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수산자원의 보고, 러시아 수산물 생산 및 수출 현황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4-02-20
  • 출처 : KOTRA

2023년 대한민국의 대러시아 수입 품목 전체 중 4위는 게, 9위는 명태

2023년 러시아의 수산물 어획량은 8.7% 증가한 530만 톤

러시아 수산물의 주요 수출 시장은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의 수산물 어획 현황

 

시아의 2023년 총 어획량은 전년 8.7% 증가한 530만 톤을 기록했다. 러시아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명태, 게, 대구, 연어 등 다양한 수산물이 다양한 지역에서 어획되고 있다. 2023년 한국의 대러시아 수입 품목 중 4위에 속하는 게와 9위에 속하 명태의 어획량 또한 2022년 각각 9만7000톤 및 190만 톤을 기록하며 양 품목 모두 전년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를 기록했다.

 

우리에게 친숙한 연어 또한 2023년 1~9월까지 62만 톤이 어획되며 역대 2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그중 7만1000톤을 수출되며 내수와 수출량 모두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7만1000톤의 수출량 중 중국은 5만1000톤을 수입하며 수입국 중에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한 유명 수산물 수출사의 수출팀장의 인터뷰에 따르면, 전 영역에서 강화되고 있는 러-중 교역이 수산업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공설비 투자, 쿼터 배분 등에서 양국의 협력이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러시아 내 수산물 어획 현황 >

구분

어획량(톤)

주요 어획지역

주요 수출국

2021

2022

2023(1-9월*)

명태

1,739,773

1,921,051

1,691,651

극동 지역

한국, 중국

96,076

96,801

66,633

서부 지역, 극동 지역

일본, 한국

대구

521,530

470,308

318,785

서부 지역, 극동 지역

중국

연어

544,532

273,489

616,515

서부 지역

중국, 일본

정어리

241,362

288,483

227,649

극동 지역

태국, 한국

청어

416,005

479,176

292,112

극동 지역

한국, 중국, 나이지리아

가자미

112,357

116,994

95,820

서부 지역, 극동 지역

한국, 카자흐스탄

오징어

82,481

70,485

62,722

극동 지역

일본, 중국, 한국

[ 자료: 러시아 연방 수산청 ]

 

러시아는 어획 위치를 크게 5 지역으로 나눠 구분하고 있으며, 어장별 2023 어획량은 아래와 같다.

 

1. 러시아 극동 어장 어획량: 전년 대비 14.3% 증가한 400만 톤

2. 러시아 북부 어장 어획량: 전년 대비 10% 감소한 47만 톤

3. 러시아 서부 어장 어획량: 전년 대비 3.8% 감소한 8만 톤

4. 아조프해-흑해 어장 어획량: 전년 대비 4.6% 감소한 4만 톤

5. 볼가강-카스피해 어장 어획량: 전년 대비 1.7% 감소한 10만 톤

 

러시아의 수산물 수출 동향

 

<2019~2022년 러시아 수산물 수출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HS Code

제품명

2019

2020

2021

2022

2022년 비중

'22/'21

증감률

전체

4,662

4,640

5,855

7,961

100

36

0303

냉동어류[제0304호 제외]

2,497

2,369

2,412

3,971

49.9

64.6

0306

갑각류, 훈제한 갑각류, 껍데기가 붙어 있는 상태로 물에 찌거나 삶은 갑각류

1,582

1,674

2,664

2,708

34.0

1.7

0304

어류의 필레(fillet)와 그 밖의 어육

392

424

613

876

11.0

42.9

0307

연체동물, 훈제한 연체동물

129

112

91

171

2.1

87.9

0305

건조한 어류, 염장이나 염수장한 어류, 훈제한 어류

22

22

28

125

1.6

346.4

0308

수생(水生) 무척추동물, 훈제한 수생(水生) 무척추동물

35

34

37

96

1.2

159.5

0302

신선하거나 냉장한 어류[제0304호 제외]

3

4

9

14

0.2

55.6

0301

활어

2

1

1

0.3

0.0

-70

[자료: ITC Trade Map]

ITC Trade Map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 수산물 수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냉동어류’(HS코드 0303)로 전년 대비 65% 증가한 39억7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액의 절반을 차지하였고 2위인 ‘갑각류’(HS코드 0306) 역시 전년 대비 1.7% 증가한 27억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액의 34%를 차지했다.

