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세계적으로 유명한 베트남 네일케어 시장, 우리 기업의 공략법은?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최지영
  • 2024-05-14
  • 출처 : KOTRA

세계적으로 유명한 베트남 네일 시장, 성장세 지속될 전망

우리 기업의 수출 주춤세, Z세대 겨냥 마케팅 전략으로 극복해야

네일업계 원조격인 베트남

 

1960~70년대에 이어진 베트남 전쟁 이후 보트 피플(Boat People)’ 일부는 미국에 정착했다. 특히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 미국으로 피난을 간 많은 베트남 이민자는 진입 장벽은 낮지만 수요가 높은 네일숍 운영에 발을 디뎠고 현재는 이들이 미국의 네일 산업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BBC 뉴스에 따르면 베트남 전쟁 종전(1975)으로부터 40년이 지난 2015년 기준, 베트남계 네일 아티스트(nail technician)는 미국 전체 네일 아티스트의 51%를 차지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자격증을 갖춘 매니큐어 전문가 중 베트남계 미국인의 비율은 80%에 달했다.

 

<베트남 네일 아티스트의 네일 디자인 모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7780006.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337pixel

[자료: MPR News]

 

베트남 현지에서 네일 케어 체험을 원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도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관광청(Vietnam National Authority of Tourism, VNAT)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3년에 126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했으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자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70% 이상을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여성 관광객들을 중심으로 베트남 네일샵 방문은 ‘관광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 베트남 대형 여행사 관계자는 무역관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베트남 내 미용 서비스 가격이 한국에 비해 3분의 1 내지 4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여 주요 관광지 부근에 소재한 스파, 네일숍 등을 찾는 관광객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베트남 네일케어 시장의 성장세

 

외국인은 물론 베트남인들도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소비력이 상승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기적으로 네일 케어를 하기 시작했다. 현지 언론 베트남뉴(VietnamNews)는 급속한 도시화와 구매력 상승 등의 요인으로 매니큐어를 포함한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의 온라인 판매가 베트남에서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트남 정부 뉴스(VGP News)에 인용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월 소득 1000만 동(410달러) 이상인 베트남 여성의 68%가 미용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중 73%는 주기적으로 헤어 및 네일 케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2028년 베트남 네일 시장 규모(매출액 기준)>

(단위: US$ 백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7780ce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8pixel, 세로 289pixel

: 2024~2028년은 전망치(*)

[자료: Statista]

 

스태티스타(Statista)에 의하면 베트남 네일 시장은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 전년 대비 6.54% 감소했지만, 2022년부터 다시 회복되기 시작하여 2023년에는 시장 규모가 7416만 달러에 달했다. 향후에도 베트남 네일 시장은 매년 백만 달러 이상 성장해 2028년에는 시장 전체 매출이 8005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유로모니터(Euromonitor)베트남 뷰티 앤 퍼스널케어 2023’ 보고서에 의하면 네일 제품은 2023년 가장 실적이 좋은 카테고리로서 매출이 전년 대비 8% 증가한 1220억 동(503만 달러)을 기록했다.

 

베트남의 네일케어용 제품 수입 현황

 

<2019~2023년 베트남의 HS코드 330430 품목 국가별 수입액>

(단위: US$,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비중

1

중국

164,628

17,446

6,472

75,758

582,999

669.55

63.87

2

프랑스

230,426

59,180

82,161

178,627

137,957

-22.77

15.11

3

미국

311,128

65,845

38,506

38,772

93,772

141.85

10.27

4

터키

98,915

45,912

36,754

33,179

26,903

-18.92

2.95

5

멕시코

1,056

51

-

20,635

26,222

27.08

2.87

6

한국

162,874

62,197

49,114

96,278

24,305

-74.76

2.66

7

폴란드

3,949

11,749

16,236

24,487

12,156

-50.36

1.33

8

독일

2,488

-

6

8,131

5,576

-31.42

0.61

9

일본

16,787

271

128

788

1,016

28.93

0.11

10

이탈리아

1

1,100

421

-

900

-

0.10

 

기타

62,270

30,281

31,289

27,946

992

-2.39

0.11

 

총계

1,054,522

294,032

261,087

504,601

912,798

-14.01

100

: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및 2023년 기준 순위

[자료: GTA 2024. 5. 6.]

 

매니큐어, 네일 스티커, 인조 손톱 등 다양한 제품군 중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pedicure)용 제품류HS코드 3304.30으로 분류된다. HS코드 330430 품목의 수입은 2019년 기준 1054522달러에서 2023년 기준 912798달러로 감소하며, 코로나19 이전의 수입 규모로 완전히 회복되지는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23년 통계에서 특징적인 점은 저렴한 제품을 앞세운 중국의 시장 장악이다. 중국은 HS코드 330430 품목 관련 2022년 대비 669% 증가한 58만 달러의 베트남 수출을 기록하며, 베트남의 해당 품목 수입 시장에서 63.9%의 비중을 차지했다. GTA에 따르면, 베트남의 대()한국 HS코드 330430 품목 수입에 있어 한국은 2019년에 4위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수입국 순위에서 줄곧 2위에 올랐지만 2023년에는 중국 및 다른 경쟁국의 선전으로 인해 6위를 기록했다.

