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조일수 320일 우즈베키스탄의 태양광 잠재량은 얼마나 될까?
  • 트렌드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한정선
  • 2023-12-05
  • 출처 : KOTRA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30%까지 늘릴 예정

대체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증가

우즈베키스탄 에너지 현황


우즈베키스탄에는 연간 총 12.9GW의 전력이 생산되고 있으며, 발전원의 비중은 화력(천연가스, 석탄)이 84.9%, 수력발전이 14.1%, 기타 소형 독립발전이 1%를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천연가스는 최근 몇 년간 총 에너지 공급 및 전기 공급의 약 85%를 차지했으며 모든 분야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은 에너지 수요가 높아지는 겨울철에 만성적으로 난방용 천연가스와 전기 부족에 시달려 왔다. 


노후화된 에너지 인프라와 정부의 천연가스 대외 수출 증가가 겨울철 에너지 부족의 주된 원인이자 정전 등 전력 부족 현상의 주범으로 지적돼 왔다. 특히 2022년에는 겨울 혹한으로 난방을 위한 천연가스 수요가 폭증한 상황에서 공급이 부족해 정부가 12월 천연가스 수출을 중단했음에도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국민의 공분을 샀고, 결국 투르크메니스탄으로부터 무상으로 천연가스 2000톤을 지원받았다. 해당 사안으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올해 1월에 타슈켄트 시장을 비롯한 관련 고위 공직자들을 해임했고, 국내 전력 생산 및 석유화학 산업 발전을 목적으로 2025년까지 천연가스 수출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을 만큼 이는 심각했다


이렇게 가스 자급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문제 이외에도, 경제발전과 인구증가로 인해 전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점 역시 현재 충분한 양의 전력이 원활히 공급되고 있지 못하는 이유이다. 우즈베키스탄의 연간 인구 증가율은 거의 100만 명에 달하며 경제는 5% 이상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2035년까지 우즈베키스탄 시민들의 전력수요는 매년 5~5.3%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 용량을 현재 수준에 비해 최소 1.7배 이상 늘려야 한다. 또한 화력발전 중심의 현재 발전시스템은 지역 편중으로 인한 손실, 시설 노후화, 환경오염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천연가스의 90% 이상이 남부에서 생산되나, 발전시설은 북부에 위치하며 대부분이 연식 50년 전후로 노후화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정부는 구소련 시절에 건설된 가스관, 정유소 등 에너지 시설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는 동시에, 전력원을 다변화하고 지속가능한 생산구조를 갖추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대체에너지의 발전 비율을 늘리고 있다. 에너지부가 2019년 발표한 '2020~2030년 우즈베키스탄 전력 공급 보장을 위한 컨셉노트'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력 생산량을 2019년 대비 약 2.5배 늘릴 계획이다.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생산은 최대한 억제하면서 수력발전 생산량은 늘릴 것이며, 신규 발전원인 풍력, 태양광, 원자력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가한다. 이에 따라 전체 발전량에서의 재생 에너지 비중을 25%까지 늘릴 계획임을 발표했다.

 

<우즈베키스탄의 2020-2030 전력 에너지원 계획>

(단위 : GW, %)

구분

2019

2025

2030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용량

비중

화력(가스)

8.5

66.4

13.3

59.7

13.4

45.7

화력(석탄)

2.5

19.5

1.7

7.6

1.7

5.8

수력

1.8

14.1

2.8

12.7

3.8

13.0

풍력

0

0

2

9.0

3

10.2

태양광

0

0

2.5

0

5

17.1

원자력

0

0

0

0

2.4

8.2

총계

12.8

100

22.3

100

29.3

100

[자료: 우즈베키스탄 에너지부]

 

<2020-2030 전력 에너지원 계획의 도식화>

(단위: GW)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우즈베키스탄의 2020-2030 발전산업 계획.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79pixel, 세로 781pixel

 [자료: 우즈베키스탄 에너지부]

 

