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반도체 전공정 소재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최지영
  • 2024-06-07
  • 출처 : KOTRA

아직은 후공정 중심인 베트남, 한국의 전공정 소재 수출 저조

향후 베트남 반도체 산업 성장에 따른 수출 증대 가능성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명(및 해설)

3707.90

품명: 기타

- (참고) 3707호 품명: 사진용 화학조제품[바니시(varnish)ㆍ글루(glue)ㆍ접착제와 이와 유사한 조제품은 제외한다], 사진용 단일 물품(일정 소량으로 나누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모양인 소매용으로 한정한다)

3707.90-1010

반도체 제조용

3707.90-2090

기타

3818.00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처리된(doped) 화학원소(디스크ㆍ웨이퍼 모양이나 이와 유사한 모양으로 한정한다),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처리된(doped) 화학화합물

3818.00-1000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처리된(doped) 화학원소

 

본 글에서는 감광액, 현상제, 실리콘웨이퍼 등 반도체 전공정의 주요 소재를 분석한다. 관세청에서 발간한 반도체 HS 표준해석 지침에 따르면, 각각은 3707.90-1010, 3707.90-2090, 3818.00-1000에 분류한다.

 

(1) 감광액

 

HS 코드

3707.90-1010

용도

반도체 제조공정 중 감광액 도포(Photo)’공정에 사용

결정사유

관세율표 제3707호에는 사진용 화학조제품 [바니시(varnish)·글루(glue)·접착제와 이와 유사한 조제품은 제외한다], 사진용 단일 물품(일정 소량으로 나누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모양인 소매용으로 한정한다)”을 분류하며, 3707.90-1010호에는 반도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를 분류하고 있음. 같은 표 제37류 총설에서 37류에 해당되는 사진용 플레이트, 필름, , 판지 및 직물은 단색 또는 천연색으로 재생하기 위하여 파티클(또는 핵) 방사선은 물론 광자(또는 광) 감광선 물질이 필요한 반응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광선 또는 기타 방사선 [, 파장이 약 1,300나노미터 이하의 방사선](감마선, X-, 자외선 및 근적외선을 포함한다)으로 감광되는 일층 이상의 유제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특정의 플레이트는 유화제를 도포하지 않고 전체 또는 대부분이 감광성의 플라스틱 물질(지지물에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로 구성되어 있다.”라고 설명하고 있음. 따라서 본 물품은 상기 물품설명과 같이 제조한 반도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이므로 관세율표의 해석에 관한 통칙 제1호 및 제6호에 따라 제3707.90-1010호에 분류함

[자료: 관세청]

 

(2) 현상제


HS 코드

3707.90-2090

용도

반도체 현상액

결정사유

관세율표 제3707호에는 사진용의 화학조제품 및 사진용의 단일물품이 분류되며, 같은 호 해설서 (2)현상제 : 잠재된 사진상을 나타나게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음. 본 물품은 제29류에 해당하는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수용액에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반도체 현상액이므로 관세율표의 해석에 관한 통칙 제1호 및 제6호에 따라 제3707.90-2990호에 분류함

: CPD-18T, CPD-1000T에 한하며, TFT-LCD용 현상제 등은 HS 코드 2923.90-0000에 분류됨

[자료: 관세청]

 

(3) 실리콘웨이퍼


HS 코드

3818.00-1000

용도

반도체 소자 제조용

결정사유

관세율표 제3818호에는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처리된(doped) 화학원소(디스크·웨이퍼 모양이나 이와 유사한 모양으로 한정한다),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처리된(doped) 화학화합물이 분류되며, 같은 호 해설서에서 이 호에는 보통 100만분의 1 ()의 비율로, 붕소 또는 인으로 제28류의 원소(: 실리콘과 셀렌)를 도프처리한 것(이들은 디스크상·웨이퍼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것에 한한다)이 분류되며, 이 호에는 그러한 결정물이 분류되는데, 이것은 광택낸 것인지 여부와 통일된 에피텍셜층으로 도포한 것인지 여부를 불문한다.”라고 설명하고 있음. 따라서 본 물품은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실리콘을 도프처리한 웨이퍼이므로 관세율표 해석에 관한 통칙 제1호에 따라 제3818.00-1000호에 분류함

