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3D 프린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전무역관
  • 2023-10-16
  • 출처 : KOTRA

2017년부터 매년 20% 이상 높은 성장률 유지

글로벌 3D 프린터 매출 상위 10개 기업 중 중국 기업 2개사 포함

상품명 및 HS Code(6단위)                             

 

ㅇ 상품명: 3D 프린터


ㅇ HS Code(6단위)


3D 프린팅은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로 불리며, 이는 디지털 모델을 바탕으로 물리적 대상물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2022년 HS Code 개정에 따라 3D 프린터의 HS Code는 기존 제8463호, 제8475호, 제8477호, 제8479호에서 모두 제8485호로 분류된다.

 

개정 전

개정 후

-

-

8485

적층제조기계

847759

84.77 고무나 플라스틱을 가공하거나 이들 재료로 제품을 제조하는 기계

8477.59 기타

848520

플라스틱·고무용

846390

84.63 그 밖의 금속이나 서멧의 가공용 공작기계

8463.90 기타

848510

금속용

847989

84.79 이 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기계류

8479.89 – 기타

848580

기타

 

시장동향


3D 프린터 전문 보고서 ‘Wohlers Report 2022’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3D 프린터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18.3% 증가한 180억 달러에 달했다. 같은 기간 중국 3D 프린터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20.8% 성장한 320억 위안(약 44억 달러)을 기록했다. 전 세계 3D 프린터 시장의 37%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6년 중국의 3D 시장규모는 2022년보다 세배 넘게 늘어난 1,102억 위안으로 예상된다.

 

<중국 3D 프린터 시장규모 성장 추이(2017~2026년)>

external_image

[자료: 톈펑증권연구소]

 

중국의 3D 프린터 소재로는 2021년 기준 비금속 소재가 61%, 금속소재가 39%를 차지한다. 최근 들어 비금속 소재가 주류인 중국 시장에서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나일론, 수지 및 생분해 소재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중국의 3D 프린터 사용 분야로는 공업용이 64%, 일반 소비재용이 36%를 차지한다. 공업용 중에서 항공우주 및 자동차 공업 분야의 3D 프린터가 각각 38.9%와 16.0%로 가장 많다. 뒤를 이어 의료기기분야 12.3%, 전자·소비재 분야 11.7% 순이다.

 

수입동향

 

2022년 HS 개정된 3D 프린터 주요 HS Code 848520(플라스틱·고무용), 848510(금속용)과 848580(기타)를 기준으로 2022년 중국은 3D 프린터를 4,906만 달러 수입했다. 그 중 플라스틱·고무용 3D 프린터 수입이 전체의 66.6%로 가장 많다. 올해 1~8월 중국의 3D 프린터 수입은 총 3,728만4,000달러에 이른다. 세부적으로는 플라스틱·고무·금속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 3D 프린터가 전년 동기 대비 153.1%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중국 3D 프린터 수입 현황>

(단위: US천, %)

HS Code

2022

2023년 1~8월

수입액

수입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848520(플라스틱·고무용)

32,676

21,874

16.2

848510(금속용)

10,714

9,099

12

848580(기타)

5,670

6,311

153.1

합 계

49,060

37,284

-

주: 2022 HS 개정으로 2022년 수입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0%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은 주로 독일, 이스라엘, 미국 등지에서 3D 프린터를 수입한다. 독일은 중국의 3D 프린터 최대 수입대상국이다. 올해 1~8월 중국이 독일로부터 수입한 3D 프린터(플라스틱·고무용) 수입액은 총 954만2,000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96.6%의 급증세를 보였다. 중국의 3D 프린터 총 수입액의 43.7%에 해당하는 규모다. 같은 기간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3D 프린터(플라스틱·고무용)는 약 1만1,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1.6% 줄었다.

