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할랄이라 쓰고 화장품이라 읽는다: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
  • 트렌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정윤재
  • 2024-05-14
  • 출처 : KOTRA

할랄 화장품에 대한 수요는 향후에도 긍정적

할랄 인증을 바탕으로 명확한 브랜딩 전략 도출해야

개요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무슬림 인구를 가진 국가로, 할랄 산업이 잘 발달했다. 인도네시아의 총인구는 2억7600만 명으로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으며, 이 중 87%가 무슬림이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2023년 글로벌 이슬람 경제지표(Global Islamic Economy Indicator, GIEI)에서 말레이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GIEI는 이슬람 경제의 주요 부문인 할랄 식품, 이슬람 금융, 할랄 제약 및 화장품 등을 평가하며 2023년에는 81개국을 대상으로 이슬람 발전 수준을 평가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할랄 제약 및 화장품 분야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순위에 올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분석은 Dinar Standard가 발간하는 연례보고서인 '2023/24 State of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이슬람 경제와 관련된 여러 산업 분야의 발전 상황과 트렌드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2023년 글로벌 이슬람 경제지표(GIEI) 순위> 

순위

국가 명

글로벌 이슬람 

경제지표

이슬람 금융

할랄 음식

무슬림 친화적

여행지

패션

미디어

약 및 화장품

1

말레이시아

193.2

408.7

128.0

99.4

73.6

74.4

73.9

2

사우디아라비아

93.6

194.9

48.5

99.7

34.3

37.5

34.3

3

인도네시아

80.1

93.2

94.4

60.7

66.3

52.4

58.6

4

아랍에미리트

79.8

115.7

59.2

136.2

51.3

44.5

41.3

5

바레인

75.0

125.1

55.0

88.1

33.4

49.6

38.5

6

이란

74.6

159.8

41.2

65.7

20.5

24.2

33.1

7

튀르키예

74.0

46.1

85.1

161.8

86.2

46.0

52.6

8

싱가포르

62.7

52.2

67.7

50.3

64.3

72.6

79.9

9

쿠웨이트

60.2

123.6

42.2

28.7

20.0

26.8

29.2

10

카타르

57.1

74.4

49.7

60.4

37.4

63.3

37.2

[자료: 2023/24 State of the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할랄 화장품, 일반 화장품과 무엇이 다를까? 

 

할랄 화장품은 이슬람 율법(샤리아)에 따라 생산, 가공, 패키징되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할랄”이란 아랍어로 “허용된”을 의미하는 단어로, 할랄 화장품은 무슬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인증받은 제품을 지칭한다. 할랄 화장품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할랄 화장품의 주요 특징> 

구분 

설명 

원료 

할랄 화장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는 샤리아 법에 의해 금지된 성분(돼지 유래 성분)을 포함해서는 안 됨 

생산 과정 

제품의 제조 및 처리 과정에서도 할랄 기준을 준수해야 함. 예를 들어 돼지 파생 재료 등 하람(무슬림 금지) 재료의 교차 사용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정해진 방식으로 생산돼야 함 

포장 및 라벨링 

할랄 화장품은 적절하게 할랄 인증마크가 분명하게 표시돼 있어야 함 

윤리적 가치 

동물 실험을 배제하고 윤리적인 생산 방식을 따라야 함 

[자료: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할랄 화장품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종교적 의미를 넘어 현대적 웰빙과 품질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화장품은 성분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도 엄격한 기준을 준수하도록 요구받으며, 이는 소비자의 생활 방식과 가치관을 반영한다고 평가받는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가 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성장하는 할랄 화장품 시장 

 

세계적으로 할랄 화장품 시장은 매년 성장해 왔으며 향후에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Statista에 따르면 전 세계 할랄 화장품 시장의 매출 규모는 증가 추세를 보여왔다. 2022년 할랄 화장품 시장 매출액은 272억 달러였으며, 2028년에는 43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전 세계 할랄 화장품 시장 매출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Market Insight]