 

전 러시아 어업인 협회(VARPE)의 세부적인 통계에 따르면 러시아가 수출하는 수산물 중 대표적인 품목은 ‘명태, 게, 대구, 연어’이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일본, 한국, EU’로 나타났다. 명태는 주요 수입국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수산물 중 수출액 비중이 제일 크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평균적으로 30% 도의 비중을 차지했다. 가장 비중이 높았던 연도는 2020년으로 비중이 33%에 달했으며 총 수출액은 14억 달러였다.


게는 주요 수입국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수산물 중 수출비중이 두 번째로 크다. 2022년에 게는 러시아 수산물 수출 비중에서 25%를 차지했, 16억 달러에 달했다. 대구는 주요 수입국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수산물 중 수출액 비중이 세 번째로 크며, 20% 정도를 차지한다. 2022년 대구 수출액은 2019년 수출액 대비 36%가 증가한 12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2022년 연어의 수출액 비중은 약 8% 를 차지하며, 총 5억2370만 달러에 기록했다.

 

러시아 수산청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러시아 수산물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210만 톤을 기록했으며 명태가 18% 증가한 86만 톤, 청어가 13% 증가한 29만 톤 등을 기록하며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했다.

 

<연해주에서 한국으로 수출되고 있는 러시아 수산물>

https://arpp.pk.ru/wp-content/uploads/2021/08/2021_08_17_%D1%8D%D0%BA%D1%81%D0%BF%D0%BE%D1%80%D1%82-%D1%80%D1%8B%D0%B1%D1%8B-%D0%B2-%D0%9A%D0%BE%D1%80%D0%B5%D1%8E.jpeg

[자료: 연해주 수산기업 협회]


러시아 수산물의 주요 수입국

 

<2019~2022년 러시아 수산물(HS Code 03) 수입국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연번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2년 

비중

'22/'21

증감률


전체

4,663

4,640

5,854

7,961

100

36.0

1

중국

1,688

1,547

1,065

2,754

34.6

158.6

2

한국

1,485

1,606

2,169

1,416

17.8

-34.7

3

일본

288

251

649

1,189

14.9

83.2

4

미국

19

38

33

930

11.7

2,732.4

5

폴란드

9

14

30

255

3.2

740.7

6

독일

42

39

72

196

2.5

346.9

7

나이지리아

10

10

19

174

2.2

794.9

8

프랑스

10

16

41

127

1.6

211.6

9

베트남

7

14

10

113

1.4

1,006.9

10

네덜란드

799

806

1,360

99

1.2

-92.7

[자료: ITC Trade Map]

 

ITC Trade Map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는 총 53개국에 79억6000만 달러(215만 톤)에 달하는 수산물을 수출했고 수출액은 전년대비 36% 증가했다.

 

ㅇ 중국


2022년 러시아 수산물 수입국 1위는 전년대비 159% 증가한 28억 달러 어치를 수입한 중국이었다. 중국의 수입량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명태는 55만6200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59%를 차지했고 대구는 10만 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11%, 연어는 7만3800여 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8%였다. 전체적인 흐름에서도 2023년 러시아의 대중국 수산물 교역액 또한 전년대비 35% 증가하며 수산물업에서도 그 양의 교역증가 추세가 반영되고 있다.

 

ㅇ 대한민국

 

2022년 대한민국은 러시아로부터 4억7000만 달러 분의 ‘게’와 3억4000만 달러 분의 ‘명태’를 수입하며 총 14억 달러의 수산물을 수입했고 2022년 러시아 수산물 주요 수입국 중 2위에 올랐다.