[자료: 관세청]

 

시장동향

 

AI, 5G 등 첨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반도체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 등 주요 광물과 더불어 제조 인력이 풍부해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서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2016~2027년 베트남 반도체 시장 규모(매출액 기준)>

(단위: US$ 십억)

: 2023~2028년은 전망치(*)

[자료: Statista]


스태티스타(Statisa)에 따르면 베트남의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161062,000만 달러에서 20221824,000만 달러로 71.8% 증가했다. 비록 2023년 베트남의 반도체 시장은 전년 대비 5.5%의 감소해 1724,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2027년에는 2024년부터 연평균 9.62% 성장해 시장 규모가 26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남아 반도체 허브로 도약하는 베트남(다낭무역관) [바로가기]

 

수입 동향

 

(1) HS 코드 3707.90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3707.90 품목 수입액 추이>

(단위: US$ , %)

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3707.90

수입액

4,589.9

4,578.2

14,475.3

7,478.9

7,899.1

증감률

-

-0.26

216.18

-48.33

5.62

[자료: GTA 2024. 5. 20.]

 

HS 코드 3707.90에는 사진용 화학 조제품 및 사진용 단일 물품 등이 분류되어 감광액과 현상제 수입액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지만, 대략적인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HS 코드 3707.90에 해당하는 품목의 수입은 2021년에 전년 대비 3배 넘게 상승했지만, 그 이후에는 2021년의 절반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2023년 수입 규모는 검토 기간 첫 해인 2019458만 달러에서 789만 달러로 5년간 72.1% 증가했다.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3707.90 품목 국가별 수입액>

(단위: US$,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비중

1

미국

1,726,997

1,971,637

2,783,768

2,465,323

3,459,391

40.32

43.80

2

중국

1,115,019

1,025,616

803,561

1,353,276

1,324,782

-2.11

16.77

3

한국

171,437

323,153

1,118,655

1,027,403

660,672

-35.69

8.36

4

일본

215,627

209,563

346,367

503,064

463,629

-7.84

5.87

5

싱가포르

580,702

476,372

596,999

573,041

428,084

-25.3

5.42

6

인도

86,755

51,870

148,051

183,716

206,050

12.16

2.61

7

독일

336,883

147,403

224,915

209,746

176,311

-15.94

2.23

8

프랑스

7,718

27,684

21,567

73,297

125,480

71.19

1.59

9

벨기에

149,867

114,903

7,505,231

83,617

101,501

21.39

1.28

10

말레이시아

47,456

53,126

86,008

49,550

63,296

27.74

0.80

-

기타

151,417

176,824

840,223

956,876

889,855

-7.0

11.27

총계

4,589,878

4,578,151

14,475,345

7,478,909

7,899,051

5.62

100

: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비중 및 순위

[자료: GTA 2024. 5. 20.]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5년 연속 최대 수입국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수입 규모는 점차 증가해 2023년에는 전체 수입의 43.8%를 차지했다. 한국의 경우 2023년 기준 수입 규모가 2019년에 비해 약 4배 증가하며 중국에 이은 3위 수입국을 기록했다.

 

(2) HS 코드 3818.00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3818.00 품목 수입액 추이>

(단위: US$ , %)

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3818.00

수입액

164,116

345,363

670,836

1,233,211

1,141,714

증감률

-

116.29

88.96

119.30

-7.42

[자료: GTA 2024. 5. 20.]

