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외국인 다수·여성 증가, UAE 노동시장 현황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경미
  • 2024-06-07
  • 출처 : KOTRA

UAE 근로자 약 45%가 높은 직장 만족도 드러내

재무·금융, IT, 법률 분야 구인 수요 증가 전망

경력직 선호 분위기로 실무 경험 필요

UAE 노동시장 현황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UAE 인구는 2021년 약 936만 명에서 전년대비 1.2% 증가해 2022944만 명을 기록했다. 이 중 매년 약 70%는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UN이 발간한 International Migrant Stock 2020에 따르면, 2020년 기준 UAE 전체 인구 중 외국인 거주자가 88%를 차지할 만큼 자국민의 비중은 매우 적은 편이다. 그만큼 다양한 국적을 가진 외국인이 UAE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외국인 거주자 중에는 인도인 비중이 약 40%로 가장 많고, 그 외에는 파키스탄, 필리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예멘 등이 있다.

 

<2018-2022년 UAE 인구 및 경제활동 인구>

(단위: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경제활동인구

6,404,956

6,479,503

6,491,560

6,462,165

6,588,824

인구

9,140,169

9,211,657

9,287,289

9,365,145

9,441,129

비중

70.1%

70.3%

69.9%

69.0%

69.8%

[자료: 세계은행(World Bank)]


경제활동인구 중 여성 근로자 비중

 

UAE 경제활동인구 중 여성 근로자 비중은 2023년 기준 18.6%다. 2021년 이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다. UAE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중동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이란, 이집트 등에서도 여성 근로자의 비중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통해 더 이상 여성을 종교·사회·문화적인 이유로 경제활동에서 배제하기 어려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9-2023년 경제활동인구 중 여성 근로자 비중>

(단위: %)

국가별

2019

2020

2021

2022

2023

UAE

18.5

20.2

17.8

18.1

18.6

사우디아라비아

16.6

19.5

22.5

22.4

22.7

카타르

15.6

16

16.3

16.9

17.2

이란

19.2

16.8

16.2

16.1

16.8

이집트

18.7

17.5

18.1

18.5

18.6

[자료세계은행(World Bank)]


업종 및 직종별 근로자 비중

 

업종별로는 무역, 교통, 숙박·요식업, 비즈니스 관련 업종(Trade, Transportation, accommodation and Food, and Business and Administrative Services)이 전체의 44.9%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았다. 다음으로 행정, 지역사회 서비스 관련 업종(Public Administration, Community, Social and other Services and Activities)24.3%로 나타났다. 그 외 건설업(Construction)17.8%, 제조업(Manufacturing)은 9.1%의 비중을 차지했다또한 직종별로 살펴보면 단순노무종사자(Elementary occupations)18%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전문직(Professionals)과 무역 관련 기능직(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이 각각 15.8%, 15.4%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은 직종은 서비스 및 판매직(Service and sales workers)으로, 비중은 12.4%였다.

 

    <2022년 업종별·직종별 근로자 비중>

[자료국제노동기구(IL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UAE 노동시장 최신 트렌드

 

UAE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 조사

 

미국 컨설팅기업 로버트 하프(Robert Half)는 2023년 7월 다양한 직종에 근무하는 UAE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직장 만족도 조사를 수행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1%는 이직 계획이 없다고 밝혔지만, 응답자의 21%는 2024년 중에 이직을 결심하고 있다고 답변했다이직이나 퇴사를 결심하는 가장 큰 이유는 UAE의 주거비와 생활비 상승이었다. 응답자의 무려 46%가 생활비로 인해 이직을 결심하고 있었다. 자녀가 있는 경우 비싼 국제학교 학비도 이직 및 퇴사 사유에 영향을 끼쳤다. 그 외 복지 및 혜택, 급여 등의 이유가 각각 22%, 24%를 차지했다.

 

<새로운 직장으로 옮기려는 시기(상) 및 이직 및 퇴사를 결심하는 이유(하)>

[자료: Robert Half(2024), 2024 SALARY GUIDE]



현 직장 만족도 수준도 조사했다. 그 결과 근로자의 45%는 현 직장에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했다. 특히 18~35세 연령대의 근로자들은 두바이와 아부다비의 호화로운 생활환경에 '매우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또 지난 1년 동안 근로자의 57%가 업무 생산성이 증가했고, 근로자의 52%는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올라갔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적으로 UAE 근무 만족도가 높은 편임을 시사한다.