 

<중국 3D 프린터(HS Code 848520) 주요 수입국(2023년 8월)>

(단위: US, %)

순위

국가명

2022

2023년(1~8월)

수입액

수입액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증감률

총계

32,676

21,847

16.2

1

독일

7,331

9,542

363.6

2

이스라엘

5,230

3,740

131.8

3

미국

13,654

3,679

-64.7

4

싱가포르

1,713

2,368

60.6

5

네덜란드

453

373

33.8

···

···

···

···

···

18

한국

131

11

-91.6

주1: 2023년 1~8월 수입금액 순 정렬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동향


중국의 3D 프린터 시장은 크게 업스트림(원재료, 핵심 하드웨어 등), 미드스트림(설비 및 제조)과 다운스트림(활용)으로 구분되며, 현재 중국 시장은 미드스트림에 집중돼 있다. 2022년 중국 3D 프린터 산업 밸류체인별 매출액 기준 설비와 서비스가 전체의 79.1%를 차지했다.

 

<중국 3D 프린터 산업 밸류체인 및 주요 기업>

external_image

[자료: 동방차이푸증권연구소, KOTRA 선전무역관 정리]

 

중국의 주요 3D 프린터 설비 제조 기업으로는 BLT(铂力特), Farsoon(华曙高科), Shining 3D(先临三维), UnionTech(联泰) 등이 있다. 2023년 글로벌 3D 프린터 제조기업 상위 10개사 중 중국기업은 BLT(铂力特)와 Farsoon(华曙高科) 2개사가 포함돼 있다.

 

<글로벌 3D 프린터 상장기업 매출액 순위(2023년 4월)>

(단위: US, %)

기업명

국가

2022년 매출액

전년 대비 증감률

Stratasys

미국

6.5

7.3%

3D Systems

미국

5.4

-12.6%

Materialise

벨기에

2.5

13.0%

Desktop Metal

미국

2.1

86.0%

BLT(力特)

중국

1.3

66.3%

SLM Solution

독일

1.1

41.0%

Markforged

미국

1.0

11.0%

Velo3D

미국

0.8

194.0%

Farsoon(曙高科)

중국

0.7

36.7%

[자료: 동방차이푸증권연구소]

 

최근 발표된 BLT 상반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BLT 매출액은 4억3,878만 위안(약 6,004만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5% 큰 폭으로 늘었다. 3D 프린터 기술 개발에 힘쓰는 BLT는 전체 직원 중 29.3%가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기술을 적용한 3D 프린터를 주로 제조하는 Farsoon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7% 증가한 2억4,100만 위안을 기록했다. Farsoon에서 생산된 3D 프린터 중 31.6%는 항공우주 분야에서 활용되며, 뒤를 이어 공업기계와 자동차가 각각 28.6%와 23.2%를 차지한다.

 

관세율

 

중국 HS Code

2023 ·중 협정세율

최혜국대우(MFN) 세율

8485.20.0000

2%

5%

8485.10.0000

-

9%

8485.80.1000

1.2%

12%

8485.80.2000

5.5%

9%

8485.80.9000

0%

0%

 

시사점

 

전문가들은 중국 3D 프린터 산업이 미국, 독일 등 국가에 비해 시작은 늦었지만, 국내 정책 지원 및 항공우주·의료기기·자동차 등 산업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시장으로 보고 있다. 산업 컨설팅 기업 이두데이터(亿渡数据)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중국 3D 프린터 시장은 연평균 36.2%로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중국 주요 3D 프린터 생산기지는 징진지(京津冀)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산시성(陕西省), 후베이성(湖北省) 등 화중 지역에는 연구개발 및 특허출원이 집중돼 있다. 징진지에는 허베이 춘레이(河北春蕾) 3D 프린터 산업단지가 대표적이다. 광둥성에는 광저우 3D 프린터 기술 산업단지, 선전시 3D 프린터 산업단지 등이 있다. 중국 3D 프린터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기술개발, 소재부품, 제조설비 등 밸류체인별로 바이어가 집중된 지역을 파악해 우선 공략해볼 수 있다.

 

자료: 톈펑증권, 둥팡차이푸증권, 중화인민공화국상무부, 각 기업 홈페이지, 한국무역협회, KOTRA 선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3D 프린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