 

HS 코드 3818.00 품목은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해 도프처리된(doped) 화학원소 및 화학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품목만으로는 실리콘 웨이퍼의 실제 수입 규모를 알 수 없다. 다만, 해당 품목의 수입 추이를 통해 대략적인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데, HS 코드 3818.00 품목의 수입은 최근 매년 상승해 201916,496만 달러에서 202315860만 달러로 약 9배 증가했다. 한편, 해당 품목 수입은 베트남이 중국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3818.00 품목 국가별 수입액>

(단위: US$,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비중

1

중국

163,583

345,015

665,294

1,229,654

1,140,766

-7.23

99.92

2

한국

108.3

127.4

115.2

427.1

502.6

17.66

0.04

3

스페인

-

14.4

258.3

355.5

316.7

-10.91

0.03

-

기타

425.2

205.3

5,168.1

2,774.7

128.3

-95.38

0.01

총계

164,116

345,363

670,836

1,233,211

1,141,714

-7.42

100

: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비중 및 순위

[자료: GTA 2024. 5. 20.]

 

대한 수입 동향

 

<최근 5년간 한국의 대()베트남 감광액 수출 규모>

(단위: US$ , %)

 

2019

2020

2021

2022

2023

()베트남

수출액

1,104.5

1,830.2

2,383.8

1,543.4

1,827.5

전체 수출액

83,961.1

109,215.0

162,611.2

198,123.4

153,743.6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

1.32

1.68

1.47

0.78

1.19

수출 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

6

5

5

5

5

: HS 코드 3707.90-1010 기준 분석

[자료: 무역협회]

 

한국의 대베트남 감광액 수출은 2019110만 달러에서 2023183만 달러로 65.5% 증가했다. 2021년 베트남의 한국산 감광액 수입 규모가 가장 컸는데, 최근 5개년 중 2021년에 베트남에서 HS 코드 3707.90 품목의 수입이 가장 많았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5년간 한국의 대()베트남 현상제 수출 규모>

(단위: US$ , %)

 

2019

2020

2021

2022

2023

()베트남

수출액

-

-

-

680.8

470.4

전체 수출액

-

-

-

7,036.5

5,635.5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

-

-

-

9.68

8.35

수출 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

-

-

-

3

3

: HS 코드 3707.90-2090 기준 분석

[자료: 무역협회]

 

HS 코드 3707.90-2090에 분류되는 현상제 수출의 경우 2022년 세번 변경으로 인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통계는 확인되지 않는다. 2023년 한국의 대베트남 현상제 수출은 전년 대비 30.9% 줄면서 베트남의 비중이 9.68%에서 8.35%로 감소했지만, 이러한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있어 베트남은 동 기간 중국, 미국에 이은 수출 대상국 3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한국의 대()베트남 실리콘 웨이퍼 수출 규모>

(단위: US$ , %)

 

2019

2020

2021

2022

2023

()베트남

수출액

175.8

130.5

92.7

229.2

298.9

전체 수출액

795,081.4

878,323.0

1,024,481.4

1,244,515.5

925,912.9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

0.02

0.01

0.01

0.02

0.03

수출 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

22

25

24

19

15

[자료: 무역협회]

 

베트남의 한국산 실리콘 웨이퍼 수입은 2019175,800달러에서 2023298,900달러로 70% 증가했다. 다만 아직 베트남이 한국의 전체 실리콘 웨이퍼 수출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다. 하지만 수출 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가 202025위에서 202315위까지 매년 상승하고 있어 향후 베트남의 반도체 전공정 산업 성장에 따라, 베트남의 한국산 실리콘 웨이퍼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 동향

 

<반도체 산업 생태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캡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4pixel, 세로 296pixel

[자료: 삼성전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직 베트남은 설계 및 후공정 위주로 반도체 산업이 성숙해가고 있어 현지의 실리콘 웨이퍼, 감광액, 현상제 등 반도체 전공정 소재 생산 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판단된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경우 주로 디자인하우스 또는 팹리스(Fabless) 기업 위주로 베트남에 진출해 있다. 일부 기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트남에 진출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 및 현지 반도체 기업 사례>

기업명

로고

국가

주력 분야

소재 지역

웹사이트

GUC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43aa.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pixel, 세로 78pixel

대만

디자인하우스

호찌민시

www.guc-asic.comen

Realtek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2pixel, 세로 45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대만

팹리스

호찌민시

www.realtek.com

Amkor Technolog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c5c0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446pixel

