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최근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동향 및 대중국 수입 동향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4-05-16
  • 출처 : KOTRA

대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입 의존도 감소

와이어링하네스 기업, 중국 생산 줄이고 동남아 생산 늘려

와이어링하네스란

 

와이어링하네스(Wiring Harness)는 자동차 내 전장부품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 신호를 각 전자제어 모듈에 전달해 주는 배선 역할을 하는 자동차부품이다. 차량 1대에는 1500~2000여 개의 전선이 필요한데 와이어링하네스는 이 전선을 종류별로 연결하는 신경망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다.

 

<자동차의 와이어링하네스 분포>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11/20240425100809630_6W1TV1Q0.png

[자료: 유라코퍼레이션]

 

이번 글에서는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동향과 신에너지차(전기차)에 필요한 와이어링하네스 종류를 살펴보고 최근 한국의 대중국 와이얼이하네스 수입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규모 지속 성장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생산 및 소비 시장으로서 와이어링하네스 판매량 또한 세계 최대 수준이다. 최근 6년간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하며 와이어링하네스의 시장 규모 또한 확대되었다. 관옌보고(观研报告)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규모는 670억 위안에서 814억 위안으로 성장했다. 2021년과 2022년 증가율은 10% 이상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16~2022년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규모 및 증가율>

(단위: 억 위안, %)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27/20240508113201536_0S8SC68I.png

[자료: 관옌보고(观研报告)]

 

고압 와이어링하네스, 신에너지차 핵심 부품으로 부상

 

일반 휘발유차는 12V 저압 와이어링하네스를 사용한다. 반면,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는 200~500V의 고압 와이어링하네스 사용 비중이 높다. 전기차의 경우 전기차 핵심 부품인 동력 배터리, 구동 모터, 제어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저압 와이어링하네스가 아닌 고압 와이어링하네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고압 와이어링하네스 이미지>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27/20240508113221870_AT6XLM3B.png

[자료: 후광(光)]


와이어링하네스 대중 수입 동향

 

차량별로 요구되는 전장부품의 종류와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차량별로 필요한 와이어링하네스의 종류도 다르다. 또한 와이어링하네스 생산 과정에서 수많은 전선을 묶고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화 공정 도입에 한계가 있어 노동력이 많이 투입된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어링하네스 제조사들은 생산원가 절감을 이유로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했다.

 

와이어링하네스 제조사들의 해외(중국) 진출이 본격화되며 한국의 대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90% 이상의 의존도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 20년간 90% 이상을 기록하던 대중 수입의존도는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와이어링하네스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감소 추세에 있다. 와이어링하네스의 대중국 의존도는 2019년까지 90%를 상회하는 의존도를 보였지만, 최근 3년간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지속해서 하락했다.

 

아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와이어링하네스의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2019년까지 대중국 수입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했지만,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며 와이어링하네스의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2023년 60.2%까지 하락했다.

 

<최근 10년 와이어링하네스 대중국 수입 의존도 변화>

(단위: %)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11/20240425100810579_WAUYXMZ6.png

[자료: 한국무역협회]

 

아래 두 표는 최근 10년 와이어링하네스 총수입액과 대중국 수입액, 총수입 물량과 대중국 수입 물량을 기재한 표이다.

 

와이어링하네스 총수입액 및 총수입 물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총수입액은 2014년 16억 달러에서 2023년 28억 달러로, 총수입 물량은 2014년 9만6000t에서 2023년 14만1000t으로 증가했다.

 

대중국 수입액은 2014년 15억 달러에서 2023년 17억 달러로 소폭 증가했지만, 2018년부터 수입액이 소폭의 증감 추세를 기록하고 있을 뿐 총수입액과 달리 추세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다.

 

대중국 수입 물량의 경우 2014년 9만3000t에서 2018년 9만4000t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8만4000t까지 하락했다.

 

총수입액과 총수입 물량 모두 최근 10년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인 것과 달리 대중국 수입액, 수입 물량은 2018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와이어링하네스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10년 와이어링하네스 총수입액, 대중국 수입액>

(단위: US$ 백만)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11/20240425100811360_T4EWR3DB.png

[자료: 한국무역협회]

 

<최근 10년 와이어링하네스 총수입 물량, 대중국 수입 물량>

(단위: t)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11/20240425100812163_KZBSVYKX.png

[자료: 한국무역협회]

 

와이어링하네스 대베트남 수입 동향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하락한 반면, 대베트남 수입 의존도는 증가하고 있다. 대베트남 수입 물량/수입액 의존도는 2020년 7.5%, 9.1%에서 2023년 25.0%, 24.7%까지 상승했다.

 

아래 두 표는 2020년~2023년 대중국, 대베트남 수입액/수입 물량 추이를 비교한 표이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수입액, 대베트남 수입액/수입 물량은 꾸준히 증가했지만, 2022~2023년 대중국 수입액/수입 물량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0~2023년 대중국, 대베트남 수입액 변화>

(단위: US$ 백만)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11/20240425100812958_6GI083LU.png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0~2023년 대중국, 대베트남 수입물량 변화>

(단위: t)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811/20240425100813740_CUP136UG.png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의 대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은 대부분 산동성을 통해 수입하고 있다. 2023년 대산동성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액은 10억8000만 달러로 대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액(14억)의 77%를 차지했다. 산동성 외 주요 수입 지역(성)으로는 랴오닝성, 안후이성 등이 있지만 대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로 미미한 수준이다.

 

즉, 산동성의 대한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출은 중국의 대한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산동성의 대한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출 비중이 높은 것은 유라, 경신, THN 등 한국의 주요 와이어링하네스 제조 기업들이 산동성에 진출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수입이 감소하고 대베트남 수입이 증가하는 것은 한국 와이어링하네스 제조 기업들이 중국 생산 비중을 줄이고 베트남 생산 비중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사점

 

산동성 소재 와이어링하네스 제조사 고위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2020년 초 코로나19로 와이어링하네스 수급 차질 문제가 발생한 이후 한국 완성차 업체와 부품사(와이어링하네스) 간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에 공감대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과도한 대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한국 와이어링하네스 제조 기업들은 중국 생산 비중을 줄이고 동남아(베트남) 생산 비중을 높이기 시작했고 그 결과 대중국 수입 비중은 90%대에서 60%대로 감소했으며, 대베트남 수입 비중은 7%에서 25%까지 상승했다고 밝혔다.

 

와이어링하네스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공급망 다변화 및 중국의 생산원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지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동남아 생산 비중은 지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와이어링하네스 제조사들이 이미 중국에 대규모로 투자를 해놓았다는 점, 중국의 생산 인프라(전기, 수도, 물류 등)가 동남아에 비해 잘 갖춰져 있다는 점에서 대중국 의존도가 급격하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지는 않기 때문에 공급망 다변화 노력을 지속해서 해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장기적으로는 생산 자동화 장비 개발 등을 통해 생산기지를 국내로 이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유라코퍼레이션, 경신, THN,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최근 중국 와이어링하네스 시장 동향 및 대중국 수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