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쿠웨이트 시멘트 공급망 동향
  • 트렌드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3-12-01
  • 출처 : KOTRA

자국 내 자체 생산 수요 증가

시멘트 산업은 쿠웨이트의 건설 부문과 전반적인 경제 발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쿠웨이트 정부의 Kuwait Vision 2035 국가개발정책에 따라 각종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되며 시멘트 산업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오고 있다. 여러 쿠웨이트 시멘트 회사가 국가 건설 부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쿠웨이트의 시멘트 수요는 건설 분야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으며 건설업 동향에 따라 시멘트 산업이 큰 영향을 받는다.


<쿠웨이트 시멘트 시장 전망>

(단위: 톤)

[자료: Industrial Bank of Kuwait]


Industrial Bank of Kuwait에 따르면 쿠웨이트 시멘트 시장은 건설 업계의 활황과 더불어 연평균 5.3%의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시멘트 회사의 총 생산 능력이 연간 1644만 톤에 달할 전망이다. 쿠웨이트 현지 건설회사 Combined General Company의 Mr. Khaled Marouf는 KOTRA 쿠웨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시멘트 부문은 쿠웨이트 건설산업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자 국가의 석유 기반 경제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며 건설분야에서 경제성과 안정성을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산업이라고 밝혔다.

 

쿠웨이트의 시멘트 산업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클링커(clinker) 생산이다. 클링커는 시멘트의 원료가 되는 3~25㎜ 크기의 다공질 덩어리이다. 불에 탄 덩어리라는 의미로 소괴라고도 불리며 클링커를 분쇄하고 석고와 혼합하면 시멘트 분말이 된다. 클링커는 석회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96%의 클링커와 4%의 석고를 혼합해 시멘트를 생산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클링커 분쇄이다. 채석장에서 채취한 클링커는 파쇄기를 통해 분쇄돼 최종 시멘트 원료가 된다. 이후 쇄석 및 기타 원료를 필요한 양만큼 혼합해 최종 분쇄 과정을 거치면 미세한 혼합물 입자가 만들어진다. 마지막 단계는 시멘트 포장이다. 시멘트 백은 개당 50kg의 무게로 자동 생산라인을 통해 포장된다. 주로 대량으로 판매되며 트럭을 통해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현장으로 운반된다.


1. 클링커 생산 및 분쇄

2. 원료 혼합

3. 시멘트 생산

 [자료: Industrial Bank of Kuwait]


쿠웨이트에는 총 7개의 주요 시멘트 관련 업체가 있다. 이중 클링커 생산 및 분쇄, 시멘트 제조까지 전 단계를 직접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1개사뿐이다. 클링커를 수입해서 시멘트를 제조하는 업체가 3개사, 나머지는 대량의 시멘트를 수입해서 유통하는 업체들이다. 석유·화학산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품목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쿠웨이트 시장 특성 상 자국 내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직접 생산을 하는 품목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이 점을 고려했을 때 비록 제조업체의 숫자는 적으나 자국 내 생산이 가능한 설비를 갖추었다는 것은 그만큼 쿠웨이트 경제에서 시멘트 산업의 중요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쿠웨이트 시멘트 시장은 중동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이다. 국내 추정 소비량은 연간 900만 톤 이상, 생산량은 약 460만 톤에 이르며 사우디, UAE 등 GCC 국가 수요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원자재 수요의 대부분을 이란, UAE 등 주변 국가에서 수입해오고 있으며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일부 시장으로 시멘트를 수출한다. 특히 쿠웨이트 정부가 스마트시티 건설 등 인프라 개발에 중점을 두면서 대내 시멘트 수요가 증가했으며 향후 중장기적으로도 꾸준히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기준 쿠웨이트 전체 수출의 96%가 원유와 석유·화학 관련 품목으로 1위가 원유, 2위가 유기화학물이다. 시멘트 수출은 비교적 적은 비중이나 석유·화학 관련 품목을 제외하면 플라스틱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양을 수출하고 있다.


<2022년 쿠웨이트 주요 수출 품목>

(단위: US$ 천, %)

품목(HS Code)

수출액

비중

전체

100,119,973

100

원유(27)

94,095,124

94

유기화학물(29)

2,343,937

2.3

플라스틱(39)

1,074,018

1

시멘트(25)

325,945

0.3

[자료: Trade Map]


<쿠웨이트 시멘트(HS Code 2523) 수출 동향>

(단위: US$ 천)

수출국

2017

2018

2019

2020

2021

전 세계

349

685

744

165

81

사우디아라비아

0

6

35

21

43

카타르

322

605

380

126

30

UAE

14

6

65

0

8

[자료: Trade Map]


그러나 쿠웨이트의 시멘트 수출 규모는 수입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아직까지는 자국 내 직접 생산보다는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특히 이란으로부터 대부분의 시멘트 및 원료를 수입해오고 있으며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인근 GCC 국가로부터도 소량 수입하고 있다.


<쿠웨이트 시멘트(HS Code 2523) 수입 동향>

(단위: US$ 천)

수입국

2017

2018

2019

2020

2021

전 세계

135,903

164,252

169,507

124,777

302,246

이란

49,871

76,593

82,926

70,079

249,741

UAE

75,120

64,701

58,661

29,929

26,652

사우디아라비아

98

18,827

24,227

21,160

20,166

[자료: Trade Map]

 

지난 2020년, GCC 산업장관위원회는 이란으로부터 수입하는 모든 유형의 시멘트에 대해 향후 5년간 반덤핑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이란으로부터 값싼 시멘트를 대량 들여와 자국 내 시멘트 산업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무역규제 조치는 기존의 쿠웨이트 시멘트 글로벌 공급망에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쿠웨이트는 2020년 전체 시멘트 수입의 56.1%를, 2021년에는 82.6%를 이란으로부터 수입했다. 1위 수입국인 이란 제품에 대한 반덤핑세 부과는 기존에 이란산 시멘트를 유통하던 쿠웨이트 기업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쿠웨이트 시멘트 시장의 가격을 상승시켰다. 따라서 자국 내 시멘트 자체 제조 수요가 급증했으며 기존에 제조공장을 보유해 시멘트를 생산해오던 기업들의 규모가 확장됐다. 특히 앞서 언급한 클링커 생산 및 분쇄, 시멘트 제조까지 전 단계를 직접 생산하는 제조업체 Kuwait Cement Company(KCC)는 2022년 쿠웨이트 시멘트 시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쿠웨이트 정부는 2035 국가개발계획에 따라 다수의 메가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에는 도로 정비, 신공항 건설, 발전·담수 플랜트, EPC, 스마트시티 등이 포함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시멘트와 같은 건설 원부자재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 원부자재 품목의 쿠웨이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프로젝트 시장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쿠웨이트 내에서 직접 생산 및 제조되는 품목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해 전적으로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을 타깃팅해 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Trade Map, Industrial Bank of Kuwait, NBK, 쿠웨이트 로컬 신문 및 바이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시멘트 공급망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