          <현 직장의 만족도 수준(상) 및 현 직장의 사기, 생산성, 만족도 변화(하)>

    

[자료: Robert Half(2024), 2024 SALARY GUIDE]

 

지난 1년간 급여의 경우 근로자의 46%가 현 직장에서 급여 변동이 없었다고 응답한 반면, 41%는 급여가 인상됐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직원 10명 중 3~4명이 급여 인상(36%)이나 연말 보너스(35%)를 받았다고 답변했다. 직원 10명 중 2~3명은 복지 혜택 추가(26%), 주거비 등 수당 인상(24%)을 고용주로부터 제공 받았다고 했다. 현지 뉴스매체인 Khaleej Times 보도에 따르면 2024UAE 근로자들의 평균 급여는 4%가량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1년간 현 직장의 급여 변화(상) 및 지난 1년간 고용주가 제공한 혜택 비중(하)>

    

[자료: Robert Half(2024), 2024 SALARY GUIDE]

 

2024년 분야별 구인 수요가 높은 직무 전망

 

UAE 노동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새로 생기는 일자리보다 퇴사자를 대체하거나 특정 부서의 인력을 충원하기 위한 일자리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우리나라처럼 정기적으로 대규모 신입 채용을 진행하지 않고, 인력이 필요할 경우 상시로 채용하는 방식이다. 2024년 가장 수요가 높은 분야는 재무·회계, 금융, IT 기술, 인사·행정, 법률 등 총 5가지일 것으로 전망된다. 재무·회계 분야의 경우 최소한의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재무 관리와 분석 업무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금융 분야는 규정 관리나 펀드 관리 업무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IT 기술 분야는 꾸준히 성장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업무에 대한 구인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는데, 최소 시니어(Senior) 레벨 이상의 경력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사·행정 관련 분야도 수요가 높은데, 글로벌 대기업의 경우 기업에 적합한 인재를 발굴하는 인재 확보(Talent Acquisition)관련 직무도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분야별 구인 수요가 높은 직무 및 기술>

분야별

직무

기술 및 경험

비고

재무/회계

· Financial Analyst

· Financial Manager

· 전사적 자원 관리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엑셀 및 재무 모델링

· 재무/회계 데이터 관리

· 기업 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 및 기업 상장

· 중간 관리자 수준의 수요가 많고,

급여는 상대적으로 균일한 편이나

높은 수요로 인해 기본급이 높은 편임

금융

· Project Manager

· Fund Accountant

· Brokers

· Compliance Manager

· 자금 세탁 방지 전문가 자격증

(ACAMS, Certified Anti-Money Laundering Specialist)

· 영국 공인회계사 자격증

(ACCA, Association of Chartered Certified Accountants)

· 펀드 성과 분석

· 기업 인수합병(M&A) 경험

· 국부펀드 및 사모펀드 관련 펀드 투자 

관리 및 분석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 두바이 자유무역지대 내 기업 설립으로 

인해 금융 및 기관 브로커 수요가 증가함

IT 기술

· Project Manager

· Software Developer

· Chief Technology Officer

· 오라클 퓨전(Oracle Fusion)

· 자바(Java)

· 파이썬(Python)

· 테스트 자동화(Test automation)

· IT 프로젝트 관리자급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 IT 기술 전문가 부족으로 오히려 

경쟁률은 낮은 편임

인사 및 행정

· HR Director

· Talent Acquisition Manager

· Executive Assistant

· 인사관리 및 행정 관련 업무 경험

· 행정(Administrative) 관련 직무 급여는

타 직무보다 낮은 편임

법률

· Senior Legal Associate

· Senior Legal Counsel

· Corporate Lawyer

· 계약 협상

· 소송

· 법률 문서 작성(아랍어)

· 세금 관련 업무 경험

· 개인 변호사의 급여는 매우 높고

아랍어 및 영어가 모두 유창할 경우

고소득과 함께 최고의 복지를 누릴 수 있음

[자료: Robert Half(2024), 2024 SALARY GUIDE]

 

직무별 평균 급여

 

글로벌 채용 전문기업인 헤이스(Hays)는 'HAYS GCC SALARY GUIDE 2024'를 발간하며 직무별 평균 급여를 발표했다(아래 표). 기업 규모와 경력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임금을 비교해보거나 협상할 때 참고용으로 살펴보길 권장한다.

