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3-07-31
  • 출처 : KOTRA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소비시장 전 세계 2위

보건식품 및 유제품 형태가 가장 많고, 프로바이오틱스 적용 화장품도 출시

상품명 및 HS Code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살아있는 미생물을 통칭하는 말이다.

 


 

시장규모 및 동향

 

중국인의 장 건강 관리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보건협회(中保健协会) 보고에 따르면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소비시장이 전세계 2위로 부상했다. 얜징화즈() 조사기관 보고자료에 따르면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생산량은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9.2% 증가한 8만3,000톤이다. 또한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8% 증가한 1,000억 위안(약 18조 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인다. 2025년에는 시장규모가 약 1,400억 위안(약 25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대표 온라인 쇼핑 채널인 Tmall(天猫)과 타오바오에서 판매된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제품의 비중을 분석해보면, 보건식품 및 기능성 식품 제품이 전체의 52.93%로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유제품 비중은 28.7%, 기타 제품군이 18.37%를 차지하고 있다. 보건식품 및 기능성 식품 제품군 안에서는 분말형 제품군이 57.01%, 어린이용 제품이 8.26%, 젤리류가 2.91%, 츄잉 캔디류가 1.09%, 기타가 30.73%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유제품 내에서는 분유 제품이 40.88%, 음료형 제품은 14.9%, 아이스크림 제품은 0.47%, 두유제품은 0.44%, 기타 40.31% 비중을 보이고 있다. 기타 제품군 내에서는 화장품, 퍼스널 케어 제품, 아동용 제품 등이 있다.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생산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얜징화즈()]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수입시장 규모는 매년 평균 약 14%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1% 증가한 45억2,361만 달러(약 6조 원)로 수입액이 증가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은 미국, 호주, 독일, 일본, 네덜란드, 태국, 홍콩, 한국 등이 있다. 그 중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대한 수입액은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17.1% 증가한 1억5,836만 달러(약 2,004억 원)로 국가별 8위를 차지한다.

 

<중국 프로바이오틱스(HS Code: 21069090)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2020

2021

2022

2022년/2021년


총계

3,752,339

3,930,520

4,523,614

15.1

1

미국

828,255

934,976

1,151,030

23.1

2

호주

874,939

685,429

767,253

11.9

3

독일

248,454

305,855

451,885

47.7

4

일본

253,694

307,768

291,196

△5.4

5

네덜란드

122,299

170,094

228,654

34.4

6

태국

253,377

209,135

188,896

△9.7

7

홍콩

111,731

126,958

159,762

25.8

8

한국

96,509

135,232

158,366

17.1

9

영국

92,953

113,406

151,879

33.9

10

뉴질랜드

85,172

96,602

143,170

48.2

* 21069090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 기타 건강기능제품에 해당함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수입액 수치는 상기 도표 수치보다 적을 수 있음.

[자료: KITA]


경쟁동향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에서 프로바이오틱스 특허 신청이 가장 많은 지역은 광둥성으로 2021년 10월 기준 신청 건이 누계 8,605건에 달한다. 다음으로 장쑤성이 8,008건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산둥(), 베이징(北京), 저장(浙江), 상하이(上海) 등 지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특허를 많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0월 중국 지역별 프로바이오틱스 특허 신청건수>

(단위: 건)

[자료: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주요 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

브랜드

이미지

회사소개

Osteoform

(力)

 

- 브랜드 소속 국가: 미국

- 특징: 2g추가된 살아있는 박테리아 수300CFU

- 가격대: 68위안(12,000)(규격: 2g/*20)

Ofmom

(妈咪爱)

 

- 브랜드 소속 국가: 한국

- 특징: 어린이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주력

- 가격대: 98위안(17,500)(규격: 1.5g/*10)

Life-Space

(益倍适)

 

- 브랜드 소속 국가: 오스트레일리아

- 특징: 1캡슐에 추가된 살아있는 박테리아 수 320CFU, 15가지 유익 박테리아 포함

- 가격대: 199위안(35,600)(규격: 1g/캡슐*60캡슐)