그렇다면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은 어떨까?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 규모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할랄 시장품 매출은 2022년에 56억 달러였으며, 2028년에는 92억 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 매출 규모> 

(단위: US$ 십억) 

[자료: Statista Market Insight]


할랄 화장품 시장의 성장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무슬림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가 있다. 2023년에 무슬림 인구가 20 명을 넘어서며 세계 인구의 25% 이상을 차지했고,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50년에는 무슬림 인구가 28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인구의 30% 수준이 것이다. 이는 할랄 화장품에 대한 지출 증가로 이어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둘째, 소비자의 인식 개선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 성분과 유해 물질이 없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할랄 화장품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동물 실험을 배제하고 윤리적인 생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인기를 얻고 있다. 이는 할랄 화장품의 소비를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할랄 화장품은 무슬림뿐만 아니라 비무슬림 소비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할랄 화장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의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2022년에 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이 할랄 화장품을 수입한 국가로, 이는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의 규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산업 발전 측면에서도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기대된다. 2022년에 화장품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 수는 최소 913개였으나, 2023년에 1010개로 증가했다고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는 밝혔다. 이러한 수치는 인도네시아 내에서 할랄 화장품 산업이 얼마나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 경쟁 동향 

 

다양한 업체들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할랄 화장품 브랜드들은 품질, 윤리적 원자재 조달, 할랄 기준 준수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할랄 제품을 출시하는 몇몇 브랜드들은 다음과 같다. 

 

<인도네시아 주요 화장품 브랜드> 

브랜드 

이미지 

제품 종류 

기본 정보 

Mustika ratu  

  

스킨케어, 헤어케어, 페이스 메이크업,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화장품 

브랜드로, 캐나다, 미국, 체코, 수리남, 대만을 

포함한 20여 개국에 진출 

Sariayu Martha Tilaar  

 

스킨케어, 립케어, 바디케어, 헤어제품  

인도네시아의 오래된 브랜드 중 하나로, 

호주,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모리셔스 등 진출 

Wardah  

 

스킨케어, 립케어, 아이메이크업

페이스메이크업 

인도네시아에서 오랜 시간 동안 할랄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기업 

BLP Beauty  

 

페이스 메이크업, 립메이크업 

2016 설립돼 2022 파리 패션 위크에 

최초로 참가 자격을 얻은 인도네시아 브랜드 

Make Over  

  

아이, 페이스메이크업, 립케어

스킨케어  

제품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색상, 질감, 기능을 

갖춘 전문 화장품 브랜 

Luxcrime  

 

아이, 페이스메이크업, 립메이크업 

2015년에 인도네시아 여성 피부 톤에 맞는 다양한 색상의 화장품 판매 

ESQA  

  

아이, 페이스메이크업, 립케어

립메이크업 

인도네시아 최초의 비건 화장품 브랜드 2017년부터 수익을 내기 시작한 이래 견고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도 판매 중 

Somethinc  

  

페이스메이크업, 립메이크업, 스킨케어, 바디케어, 헤어케어 

2019 등장했으며, 젊은 층을 타겟하기 위해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인증과 관련된 사항들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고자 한다면 어떠한 점을 유의해야 할까? 인도네시아는 현재 사전수입승인제도(Persetujuan ImporPI)라는 수입 쿼터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참고할 만한 해외시장뉴스 링크:  

(1) “인도네시아 수입 규제 강화 동향, http://bit.ly/IndonesiaImportRestriction” 참조 

(2) 인도네시아, 화장품·건강보조식품·의약품 사전수입승인제도 안내 https://me2.do/xdf7ccxC참조 

 

이번 뉴스에서는 화장품과 관련해 필요한 인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할랄 인증은 2014 제정된 할랄 보장법을 근거로 하며, 법에 따라 할랄 제품은 반드시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관련 제도가 아직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해 계도기간을 설정했다. 식음료 제품은 2024 10 18일부터 할랄 인증 의무화가 시작되며, 화장품은 2026 10 17일까지 계도기간이 주어진다.