 

<직무별 급여 평균 및 범위>

              (단위디르함)               

직무별

월 급여 범위

평균 월 급여

재무/회계

Internal Auditor

15,000 - 20,000

17,500

Financial Analyst

15,000 - 20,000

18,000

Finance Manager

20,000 - 30,000

25,000

은행/금융

Equity Research Analyst

18,000 - 25,000

21,000

Investment Analyst

20,000 - 30,000

25,000

Portfolio Manager

35,000 - 65,000

45,000

건설/부동산

Interior Designer

11,000 - 25,000

18,000

Project Architect

20,000 - 35,000

27,500

Construction Manager

25,000 - 50,000

37,500

인사

HR Admin/Coordinator

6,000 - 12,000

9,000

Talent Acquisition Specialist

10,000 - 18,000

14,000

HR Manager

28,000 - 35,000

31,500

행정

Receptionist

8,000 - 15,000

12,000

Office Manager

10,000 - 20,000

15,000

Administration Manager

15,000 - 20,000

17,000

법률

Legal Secretary

16,000 - 27,000

21,500

Legal Counsel

35,000 - 50,000

42,500

Associate

38,000 - 50,000

44,000

제조

Production Manager

18,000 - 30,000

25,000

Quality Manager

25,000 - 32,000

27,000

Manufacturing Manager

25,000 - 35,000

30,000

물류

Logistics Manager

20,000 - 30,000

25,000

Supply Chain Manager

25,000 - 40,000

30,000

Procurement Manager

25,000 - 45,000

35,000

마케팅

Marketing Assistant/Coordinator

12,000 - 14,000

13,000

Brand Executive/Brand Specialist

20,000 - 22,000

21,000

PR/Media Relations Executive/Specialist

22,000 - 32,000

27,000

영업

Sales/Business Development Executive

10,000 - 15,000

12,000

Sales/Business Development Manager

20,000 - 30,000

25,000

Commercial Manager

25,000 - 35,000

30,000

IT

Data Analyst

13,000 - 30,000

17,000

Data Engineer

20,000 - 35,000

30,000

Network Architect

40,000 - 60,000

37,500

[자료: Hays(2024), HAYS GCC SALARY GUIDE 2024] 

2023년 4분기 기준 각 직무별 월 고정급으로, 산업군기업 규모 및 경력 수준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UAE 취업의 장단점

 

ㅇ 소득세 0% vs 높은 주거비 및 생활비

 

UAE 취업의 가장 큰 장점은 세금을 내지 않고 회사가 지급한 급여를 100% 온전히 수령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세금이 없기 때문에 번거로운 연말정산을 하지 않아도 된다. 선진국들의 세후 소득과 비교했을 때에도 현지의 급여 수준은 높은 편이다. 한편 생활비로 보이지 않는 세금을 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만큼 주거비와 학비 등이 매우 높은편이다.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두바이 내 거주 지역인 다운타운의 방 2개 짜리 아파트의 연세는 14만 디르함, 두바이 마리나 지역의 경우 12만 디르함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육비 또한 높기 때문에 자녀의 수가 많은 경우 1인당 3만~8만 디르함에 이르는 초·중등 학비를 감안하면 생활비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인도의 뭄바이에서 두바이로 이주할 경우 소득은 400% 늘어나지만 생활비 또한 128% 증가한다고 분석한 현지 리크루트 업체인 걸프탤런트(GulfTalent)의 조사 결과는 이를 대변한다. 


<두바이로 이주할 경우 소득 수준 및 생활비 변화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1c824c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8pixel, 세로 627pixel

[자료: GulfTalent]

  

최근 UAE 정부는 세법상 거주지 결정에 관한 내각령*, 거주지 결정 중 특정 조항 이행에 관한 재무부 장관령**을 통해, 개인과 법인을 위한 세법상의 거주자 자격 조건을 정의하고 세금 거주증(Tax Residency Certificate) 발급을 시작했다. 이중과세 방지와 조세회피 예방을 위한 제도 도입이라는 발표에도 일각에서는 향후 소득세 제도 도입을 위한 사전 준비라는 의견도 있어 장기적인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Cabinet Decision  85 of 2022 on Determination of Tax Residency, 2022년 11월

**Ministrerial Decision 27 of 2023 on Implementation of Certain Provisions of Cabinet Decision  85 of 2022 on Determination of Tax Residency, 2023년 3월

 

ㅇ 영어 통용 및 다양한 문화 체험 vs 종교 문화적 제약

 

역동적이고 다양한 UAE 근로 환경은 세계지도의 축소판이라 할수있다. 200여 개가 넘는 국적의 인구가 모여사는 멜팅팟인 UAE에서는 전 세계의 모든 국적자와 언어, 종교와 문화를 만나고 체험해 볼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국적 외국계 기업부터 에미레이트 항공 및 디피 월드(DP World)와 같은 국영기업까지 글로벌한 회사에 재직 중인 외국인들은 공식어인 아랍어를 못하는 경우도 많고, 영어나 제2외국어로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하다. 

