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로 친환경에 한걸음 가까워진 호주
  • 트렌드
  • 호주
  • 시드니무역관 노희연
  • 2024-05-30
  • 출처 : KOTRA

호주의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사업 FOGO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제품의 수출 기회 확대

호주 음식물 쓰레기 현황


2022년 호주 국가 폐기물 리포트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연간 4800만 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 과정에서 메탄,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는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온실가스는 호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3%를 차지한다. 처리 비용은 연간 366억 호주 달러(약 33조 원)다. 이에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과 비용 문제로 꾸준히 지적받고 있다. 연방 정부는        5 1개는 소비되지 못하고 쓰레기통으로 향하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새로운 음식물 분리배출 시스템: FOGO


호주의 지자체들은 일반 쓰레기와 함께 배출돼 매립지로 향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기 위해 FOGO(Food and Organic Waste) 순차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FOGO란 음식물 쓰레기를 뜻하는 FO(Food Organics Waste)와 정원 폐기물을 의미하는 GO(Garden Organics Waste)의 합성어로 FOGO 쓰레기통에 정원 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함께 분리배출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FOGO 정원에서 주로 발생하는 나뭇가지, 이파리 등의 정원 폐기물 분리배출을 통해 퇴비화되는 것에서 착안한 시스템으로, 음식물 쓰레기도 퇴비화 시설에서 처리  있도록 한다호주 정부는 2019 국가 폐기물 실행 계획에서 FOGO 도입을 통해 2030년까지 매립지로 향하는 유기 폐기물(정원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양을 절반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한 바 있다.


<호주 지역별 FOGO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지자체 비율>

 

[자료: ABC News]


뉴사우스웨일즈 주의 Penrith 카운슬은 지난 2009 FOGO 처음 도입한 지자체로 알려져 있다. 펜리스(Penrith) 시의회는 일반 쓰레기의 절반 정도가 유기 폐기물임을 발견한 FOGO 도입했다. 해당 지역은 2021년까지 10년간의 음식물 분리배출 시범을 통해 35만8278톤 FOGO 폐기물을 수거했다. 그중 33만5540톤 폐기물이 매립지 대신 퇴비화 시설로 향했다. 펜리스 지역의 눈부신 성과를 필두로 다양한 지자체가 FOGO를 도입하고 있다. 


뉴사우스웨일즈 주 정부의 목표는 2030년까지 모든 지자체에서 FOGO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추듯 뉴사우스웨일즈 주의 파라마타(Parramatta) 시의회는 지난 달인 2024년 4월 FOGO 시행을 발표했다. 파라마타 시의회는 FOGO를 통해 "2038년까지 매립지로 향하는 폐기물의 85%를 퇴비화 시설로 향하도록 전환할 것이며 동시에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함께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자체는 수거용 쓰레기통과 키친캐디를 차례대로 배부한 뒤 2024년 11월부터 FOGO 서비스를 시행될 예정이다. 


 <파라마타(Parramatta) 시의회 FOGO 홍보자료>

[자료: Parramatta council 홈페이지]


소형 음식물 쓰레기통: 키친 캐디


여러 지자체에서 FOGO 사업과 함께 주방에 두고 사용할 있는 키친 캐디(Kitchen Caddy) 소개하고 있다. 키친 캐디는 일반적으로 실외에 두고 사용하는 수거용 대형 쓰레기통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시 용기로, 실내 두고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버릴 있게 하는 소형 쓰레기통을 뜻한다. 다만 키친 캐디는 수거용 용기가 아니므로, 키친 캐디를 사용하는 주민들은 키친 캐디에 모은 음식물 쓰레기를 최종적으로 수거용 대형 쓰레기통에 옮겨 담아야 한다.


<판매중인 키친 캐디 이미지>

업체명

제품 이미지

SULO

Source Separation Systems

[자료: SULO, Source separation Systems 홈페이지]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지자체 상당수 FOGO 서비스의 한 단계로써 주민들에게 키친 캐디를 무료 배포하고 있다. 키친 캐디는 수거 용도보다 손쉽게 쓰레기를 모으기 위해 제안되는 제품이다. 이 때문에 수거용 쓰레기통보다 색상, 크기 등 규격에서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키친 캐디 사용을 권하는 지자체에서는 주민들이 키친 캐디를 직접 구매해도 무방하며 아이스크림, 요거트 용기 등 다양한 용기 대체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쓰레기봉투: 키친 캐디 라이너


지자체에 따라 FOGO 쓰레기통을 통해 배출가능한 폐기물의 종류는 조금씩 상이하지만, 다수의 지자체가 키친 캐디용 쓰레기봉투인 '키친 캐디 라이너(Kitchen Caddy Liner)'와 함께 배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키친 캐디 라이너를 통해 주민들이 간편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일정 기간 사용할 수 있는 키친 캐디 라이너를 무상으로 배부하는 지자체도 찾아볼 수 있었다. 때 키친 캐디 라이너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퇴비화 시설로 향해 퇴비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호주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인증인 'AS 4736' 취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생분해 플라스틱 인증 AS 4736 로고>

 

[자료: Australasian Bioplastics Association 홈페이지]


시사점


호주 내에서는 아직은 새로운 분리 배출 방법이 혼란스럽다는 의견도 . 실제로 수거용 쓰레기통이 아닌 키친 캐디를 내놓는 사례가 있다. 하지만 매립 쓰레기의 양을 줄여 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폐기물 수거 목표에 향한다는 점에서 점점 많은 지자체에서 FOGO를 시행하고 교육에 공을 들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드니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업체는 "국내에서 판매 중인 소형 음식물 쓰레기통에 호주 업체가 큰 관심을 표했다"고 전했다. 이 업체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이 보편화 돼있는 국내에서 제품을 차별화해온 것이 호주 바이어에게는 혁신적으로 느껴진 것 같다"고 밝혔다. 이렇듯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이 비교적 친숙한 국내 업체들에는 호주의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정책이 앞선 제품을 선보일 새로운 기회가 있다.


다만 키친 캐디와 키친 캐디 라이너 모두 지자체 주도의 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양이 적지 않은 제품인 만큼, 호주 조달청과 입찰 시스템에 대한 이해는 물론, 호주 바이어와의 깊은 논의가 선제돼 것이다.


자료: Australasian Bioplastics Association, SULO, Source separation Systems, ABC News 및 지방 자치 단체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로 친환경에 한걸음 가까워진 호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