미국

패키징

박닌성

amkor.com/amkor-technology-vietnam

Ampere Computi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127pixel

미국

종합

호찌민시

amperecomputing.com

Dreambig Semiconducto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0pixel, 세로 132pixel

미국

팹리스

호찌민시

dreambigsemi.com

Int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c5c000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40pixel, 세로 2160pixel

미국

종합

호찌민시

www.intel.vn/content/www/vn/vi/homepage.html

Marvel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4.svg

미국

디자인하우스,

테스트

호찌민시

www.marvell.com

Microchip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60pixel, 세로 161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8년 06월 08일 오후 6:36

미국

팹리스

호찌민시

www.microchip.com

Synopsy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60pixel, 세로 581pixel

미국

팹리스

다낭,

호찌민시

www.synopsys.com

Truechip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9.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5pixel, 세로 675pixel

인도

디자인하우스,

테스트

하노이,

호찌민시

www.truechip.net

Ban Vien Corporati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a.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pixel, 세로 200pixel

일본

종합

호찌민시

banvien.com

Renesa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b.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60pixel, 세로 428pixel

일본

테스트

호찌민시

www.renesas.com/us/en

ETA Soluti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f.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2pixel, 세로 61pixel

중국

디자인하우스

하노이

www.eta-semi.com

Hana Micr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c5c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08pixel, 세로 2480pixel

한국

패키징

박닌성,

박장성

www.hanamicron.com

FPT Semiconducto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d.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86pixel, 세로 418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베트남

디자인하우스

하노이,

다낭,

호찌민시

fpt-semiconductor.com

Viettel High Tech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d80000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463pixel

베트남

팹리스

하노이

viettelhightech.vn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하노이무역관 종합]


생산 구조


[자료: 하노이무역관]

 

반도체 생산 과정은 크게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대표적인 8개 공정을 반도체 8대 공정이라고 부르며, 흔히 웨이퍼 제조부터 금속 배선까지의 제조 공정을 전공정’, EDS 공정 및 패키지 공정을 후공정으로 구분한다. 이에 따르면, 본 글에서 분석한 실리콘 웨이퍼, 감광액, 현상제 등은 모두 전공정에 사용되는 소재들임을 알 수 있다.

 

관세율 및 인증

 

<베트남의 HS 코드 3707.90 HS 코드 3818.00 품목 관세율표>

(단위: %)

HS 코드

품목명

Preferential

(특혜관세)

AK FTA

(-아세안)

VK FTA

(-)

RCEP

(한국)

3707.90

- Other:

3

0

0

0

3818.00

Chemical elements doped for use in electronics, in the form of discs, wafers or similar forms; chemical compounds doped for use in electronics

0

0

0

0

: HS 코드가 상이하여 원문 표기 인용

[자료: 2024 ImportExport Tax Book]

 

베트남에서 국가기술규정(QCVN)과 국가기술표준(TCVN)의 차이는 강제성의 여부에 있는데, 이 중 기술규정은 의무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기술표준은 자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현재 반도체 관련 기술규정은 명시된 바 없으나 기술표준으로는 반도체 장치기계적 및 기후적 테스트 방법에 관한 TCVN 11344:2017이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요구사항 및 사용편의, 내구성 관련 36개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 정부는 인프라 개발, 세금 감면, 인력 양성 프로그램 등을 통해 베트남의 반도체 산업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현재는 전력, 용수, 반도체 인력 등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인해 관련 애로들이 해소되어 나간다면 향후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말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Jensen Huang) 대표가 베트남에 방문하여 베트남의 주요 반도체 기업 및 IT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및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베트남에 방문한 이후로, 두 나라의 반도체 기업도 적극적으로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우리 기업들은 베트남에 기진출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뿐만 아니라, 진출 계획이 있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선제적으로 도모해 반도체 재료 및 부분품 수출 기회를 넓혀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관세청, Statista, GTA, 무역협회삼성전자, 2024 ImportExport Tax Book, 하노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반도체 전공정 소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