 

<멜팅팟 혹은 혼합 샐러드로 묘사되는 두바이>

[자료: HCT Dubai]

 

다국적 동료나 이웃들과 생활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접한다는 점은 장점이 되는 반면 일상생활에 제약이라는 단점이 되기도 한다. 국교가 이슬람교인바 비무슬림 외국인이라 할지라도 지정된 장소에서만 음주와 돼지고기 취식이 가능하며, 이슬람의 교리에 따라 국적을 불문하고 음주로 인한 사회문제 야기나 미혼 남녀의 동거 및 혼숙을 엄격히 금지해왔기 때문이다.

 

UAE 정부가 2020년 말, 획기적인 가족법, 민법 개정을 통해 음주를 범죄로 취급하지 않으며 미혼 남녀의 동거를 허용하는 타문화권 외국인들의 정서적 진입장벽을 낮추기 노력을 진행 중인 바 종교나 문화적 특성에서 오는 환경적 제약은 점차 완화 될 전망이다.

 

ㅇ 높은 의료 서비스 수준과 의료보험 제도는 양날의 검

 

UAE에서는 국가 차원의 의료 인프라 투자가 활발하며, 많은 의료 인력이 미국, 영국, 독일 등의 의료 선진국에서 교육받은 인재로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에 걸맞게 서비스 가격 또한 매우 비싼 편으로 두바이 최고 수준의 병원에서 의사와의 외래진료(Consultation) 비용은 1회(약 20분 내외)에 700디르함, 자연분만 출산 비용은 2만5000 디르함에 달한다. 연간 약 1만5000 디르함(30대 여성 기준) 수준의 사설 의료 보험에 가입을 할 경우 최고 수준의 병의원과 의료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하며 진료비와 약 값을 전혀 내지 않고도 이용이 가능하다. 진료 예약도 온라인 및 전화로 손쉽게 가능하고 대기도 거의 없는 편이다.  

 

2021년 기준 60여 개 이상의 보험사가 존재, 외래 진료비, 수술비, 입원 및 통원 치료비에 이르는 보장 항목과 각급 병의원 수준에 따라 수백여 가지 의료 보험 패키지를 제공하는 등 UAE는 안정적인 의료보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고소득 전문직의 경우 고용인과 가족 구성원 모두를 위한 최고 수준의 의료 보험을 고용계약 조건에 포함해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반면 UAE 거주 피고용 외국인의 경우 근로 계약을 맺고 있는 고용주가 고용인의 의료보험 비용 부담의 의무를 지는 현지 노동법이 존재함에도 현지법은 최소 혜택의 보장만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 때무에 비숙련 일반 근로자의 경우 혜택이 거의 없는 저가의 의료보험을 제공받아 실제 혜택을 받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40세 이상이나 1세 미만의 영아, 지병이 있는 경우 보험료는 수만 디르함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고가의 보험 가입에 부담을 느끼는 근로자와 가족들이 본국으로 돌아가 치료를 하는 경우도 흔한 편이다.

 

ㅇ 기타(업무 외 시간 多, 수시 채용에 따른 이직기회多, 고용의 안정성 少)

 

UAE에서는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주 4.5일 근무제, 유연근무제, 재택근무제 등 다양한 방식의 근무 제도를 도입해 높은 생산성과 근로자의 사기 진작을 표방한다. 이는 각 업계 사기업에도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1년 이상 근무 시에는 연간 30일(Calendar Day 기준)의 유급휴가가 주어지며 한 달간의 라마단 기간에는 기존 8시간 근무에서 2시간 단축근무를 시행한다. 고용인의 입장에서는 여유 있는 업무 외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동시장이 유연하고 수시 채용이 빈번해 경쟁력을 갖춘 인재라면 이러한 여유시간을 활용해 학업이나 자격증을 이어가면서 언제든 더 나은 근무형태나 급여, 베네핏을 제공하는 회사로의 이직을 이어나가기도 한다. 특히 UAE에서는 링크드 인(Linked In)이나 인맥 기반의 추천이 보편적인 채용 방식으로 가벼운 대화를 통한 이직 제안이 자연스러운 상황이다. 회사에 대한 로열티를 상대적으로 중요시하는 한국과는 달리 다양한 분야의 재직 경험을 강점으로 보는 채용시장 특성과 이직을 더 나은 기회를 위한 당연한 움직임으로 보는 현지 분위기 또한 잦은 이직을 장려 한다.

