세는 다음과 같다:
HS 코드
관세
부가가치세
특별세
통계로열티
커뮤니티 부담금
840999
10%
18%
없음
0.5%
1%
시사점
코트디부아르의 자동차 부품 시장은 차량 보유량의 지속적 증가와 중고차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부품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평균 차량 연식이 10년을 넘는 상황에서 부품 및 부분품의 정기적 교체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자동차 유지보수 및 수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디젤 엔진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엔진용 부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교통, 농업,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젤 엔진을 활용한 중장비 및 수송기기가 사용되면서 엔진용 부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는 현재 자동차 부품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한국 부품을 선호하는 업계 관계자 및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자동차 부품 산업을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는 만큼 한국기업은 코트디부아르 시장 진출을 위해 주재국 정부의 국내 생산 기반 구축 프로젝트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료: Gloal Trade Atlas, 코트디부아르 세관, GIPAME, 코트디부아르 교통부, 아비장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코트디부아르 자동차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UAE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 시장 동향
아랍에미리트 2024-06-07
-
2
남아공 헤어용품 시장동향
남아프리카공화국 2024-06-07
-
3
튀르키예 포장재(PVC) 산업 동향
튀르키예 2024-06-14
-
4
폴란드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시장동향
폴란드 2024-06-12
-
5
전문가를 통해 알아보는 2024 UAE 농업 분야 트렌드
아랍에미리트 2024-06-07
-
6
에너지는 절감, 보안은 강화… 케냐 스마트홈 시장은 성장 중
케냐 2024-06-11
-
1
2024년 코트디부아르 산업 개관
코트디부아르 2024-08-07
-
2
코트디부아르 기타 산업_제조업 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3
코트디부아르 금융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4
코트디부아르 농업 등 1차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5-31
-
5
코트디부아르 소매유통산업 정보
코트디부아르 2021-05-28
-
6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 및 시사점
코트디부아르 2020-10-08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