그러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21년도에 들어서는 2030년까지의 태양광 발전량을 7GW로, 풍력 발전량을 5GW로, 수력발전 용량 역시도 4999로 더 늘렸고, 이에 따라 전체 발전량에서의 재생 에너지 비중도 30%까지 늘릴 것이라며 목표량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상향 조정된 2026년, 2030년까지의 태양광, 풍력 발전 목표량>

(단위:)

 

[자료: 무역관 정리]

 

대체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증가


앞서 언급했듯이 정부는 전력 생산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30년까지 30% 이상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에, 현재 대체에너지 관련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 2022-2026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에 따르면 향후 PPP(민관협력사업)로 140억 달러에 달하는 약 154개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가 시행될 예정이다. 외국인직접투자(FDI) 시 세금면제 대상 분야에 '대체 에너지를 활용한 발전소 건설'이 포함돼 있는 만큼 중국, 중동, 유럽 등의 외국기업들이 투자에 적극적이며, 이미 완공해 운영하는 발전소가 다수 있다. 2026년 말까지 총용량 1만1954의 발전소 25개가 우즈베키스탄에서 가동될 예정이며 이는 현재 우즈베키스탄 발전량의 60%에 해당한다. 

 

대체 에너지 개발 현황


태양광


연간 일조일수가 320일로 세계 최고 수준인 우즈베키스탄에서는 태양광 에너지의 잠재량이 크다. 추정치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재생에너지원의 잠재량은 약 510억TOE(석유환산톤, Ton of oil equivalent)인데 이중 약 509억7300만TOE을 태양광이 차지한다. 따라서 태양광은 현재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가장 많은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분야로 2030년까지 총 7GW로 증가시킬 계획이고, 2026년 말까지 태양광 발전소는 9개 이상 가동될 예정이다.

 

아래는 1999년부터 2018년까지의 평균 일조량을 색깔로 표시한 지도인데, 남쪽으로 갈수록 그 색깔은 더욱 짙어지며 일조량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즈베크에서는 주로 부하라, 사마르칸트와 같이 중남부 지역에 태양광 발전소가 설치되고 있다.

 

<1999-2018년 평균 일조량을 색깔로 표시한 지도>

 

[자료: 세계은행]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주로 다자개발은행의 자문 또는 부분보증을 통해 추진되는데 대표적으로 세계은행의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2019년에 우즈베크는 아프리카 이외 국가로는 최초로 세계은행그룹(WBG)의 Scaling Solar 프로그램에 가입했고, 이에 따라 나보이 주에서 100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시운전되는 'Scaling Solar Phase I' 프로젝트가 시행됐다. 이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입찰을 통해 선정된 민간 기업 'Masdar(UAE)'이 발전소를 건설 및 운영하는 최초의 대규모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였다. 당시 세계은행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구매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은행 보증을 제공했으며, 국제금융공사(IFC)는 입찰 조직과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자금 조달에 관해 자문 서비스를 제공했다. 

 

<'Scaling Solar Phase I' 프로젝트로 나보이 주에 건설된 우즈베키스탄 최초의 태양광 발전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 태양광 발전소.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0pixel, 세로 453pixel

[자료: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실]

 

이러한 'Scaling Solar Phase I'의 성공을 토대로, 현재는 사마르칸트의 카타쿠르간 지역과 지작의 갈리아랄 지역에 각각 220 용량의 신규 태양광 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Scaling Solar Phase II'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두 태양광 발전소는 연간 최대 11억kWh의 재생 가능한 전기를 생산할 것이며, 이번에도 해당 PPP 입찰의 낙찰자로 Masdar(UAE)사가 선정됐다. 본 프로젝트와 관련해 IFC는 입찰 조직에 대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세계은행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구매에 대해 최대 1200만 달러의 은행 보증을 제공할 것이다. Masdar는 프로젝트 회사에 1억9300만 달러의 자기자본을 투자할 예정이며, 아시아개발은행(ADB),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유럽투자은행(EIB),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으로부터 2억1600만 달러의 부채 자금을 조달한다. 또한 부하라 지역에 250, 나망간 지역에 150, 호레즘 지역에 100 용량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Scaling Solar Phase III' 프로젝트에 관해서도 입찰 추진 중에 있다.