 

반면 UAE 회사들은 업무 강도가 높은것으로 유명하며 노동법상 고용조정에도 상당한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용보호 안정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UAE 노동법은 기간제 계약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특정 업무 완수가 되면 계약기간이 종료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비즈니스 상황에 따른 정리해고, 성과나 역량 부족에 기반한 해고 등 고용주의 의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계약 종료 사유가 합법적으로 악용될 수 있다. 계약기간 중이라 하더라도 30~90일에 이르는 사전통지 시 고용계약의 해지가 가능하다.

 

특히 고용주가 고용인의 거주비자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해고될 경우 고용인의 UAE 거주비자는 자동적으로 취소가 된다. 수십 년을 일하고 살았던 UAE라 할지라도 재취업을 하지 못하면 직장뿐만 아니라 생활기반까지 잃고 1개월 내에 출국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지난 2020년, UAE 고용시장의 한파가 그 대표적 사례인데 꿈의 항공사로 알려진 에미레이트 항공 또한 코로나19를 계기로 파일럿, 승무원 등 소속 직원 1000여 명에 해고 조치를 내렸다. 비자가 취소된 해고 직원들의 본국 귀환이 계속되면서 인구 유출 문제로까지 이어졌다. 


2023년 1월, UAE 인적자원과 에미라티제이션부(MoHRE)의 실업보험 제도 발효에 따라, 생활의 안정과 재취업의 기회를 위한 최소한의 구제장치가 마련됐다. 다양한 장기 거주 비자제도가 신설되는 추세이기는 하나 UAE의 유연한 노동시장은 기회요인이자 위협요인이 되기도 한다.



시사점

 

UAE는 인구의 약 70%는 경제 활동에 참여 중인데 이 수치는 여성 근로자의 비중과 함께 매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전체 인구 중 88%의 비중이 외국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희망자들이 한번쯤 UAE 취업을 꿈꿔볼 가치가 있다. 또한 현재 UAE 근로자들은 대체적으로 현재 근무 중인 직장에 대해 만족하며 생활하고 있고, 그 중 20~30대는 두바이와 아부다비의 호화로운 생활환경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가볍게 여길 수 없는 타지 생활에 높은 직장 만족도는 UAE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취업 준비생이나 이직 준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한국과 비교하면 소득세가 없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급여를 수령할 수 있다. 그만큼 거주비와 생활비도 높지만 누구든지 영어로 소통할 수 있고,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의료보험도 타 국가와 비교하면 혜택이 좋은 편이다. 다양한 국적의 근로자들이 활동하는 다문화적 환경에서 생활하고 적응하기 위해서는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도 필요할 것이다.


특히 UAE 노동시장은 신규 채용보다는 퇴사자의 대체나 충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만약 UAE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면 현지 고용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적극적으로 기회를 모색하는 습관을 기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작정 이력서를 제출하기 보다는 현지에서 구인 수요가 높은 재무·회계, 금융, IT 기술, 법률 관련 분야 관련 기술 및 업무 경험을 먼저 쌓는 것이 UAE에 취업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전략이 될 것이다. 신입보다는 바로 실무에 투입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현지 특성상 최소 2~3년의 실무 경험을 먼저 쌓은 후에 UAE 취업시장에 도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인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먼저 키우는 것이 핵심이다.

 

* 참고사항

 

채용공고는 아래 현지 구인정보 웹사이트를 통해 취업 준비생 및 이직 희망자가 상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UAE에 위치한 한국기업의 경우 UAE 한인회, 월드잡플러스에서 가장 많은 공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외국기업들은 주로 링크드인, GulfTalent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KOTRA 두바이무역관 K-Move 센터는 UAE 취업 준비생 및 이직 희망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취업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네이버 카페(https://cafe.naver.com/kotradubai) 및 카카오톡 비즈니스채널(http://pf.kakao.com/_VsvxgK)을 통한 간단한 취업 멘토링도 제공하고 있다. UAE 취업 관련 정보가 필요한 경우 언제든 두바이 K-Move 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KOTRA 두바이무역관 K-Move 센터(이경미 대리 : +971-450-4360(310) / miadxb@kotra.or.kr)


구분

웹사이트 주소


UAE 취업 시 유용한

구인정보 웹사이트

UAE 한인회

https://uae.korean.net/

월드잡플러스

https://www.worldjob.or.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

GulfTalent

http://www.gulftalent.com/

Naukrigulf

https://www.naukrigulf.com/

Bayt

https://www.bayt.com/en/uae/

UAE 노동법 및 비자 관련 정보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96706

UAE 실업보험제도 관련 정보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Gbn=322&bbsSn=322&pNttSn=202012

 




자료: World Bank,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United Nations, Robert Half, khaleej times, Hays, Central Bank of the U.A.E., Cigna Healthcare,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외국인 다수·여성 증가, UAE 노동시장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