Culturell

(康萃

 

- 브랜드 소속 국가: 미국

- 특징: 다이어트 효능

- 가격대: 268위안(47,900)(규격: 2g/캡슐*30캡슐)

BYHEALTH

(臣倍健)

 

- 브랜드 소속 국가: 중국

- 특징: 1g추가된 살아있는 박테리아 수150CFU

- 가격대: 112위안(20,000)(규격:1g/*20)

Nemans

(曼思)

 

- 브랜드 소속 국가: 미국

- 특징: 1.2g에 추가된 살아있는 박테리아 수60CFU

- 가격대: 239위안(42,700)(규격: 1.2g/*30)

Purebao

(普瑞

 

- 브랜드 소속 국가: 중국

- 특징: 면역력 향상

- 가격대100위안(17900)(규격: 1.5g/*7)

Nature's Bay

(天然博士)

 

- 브랜드 소속 국가: 중국

- 특징: 1g에 추가된 살아있는 박테리아 수100CFU

- 가격대: 129위안(23,000)(규격: 1g/*20)

[자료: cnpp (十大品牌), 징둥(京)]

 

유통구조


중국 내 프로바이오틱스 유통채널은 다양하다. 소비자는 자신의 수요와 예산 및 소비습관에 따라 유통채널을 활용한다. 주요 오프라인 유통채널은 건강식품 전문판매점, 마트, 약국, 병원, 헬스장 등이 있다. 또한 여타 상품군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프로바이오틱스는 Tmall(天猫), 징둥(京), 졘커왕(健客), 1호점(1店) 등 온라인 유통망에서도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수입 관세

프로바이오틱스 관세율은 최혜국이 12%이고, 한중FTA가 18.4%이며 아시아 태평양 무역협정이 11%이다. 그 중 관세율이 가장 낮은 아시아 태평양 무역협정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프로바이오틱스(HS Code: 21069090) 관세율 비교>

관세율

부가가치세율

2021 MFN

한중 FTA

아시아 태평양 무역협정

일반세율

12%

18.4%

11%

90%

13%

[자료: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自由务网)]

 

인증제도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포장라벨에 중국 건강식품 전용 라벨인 Blue Hat Sign을 부착해야 하며, 이는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에서 비준한 제품에 대해 발급되는 라벨이다.

 

<중국 건강식품 라벨 Blue Hat Sign>

[자료: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

 

중국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자격을 갖춰야 한다. 첫째, 기업은 ‘식품위생허가증(食品)’ 혹은 ‘식품유통허가증(食品流通)’을 취득하고, 증서상 허용된 영업범위에 보건식품 판매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생산기업은 ‘식품생산허가증(食品生产许)’ 및 ‘식품위생허가증(食品)’을 취득해야 한다. 셋째, 건강식품 생산기업은 ‘건강식품 비준증서(保健食品批准证书)’를 취득해야 한다. 넷째, 수입 건강식품 취급을 위해서는 ‘수입 건강식품 비준증서(口保健食品批准证书)’를 취득하고, 수입 시에는 제품 통관신고서 및 검험검역 합격확인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 또한 중국 식품 라벨 규정에 준수해 제품의 라벨에는 제품 성분, 사용방법, 섭취량 등이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시사점

 

건강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국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스바오헬스케어산업(中食大健康产业) 보고에 따르면 중국소비자 중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비중이 82%에 달한다. 이처럼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이미 황금기에 들어섰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식품 및 건강식품류 외에 기초 화장품과 개인 세정용 제품에도 프로바이오틱스 추출물을 적용한 제품이 출시 판매되는 등 프로바이오틱스 적용 제품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인간 장의 미세 생태 환경은 복잡하고 다양하며 개인마다 특징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려면 세분화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 필요하다. 이에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들은 각 소비자들의 상태에 맞는 프로바이오틱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최신 개발 트렌드와 특수 성분을 포함한 제품을 출시해 세분화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자료: 얜징화즈(), KITA,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cnpp (十大品牌), 징둥(京),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自由务网) 및 KOTRA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