  

<세계은행의 우즈베키스탄 태양광 프로젝트(’23.3. 기준)>

구분

용량

지역

투자

지분

Scaling Solar Phase I

100

나보이

Masdar(UAE) Nur Navoi

IFC, EBRD, ADB, WB 등

Scaling Solar Phase II

220

220

사마르칸트

지작

Masdar(UAE)

IFC, ADB, EBRD, EIB, AIIB, WB 등

Scaling Solar Phase III

250

150

100

부하라

나망간

호레즘

입찰 추진 중

(‘22.7월 송부)

IFC, WB 등

[자료: 세계은행]

 

다음은 우즈베크에서 현재 진행 중인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이다. 아래 프로젝트에 따라 총 3.3GW 용량의 태양광 발전소가 2026년까지 가동 시작될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 현재 진행 중인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용량

지역

투자기업

가동 시기

100

나보이 Karmana

Masdar(아랍에미리트)

2021년

100

사마르칸트 Nurabad

Total Eren(프랑스)

2022년

220

사마르칸트 Kattakorgan

Masdar(아랍에미리트)

2023년 말

1,000

사마르칸트 Nurabad

ACWA Power(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220

지자크 Gallaorol

Masdar (아랍에미리트)

2023년 말

400

타슈켄트 Yukori-Chirchik

ACWA Power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250

부하라 Olot

Masdar (아랍에미리트)

2024년 말

223

호레즘 Tuprokkala

Voltalia (프랑스)

2025년

457

수르한다리야 Sherabad

Masdar (아랍에미리트)

2023년 말

500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나보이 Shurkul

Voltalia (프랑스)

2026년

[자료: uzdaily.uz]

 

또한 우즈베키스탄은 개인, 기업, 사회 및 공공기관의 차원에서 각각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올해 2월 16일에 발효된 대통령 결의안 № ПП-57 “2023년 재생 에너지원 및 에너지 절약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에 따르면, 2023년에 우즈베크 당국은 사회 및 공공 기관에 220 용량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예정이며, 국가 전역의 주민들에게 태양광 패널의 설치를 장려하는 ‘Solar House’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2023.02.16 발효된 "2023년 재생 에너지원 및 에너지 절약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 대통령 법령 No.57의 일부내용>

No.57 "2023년 재생 에너지원 및 에너지 절약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

- 2023년에 우즈베크 당국은 사회 및 공공 기관에 220 용량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예정

- 4월 1일부터 국가 전역의 37,000가구의 주민들이 최대 50kW 용량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도록 장려하는 'Solar House' 프로그램 시작

→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잉여 전기를 통합 에너지 시스템으로 보내는 시민들에게 kWh당 1,000숨($0.08)의 보조금 지급

- 4월 1일부터 총 용량이 100kW 이하인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한 개인 및 법인은 시운전일로부터 3년간 각종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5월 1일부터 주유취급소(휘발유, LPG) 전기 공급의 최소 50%는 태양광 패널로 충당하도록 함

- 다층건물 옥상 면적의 50% 이상에 태양광 패널 설치를 의무화함

[자료: Lexuz]

  

최근 우즈베키스탄에 태양광 인버터(태양광 집전판에서 직류형태로 저장된 발전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켜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형태로 바꿔주는 설비)를 수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의 문의가 있었다. 이에 타슈켄트 무역관에서 잠재 바이어를 물색해본 결과, “현지 업체 대부분은 중국 업체와 협력관계에 있으며, 한국 제품에 대해서는 높은 가격을 이유로 수입을 원치 않는다”는 답변을 많이 받았다. 한국 제품은 기술력과 품질 면에서는 인식이 좋으나, 운송비가 적고 값싼 중국 제품에 밀려서 아직은 산업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재 100, 200, 300급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을 위해 입지 분석을 진행 중이기 때문에 향후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가정용 태양광 발전에 관해 국가 보조금 지급이 올해 실시되면서 일반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對우즈베키스탄 태양광 인버터 (HSK 850440) 최대 수출국은 중국으로, 22년 기준 시장점유율 71.1%를 차지했다. 또한 중국기업인 국전전력발전(GD Power Development)이 구성한 컨소시엄이 나망간주(Namangan)에 150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수주한 사례가 있는 등 중국은 우즈베크와 태양광 발전 사업에 있어서 많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태양광 인버터(HSK 850440)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30,948