 

다만,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수입액’ 기준 2023년 ‘게’와 ‘명태’의 수입은 각각 전년대비 2.9% 및 59.8% 감소하며 러-우 사태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 수치를 보였다. 2023년 ‘게’의 경우 러시아의 대EU 수출길이 막히자 ‘수출량’ 기준으로는 전년대비 33.1% 증가한 2만5000톤을 수입하기도 했다. 이는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인해 수입량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입액은 줄어드는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편, 한국 해양수산부는 최근 한국에 수산물을 수출할 수 있는 러시아 업체 리스트에 7개의 러시아 업체들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업체들은 2024년 1월 15일부터 한국에 수산물을 수출할 수 있게 됐으며, 현재 한국에 수산물 수출 승인을 받은 러시아 업체는 총 977개이다.

 

한국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대러시아 수산물 수입량은 전년대비 2배가 감소하여 29만 톤으로 줄었으나 전체 수입 수산물 비중에서 러시아 수산물은 30%로 여전히 1위를 유지했다.

 

한편, 러시아 수산청에서는 한국으로 수출하는 새우, 게와 중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종류의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증명서 발급을 위한 전자 시스템 테스트를 2023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시행한 바 있다.

 

일본

 

2022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전년대비 83.2% 증가한 12 달러의 수산물을 수입했다거꾸로 2023 10 러시아는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을 금지하면서 러시아 일본산 수산물의 점유율은 1% 미만으로 하락했다.

 

한편, 러시아와 일본 정부는 양국 배타적 경제수역(EEZ) 구역에서의 2024년 어획 쿼터를 5만 톤에서 4만4000톤으로 6000톤씩 줄이기로 합의했다. 러시아와 일본 간 이뤄진 2024년 어획 쿼터 합의에 따르면 러시아는 일본 EEZ 200마일 수역에서 고등어 3만2000톤, 극동 정어리 1만 톤, 대구 2000톤을 어획할 수 있는 쿼터를 할당받았으며 러시아 측의 조업 참여 가능 선박은 79척으로 전년 대비 10척이 감소했다.

 

ㅇ 유럽

 

유럽의 2022년 대러시아 수산물 수입량은 전년 대비 18.7% 증가한 19만8800톤에 달했다. 그중 폴란드,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가장 많은 러시아 수산물을 수입했는데 2022년 기준 폴란드는 26000만 톤(3.2%), 독일은 2억 톤(2.5%), 프랑스는 1억3000만 톤(1.6%)의 러시아 수산물을 수입했다.

 

시사점

 

2023년 한국의 대러시아 수입 상위 품목 20개 중 7개가 수산물(건조제품 포함)일 정도로 한-러 교역에 있어서 수산물이 가지는 의미가 적지 않다. 주요 수입 7개 수산물의 총 수입액은 2022년 대비 23% 감소하여 10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대러시아 전체 수입액 중 차지하는 비율은 9.1%에서 11.7%로 상승하였다. 대러시아 제재와 비교적 무관한 러시아 수산업계는 정상적으로 조업을 하고 있으며, 주변국인 한국·중국·일본이 수입을 이어나가고 있는 것이다.

 

2023년 한국은 수입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대러시아 수산물 수입이 줄었지만, 지정학적 특성 및 일부 소비자의 일본산 기피 현상과 관련하여 러시아 극동지역에서의 수산물 수입은 앞으로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러우사태 이후 러시아 수역 내 한국 국적 선박이 어획할 수 있는 쿼터에 대한 불이익을 별도로 부과하지 않고 있는 반면에 일본과는 쿠릴열도 이슈로 인해 일본 국적 선박의 남쿠릴 열도 접근을 제한하는 중이며 바렌츠 해(러시아 서북부)에서의 영국 선박의 조업 근거가 되는 러-영 어업협정을 폐기하는 법안을 2024년 1월에 승인하기도 했다. 주변국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러시아산 수산물의 수출입 구조가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실리적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은 한동안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러시아 연방 수산청, ITC Trade Map, 연해주 수산기업 협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수산자원의 보고, 러시아 수산물 생산 및 수출 현황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