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 마스크팩 시장에 주목해야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4-05-14
  • 출처 : KOTRA

주된 제품은 시트형 마스크팩

중국 국산 브랜드가 시장 주도해

2025년 중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 750억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중국 마스크팩 시장은 1990년대 부직포형 마스크팩이 처음 시장에 출시된 이후 지속해서 확대돼 왔다. 중국인들의 1인당 국민소득 증가, 미(美)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며 중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2023년 660억 위안까지 확대됐으며 2025년에는 750억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부직포형 마스크팩: 시트형 마스크팩의 일종으로 부직포를 기초재로 사용해 만든 마스크팩. 부직포 섬유 직물을 얼굴 모양으로 잘라 포장재에 넣은 후 마스크팩 액체를 붓고 포장재를 밀봉하는 제품으로 마스크팩 액체를 함유하는 부직포 마스크팩

 

<2018~2023년 중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쟈스(嘉世)컨설팅]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마스크팩 시장 침투율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018년 중국 마스크팩 시장 침투율은 49%에 달했지만 2023년 59%까지 상승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시장 침투율: 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시장에서의 보급 정도를 의미하는 표현

 

<2018~2023년 중국 마스크팩 시장 침투율 추이>

(단위: %)

[자료: 칭옌(青眼)정보]

 

2023년 3분기까지 마스크팩은 중국 스킨케어 시장에서 11.99%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점유율 기준 상위 4위에 위치했다. 1~3위는 페이스케어 세트(27.47%), 페이스 에센스(16.51%), 로션/크림(13.33%)이 차지했다.

 

<2023년 1~9월 티몰 플랫폼 스킨케어제품 카테고리별 시장점유율>

(단위: %)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시트형 마스크팩이 시장 주도

 

마스크팩은 사용 방법에 따라 시트형 마스크팩과 크림형 마스크팩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시트형 마스크팩은 얼굴에 붙여 쓰는 마스크팩이며, 재료는 부직포에서 실리콘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음. 크림형 마스크팩은 제품 형태에 따라 클레이 마스크팩, 하이드로겔(hydrogel) 마스크팩, 파우더 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중국 마스크팩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시트형 마스크팩 제품이다. 2023년 티몰(天猫) 플랫폼에서 시트형 마스크팩의 시장 점유율은 72.8%를 기록했다. 브랜드 수 또한 시트형 마스크팩은 53만2663개를 기록해 28만9080개의 크림형 마스크팩보다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티몰 마스크 팩과 크림 마스크 팩 SKU 수 및 브랜드 수 비교>

(단위: 개)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수딩 리페어 기능의 마스크팩 시장점유율이 점차 확대

 

다음으로 마스크팩 종류별 판매량을 보면, 수분 보습형 마스크팩 판매량이 1위로 나타났으며 2위는 리페어형 마스크팩, 3위는 미백/잡티 제거형 마스크팩이 차지했다.

 

<2023년 수분 기능별 마스크팩 판매량 비중>

(단위: %)

*통계 범위: 티몰/틱톡/콰이쇼우/징동 판매량 TOP500 마스크팩 상품

**플랫폼(티몰/틱톡/콰이쇼우/징동)별 복수응답 허용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의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중국 국산 브랜드 시장 주도

 

2023년 중국 주요 온라인 플랫폼(티몰/징동/틱톡) 마스크팩 매출액 TOP10 브랜드 중 중국 국산 브랜드가 8개를 차지했다. TOP10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합계는 28.8%이며 TOP10 브랜드 내 중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20.81%이다. 이는 10대 브랜드의 72%를 차지하는 수치로, 중국 국산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위인 L’OREAL과 Kiehl’s를 제외한 TOP10 중 8개 브랜드가 중국 국산 브랜드이다.