-5.2

40,028

29.3

56.227

40.5

1

중국

18,158

1.8

26,579

46.4

39,950

50.3

2

조지아

1

-99.8

1,258

125,700

2,564

103.8

3

러시아

1,744

3.0

2,432

39.4

2,284

-6.1

4

튀르키예

1,178

-58.6

1,773

50.5

2,104

18.7

5

체코

631

-42.5

738

17.0

1,410

91.1

[자료: ITC Trademap, TriBig]

 


풍력


3억6000만 TOE(석유환산톤, Ton of oil equivalent)의 잠재량을 갖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풍력은, 현재 태양광 다음으로 국가적 지원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2030년까지 풍력 발전시설을 5 GW 규모 건설 예정이며, 신재생에너지 비율의 7%를 풍력 에너지로 구성할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은 풍력 발전에 관한 산업적 경험을 이미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2010년에 한국 기업 '두진'이 타슈켄트 지역의 차르박 저수지 근처에 170kW 용량의 첫 번째 풍력 터빈(200만 달러 비용)을 설치한 바 있다. 또한 중국산 풍력 터빈이 2012년에 타슈켄트의 보스탄릭 지역에 위치한 유빌레니 마을에 750kW 용량으로 건설됐는데, 이 터빈은 직경 50m, 높이 65m로 중앙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크다.

 

독일 기업 'GEO-NET'와 'INEC-GOPA'의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즈베크에서는 특히 북부에 위치한 나보이와 카라칼팍스탄이 풍력 발전 프로젝트 실행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다음으로는 보다 남부에 위치한 부하라 및 사마르칸트가 잠재적인 지역으로 간주된다. 아래는 지상 고도 80m에서의 평균 풍속을 색깔별로 표시해놓은 지도이다.

 

<80m agl(지상고도)에서의 평균 풍속을 색깔로 표시한 지도>

 

[자료: researchgate.net]

 

우즈베크에서 현재 진행 중인 풍력 발전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아래 프로젝트에 따라 총 3.6 GW 용량의 풍력 발전소가 2026년까지 가동 시작될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 현재 진행 중인 풍력 발전 프로젝트>

용량

지역

투자기업

가동 시기

500

나보이 Tomdinsky

Masdar(아랍에미리트)

2023년 말

500

부하라 Peshku

ACWA Power(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500

부하라 Gijduvan

ACWA Power(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0

카라칼팍스탄 Karaozak

ACWA Power(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500 용량 3기(총용량 1,500)

카라칼팍스탄 Kungirot

ACWA Power(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500㎿(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나보이 Shurkul

Voltalia(프랑스)

2026년

[자료: uzdaily.uz]

 

수력


우즈베키스탄에서 수력은 현재에도 화력 다음으로 비중이 큰 발전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정부는 수력발전 용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2030년까지 용량을 4999로 늘리고, 신재생 에너지 비율의 11%를 수력 에너지로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2년~2026년 동안 14억 달러를 투자해 15개의 신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5개의 기존 발전소를 업그레이드한다.