 

다음으로 할랄 인증과 관련해 인도네시아의 유관기관을 소개하고자 한다. 할랄 인증 관련 부처/기관은 아래 표와 같다.

 

<인도네시아 주요 할랄 인증 관련 부처/기관> 

부처/기관 

기능 

① 할랄보장청

(Badan Penyelenggara Jaminan Produk Halal, BPJPH) 

종교부 산하 기관으로 할랄 인증 신청을 접수하고 인증서 발급 및 관리를 전담 

② 종교부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종교 사무의 최상위 규제기관으로 할랄 인증 프로세스를 감독 

③ 이슬람평의회

(Majelis Ulama Indonesi, MUI) 

BPJPH가 전달한 제품의 할랄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의 할랄성 확정 

④ 할랄심사기관

(Lembaga Pemeriksa Halal, LPH) 

제품의 할랄성에 대한 심사 및 검사 수행 

⑤ 식약청

(Badan Pengawas Obat dan Makanan, BPOM) 

품질 및 안정성 평가, 등록 심사와 할랄 및 하람 제품 구분 확인과 라벨링 실시 

[자료: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할랄 인증 신청 절차는 아래 그림과 같다.


<할랄 인증 절차도>

[자료: PT Green Nature Far 임준한 대표(자카르타무역관 인증 자문위원),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2023년 11월에 한국할랄인증원(Korea Halal Authority, KHA)과 한국이슬람중앙회(Korea Muslim Federation, KMF)는 인도네시아 할랄보장청(BPJPH)과 상호인정협정(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MRA)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 따라 한국의 이 두 기관 중 어느 한 곳에서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은 인도네시아에서 별도의 할랄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나 국내에서 취득한 할랄 인증을 가진 제품이 인도네시아에 유통되기 전에는 반드시 할랄보장청(BPJPH)에 해외할랄인증 등록을 해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제품은 등록번호를 부여받고,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로고를 제품에 의무적으로 표기해야 한다. 또한 유효한 해외할랄인증서를 가진 인도네시아 수입사는 할랄보장청의 '해외할랄인증등록'에 절차를 따라 등록해야 하며, 이는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현재는 온라인 신청 시스템이 구축 중이어서 아직 접수가 시작되지 않았다. 

 

인도네시아에 화장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식약처격인 BPOM 등록을 해야 한다. 이는 수입 화장품의 품질과 효능을 점검하고, 안전한 소비자 제품의 유통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이다. 화장품을 BPOM 등록하는 주체는 수입사로, 수입사는 수입사 식별번호(API-U) 소지해야 한다. 수입사는 BPOM 기관에서 유통 허가 수입허가를 받아야 하며, 수출업체는 제품의 성분, 제조 방법, 효능 안전성 데이터를 준비하고, 제품의 포장 라벨링이 인도네시아의 규정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BPOM 등록은 온라인으로 신청할 있으며, 신청 사이트는 https://notifkos.pom.go.id/에서 접속 가능하다. 서류 심사를 거쳐 통과하면 등록 허가증이 발급된다. 

 

시사점 


자카르타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현지 화장품 업체인 S사의 담당자는 인도네시아에서 무슬림 인구가 다수인 점을 고려할 할랄 마케팅이 유효한 전략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많은 소비자는 할랄 인증뿐만 아니라 성분의 투명성 또한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할랄 화장품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업체들은 브랜딩 전략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할랄 제품으로서의 정체성, 미용 효과, 또는 가격 경쟁력 등 중 어떤 측면을 강조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 우리 기업이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장에 진출함에 있어 할랄 인증을 넘어서는 전략이 필수적이다. 제품의 성분 투명성, 효과성, 가격 경쟁력 등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브랜드의 신뢰성을 구축한다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있을 것이다.



자료: Statista, 2023/24 State of the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할랄이라 쓰고 화장품이라 읽는다: 인도네시아 할랄 화장품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