 

<2023년 1~9월 판매액 TOP10 마스크팩 브랜드 시장점유율>

(단위: %)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중국 국산 브랜드 선호 비율이 48.62%로 가장 높긴 하지만, 한국, 일본 브랜드 선호 비율도 38.77%에 달했다. 유럽, 미국 브랜드 선호 비율은 8.31%로 한국과 일본 브랜드 선호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중국 마스크팩 소비자의 국가(지역)별 브랜드 선호 비율>

(단위: %)

[자료: 칭옌(青眼)정보]

 

50~100위안 마스크팩 판매 비중 가장 높아

 

마스크팩 가격대별 선호 비율을 살펴보면, 50~100위안대 마스크팩 선호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3.69%의 소비자가 50~100위안대 마스크팩을 선호한다고 응답했으며, 2위는 100~150위안(25.54%), 3위는 50위안 이하(14.77%)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의 마스크팩 가격대 선호>

(단위: %)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중국 시장 주요 마스크팩 브랜드>

순위

제품명

브랜드

제품 이미지

가격

1

수분 보습 팩

L’ORÉAL

349위안/30매

2

클로렐라 수분 보습

PROYA

99위안/33매

3

히말라야 수분 보습팩

CHANDO

78.4위안/28매

4

알레르기 완화/

수분 보습

Winona

99위안/8매

5

미용시술 후 리페어

Voolga

126위안/5매

6

수딩 리페어 팩

Dr.alva

89위안/10매

7

수분 보습 팩

fan beauty diary

138위안/5매

8

히알루론산 수분 보습 팩

OSM

49.9위안/30매

9

포어 클렌징 마스크

Kiehl's

345위안/125ml

10

수분 보습/화이트닝 팩

Mr.Roland

109위안/5매*10

[자료: 징동(京)]

 

타오바오 계열(타오바오+티몰)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이 1위 차지

 

2023년 판매 채널(플랫폼)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오프라인 채널의 판매 비중이 50.2%로 1위를 차지했으며, 2위는 온라인 채널, 그 중에서 타오바오계열(타오바오+티몰) 플랫폼(19.6%)이 차지했다.

 

<2023년 1~9월 마스크팩 시장 채널별 매출액 비중>

(단위: %)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매출액 증가율을 기준으로 보면, 오프라인 채널과 타오바오계열 플랫폼 매출액 증가폭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틱톡과 콰이쇼우 매출액은 증가하고 있다. 2023년 콰이쇼우 플랫폼 마스크팩 매출액 증가율은 37.8%에 달했다. 콰이쇼우와 틱톡 매출액 증가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최근 라이브커머스를 활용한 마케팅이 증가하고 소비자들 또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마스크팩을 구매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023년 1~9월 주요 유통채널별 마스크팩 매출액 증가율>

(단위: %)

*2023년 3분기까지 통계만 공개돼 2023년 9월까지 통계 활용

[자료: 칭옌(青眼)정보]

 

시사점

 

① 민감성 피부용 제품 개발 필요

 

최근 몇 년간 민감성 피부 스킨케어 시장 규모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일부 마스크팩 핵심 소비자는 피부가 민감해 계절이 바뀌거나 여행 중에 피부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관련기업은 민감성 피부 소비자의 니즈를 주목해 피부 민감성을 진정시키고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② 남성용 피부관리 제품 개발 필요

 

중국 남성들의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중국 남성 소비자들은 여드름 제거 기능이 있는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마스크팩 기업들은 이러한 수요를 겨냥해 여드름 제거 기능이 탁월한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향후 변화될 중국 남성들의 스킨케어 수요 변화에도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③ 미용의료시술 후 피부 리페어 수요 증가

 

산둥성 화장품 취급업체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의료 미용의 대중화가 계속 확대됨에 따라 의료 미용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도가 점차 향상됐으며 미용의료시술 후 피부 리페어에 대한 수요도 계속 증가할 것이다. 기존 마스크팩은 레이저 광자 치료 후 발생하는 피부 민감성이나 시술 후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관련기업이 제품을 개발할 때 소비자의 미용의료시술 후 발행하는 안면홍조, 색소 침착, 여드름, 피부 알레르기 등의 문제를 주목해야 한다.

 

 

자료: SOHU, 쟈스(嘉世)컨설팅, 티몰, 징동(京东), 친옌정보(青眼情报),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 마스크팩 시장에 주목해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