 

다음은 우즈베키스탄에서 올해부터 진행되는 유망한 수력 발전 프로젝트이다. 타슈켄트 Bostanlyk 지역에서 876, 나망간 Naryn강 부근에서 225, 수르한다리야 Sariasi 지역에서 264 용량의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올해부터 진행되는 유망한 수력 발전 프로젝트>

용량

지역

876

타슈켄트 Bostanlyk

225

나망간 Naryn강

264

수르한다리야 Sariasi

[자료: nuz.uz]

 

원자력


아직까지 우즈베크에서 가동되는 원자력 발전소는 없지만, 정부는 2030년까지 그 용량을 2.4 GW까지 늘려서 전체 에너지원의 8.2%를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8년 9월에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의 국영 원자력 기업인 로사톰(Rosatom) 간에 우즈베크의 최초 원전 건설을 위한 협력협정이 체결됐다. 이에 따라 로사톰은 우즈베크에 총 용량 1.2 GW 용량의 제 3+세대 원자로 2기를 지자흐(Jizzax) 지역에 건설한다. 2020년 초 로사톰은 우즈벡에 원전 건설을 시작해 2028년에 1호기를 가동할 계획이나, 아직 첫 가동시기에 관해서는 양국 간 최종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은 전형적인 사막성 기후이며, 이중내륙국으로 원자로를 냉각시킬 수 있는 호수나 바다 등이 없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5위의 주요 우라늄 공급국이다. 우즈베크의 우라늄 매장량은 약 13만2300톤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2021년 우라늄 생산량은 3520톤에 이르렀다. 현재는 가동되는 원전이 없어서 생산되는 우라늄이 전부 해외로 수출되고 있다. 그러나 원자로의 핵연료로 쓰이는 광물 자원인 우라늄을 자급자족하는 게 가능한 국가인 만큼, 원전이 가동되는 시기부터는 잠재량이 많은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1990~2021년 세계 우라늄 생산량>

(단위: 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스크린샷 2023-11-13 19460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3pixel, 세로 889pixel

[자료: Kursiv]

  

시사점


우즈베키스탄의 대체 에너지 산업에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현지에서 개최되는 에너지 전시회 등을 활용해볼 수 있다.

 

<2024년 우즈베키스탄 주요 에너지 전시회>

ㅇ 전시회명: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에너지 전시회

ㅇ 개최기간: 2024.5.14.~5.16.

ㅇ 개최장소: UzExpoCenter

ㅇ 개최규모: 7,600sqm

전시품목: 전력기자재, 디젤발전소, 열교환기,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자료: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정리]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을 활용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우즈베키스탄은 한국의 우선협력 대상국으로 지정이 돼 있으며 한국과 기후변화 기본협정을 맺은 4번째 국가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을 진행하며 프로젝트를 선정해 사업비의 최대 50%까지 지원하고 있다. 

 

<우즈벡과의 온실가스 국제감축 협력 사업 내용>

 ㅇ 우리 정부는 국내기업이 해외에서 시행하는 온실가스에 투자하는 온실가스국제 감축 사업에 투자(총사업비 중 감축설비 투자비의 최대 50% 지원)

 ㅇ  우리 정부는 우즈벡을 우선협력국으로 선정해 베트남 다음으로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 추진을 위한 양자협력을 체결했음(’23.6.1)

 ㅇ ’23년 우즈베크 내 농산물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펠릿 연료 전환 사업을 시범 사업으로 추진했으며, ’24년에는 본격적으로 다양한 사업 수요를 발굴할 예정임

[자료KOTRA 타슈켄트 무역관 정리]


급증하는 전력 수요와 화력발전 중심의 현재 발전시스템이 초래하는 에너지 자급 문제 등으로 우즈베키스탄은 현재 대체에너지 시장을 빠르게 확대해나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 기업은 신규 프로젝트 수주 뿐 아니라 관련 품목의 시장동향에도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으며, 위와 같은 다양한 전시회 및 사업 등을 활용해 우즈베키스탄으로의 효과적인 진출을 모색해볼 수 있다.

 

 

자료: uzdaily.uz, Lexuz, ITC Trademap, TriBig, researchgate.net, uzdaily.uz, nuz.uz, Kursiv, kun.uz, gazeta.uz, trtrussian.com, 에스에이치에너지 홈페이지, 우즈베키스탄 에너지부, 세계은행,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실, 타슈켄트 무역관 보유 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조일수 320일 우즈베키스탄의 태양광 잠재량은 얼마나 될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