 

<2019~2023년 한국의 HS코드 330430 품목 ()베트남 수출 규모>

(단위: US$, %)

 

2019

2020

2021

2022

2023

()베트남

수출액

271,662

115,627

89,670

100,820

41,780

전체 수출액

15,734,687

19,789,192

30,289,874

39,335,903

23,793,204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1.73

0.58

0.30

0.26

0.18

수출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

10

13

15

15

20

[자료: 무역협회]

 

무역협회 통계에서도 적어도 현재까지는 해당 품목 수출 규모가 다른 수출 상대국 대비 크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전체 수출액에서 대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면서, 해당 품목 수출에 있어 베트남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391990 품목 국가별 수입액>

(단위: US$ ,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1

중국

216,459

341,395

389,409

418,073

461,072

10.29

2

한국

505,749

504,352

463,299

354,197

398,595

12.53

3

일본

90,347

111,276

107,575

99,074

104,550

5.53

4

대만

29,544

25,778

27,948

29,169

26,818

-8.06

5

태국

12,319

12,521

13,421

16,370

13,588

-16.99

 

기타

871,652

1,051,572

1,061,826

757,234

803,160

6.06

 

총계

1,726,070

2,046,894

2,063,478

1,674,117

1,807,783

7.98

: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및 2023년 기준 순위

[자료: GTA 2024. 5. 6.]

 

<2019~2023년 한국의 HS코드 391990 품목 ()베트남 수출 규모>

(단위: US$ 백만, %)

 

2019

2020

2021

2022

2023

()베트남

수출액

513.8

418.7

391.4

334.7

334.9

전체 수출액

1,597.4

1,403.9

1,535.6

1392.4

1,436.9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32.16

29.82

25.49

24.04

23.31

수출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

2

2

2

2

2

[자료: 무역협회]

 

반면, 젤네일 스티커가 포함되는 HS코드 391990 품목의 경우 베트남은 여전히 중요한 시장인 것으로 나타난다. GTA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한국이 해당 품목 수입 대상국 1위를 기록하다가 2022년 이후에는 2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역협회 통계에서는 최근 5년간 베트남은 해당 품목 관련 한국의 2위 수출대상국이었다. 비록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으로 수출되는 한국의 네일 케어 제품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모수인 전체 수출액의 변동에 따른 부수적인 비중 축소로 보이며 향후 현지 시장의 잠재력을 고려한다면 여전히 수출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시장으로 판단된다.

 

현지에서 유통 중인 주요 브랜드

 

베트남 네일케어 시장에는 한국 브랜드인 더페이스샵(The Face Shop)과 이니스프리(Innisfree) 외에도 레브론(Revlon, 미국), 메이블린뉴욕(Maybelline New York, 미국), 부르조아(Bourjois, 프랑스), 오리플레임(Oriflame, 스웨덴) 등 해외 브랜드가 진출해 있다.

 

<현지 진출 주요 해외 브랜드 및 네일 제품 사례>

브랜드

로고

제품 이미지

웹사이트

 

 

Bourjoi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e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0pixel, 세로 8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7780b9e.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6pixel, 세로 316pixel

https://www.bourjois.com/

 

 

 

Innisfre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25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e.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450pixel

https://www.innisfree.vn/

Maybelline New York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28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e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0pixel, 세로 1130pixel

https://www.maybelline.vn/

Oriflam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0pixel, 세로 22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778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26pixel, 세로 1080pixel

https://www.oriflame.vn/

Revl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a.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60pixel, 세로 42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d.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1065pixel

https://www.revlon.com/

The Face Shop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ae0000b.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114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e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45pixel, 세로 775pixel

https://thefaceshop.com.vn/

[자료: Euromonitor,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한편, 네일숍 방문에 대한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베트남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셀프 네일이 최근 인기를 얻고 있다. 베트남에서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인조 손톱, 네일 파츠, 네일스티커 및 손톱 강화제, 매니큐어, 네일파우더 등의 제품을 쇼피(Shopee) 및 라자다(Lazada) 등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네일 제품을 판매하는 현지 업체 일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베트남 현지 브랜드 사례>

브랜드

로고

제품 이미지

웹사이트

 

 

Hin Nai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7780008.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8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8778000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800pixel

https://hinnail.vn/

 

Vinh Tri Beaut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75500004.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87pixel, 세로 206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75500007.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500pixel

https://www.vinhtri.com/

 

 

Zurno Vietnam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7550262b.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500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75500006.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1024pixel 색 대표 : sRGB EXIF 버전 : 0210

https://www.zurno.com.vn/

[자료: Shopee,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의 네일케어 기술 및 네일숍이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렴한 비용, 기술력, 서비스 정신 등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아무리 독보적인 디자인이나 품질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저렴한 중국 제품과 비교했을 때 지나치게 가격이 높다면 시장 진출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현지에서 여전히 한류 및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좋기 때문에 진출 전략을 잘 세운다면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베트남의 Z세대를 겨냥해 베트남인에게 인기가 좋은 현지 또는 한국의 인플루언서나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디토(ditto) 소비(특정 인물이나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구매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지에서 뷰티 제품 온라인 구매의 주요 채널 중 하나로 사용되는 SNS마켓(TikTok Shop, Facebook Shop, Zalo Shop ) 입점을 추진하거나 베트남 소비자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현지에서 팝업 스토어를 운영하는 등의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작성자: 최지영

자료: Language on the Move, MPR News, Statista, GTA, Euromonitor, GTA, 무역협회, Shopee,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세계적으로 유명한 베트남 네일케어 시장, 우리 기업의 공략법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