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트랙터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콜카타무역관 박병국
  • 2023-07-27
  • 출처 : KOTRA

세계 최대 트랙터 시장중 하나로, 농업 기계화 정책에 따른 시장 성장 지속

상품명 : 농업용 트랙터 (HS CODE 870195)


시장동향


인도에서 농업은 고용의 58%, GDP의 17%, 시골 인구의 70%가 의존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으로 농업 생산량 증대를 위해 트랙터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시장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농장들의 규모가 커지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필요성, 기계화 농업에 대한 인식 확산 등이 트랙터 수요 확대를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의 제조업체들은 진화하는 인도 농부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급 기능을 갖춘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인도는 최근 트랙터의 수출국으로도 부상하고 있으며 국제 시장에서의 입지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인도의 트랙터 산업은 코로나19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트랙터 판매량은 2020년 4월에만 봉쇄령으로 인해 감소하였다. 그 이후에는 안정적인 기후, 농작물 파종 증가, 정부의 농촌 지원 확대, 봉쇄령 해제 등으로 인해 트랙터를 비롯한 농기계의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었다. 인도는 2016~2021년 연평균 60만~70만 대의 트랙터가 판매되어 전 세계 최대 트랙터 시장 중 하나이며, 농촌 개발을 위한 정부의 ,  , 농촌 금 승,          량은  전망이다.


인도 정부는 기계화 농업을 촉진하기 위해 35마력 이하 트랙터를 구매할 경우, 3만 루피 한도 내에서 구입비용의 25%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인도에서는 농부들이 농기계와 장비를 임대 방식으로 이용할수 있는 '맞춤형 임대' 서비스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농부들은 농기계를 소유하지 않고 맞춤형 임대를 통해 농업에 필요한 특정 유형의 기계와 장비를 대여하여 사용할수 있다. 맞춤형 임대 서비스는 정부기관, 지역 회사, 대규모 농업종사자, 조직화된 회사 등이 참여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운 시기에는 시장 참여자들이 나서서 트랙터를 임대료 없이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는 어려운 시기에 농부들의 성장을 돕고 시장 참여자들의 소득을 증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수입동향 및 대한수입규모


인도의 2022년 트랙터 수입 규모는 4400만 달러 수준으로 2021년 6000만 달러에서 27% 감소하였다. 주요 수입국은 태국이 전체수입의 87%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일본, 영국, 폴란드 등이 2~3%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과 2021년에 소액 수출이 있었으나 2022년부터는 수출이 없는 상황이다. 이는 인도 현지생산 제품들의 내수시장 점유율이 높고 인근 국가인 태국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의미있는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여진다.  


<인도의 트랙터 수입현황>

(단위 : U$, %)

순위

수입국

2020년

2021년

2022년

2022/2021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증감

 

합계

57,852,659

100.0

60,782,201

100.0

44,320,801

100.0

-27.1

1

태국

52,983,926

91.6

56,199,985

92.5

38,810,662

87.6

-30.9

2

일본

2,133,978

3.7

3,149,383

5.2

1,717,537

3.9

-45.5

3

영국

190,785

0.3

44,661

0.1

1,105,549

2.5

2,375.4

4

폴란드

118,185

0.2

236,741

0.4

1,075,009

2.4

354.1

5

중국

243,643

0.4

135,847

0.2

635,395

1.4

367.7

6

미국

79,923

0.1

30,070

0.0

297,896

0.7

890.7

7

스웨덴

348,121

0.6

304,240

0.5

268,558

0.6

-11.7

8

리투아니아

   

208,888

0.5

 

9

네팔

       

94,844

0.2

 

10

튀르키예

35,464

0.1

104,572

0.2

75,346

0.2

-28.0

20

한국

27,847

0.0

4,902

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인도의 농업용 트랙터 시장은 Mahindra & Mahindra, Tractors and Farm Equipment, International Tractors, Escorts Kubota 등과 같은 인도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Deere & Company(미국)와 CNH Industrial(네덜란드)과 같은 일부 다국적 기업도 인도 시장에 진출하여 상당한 시장 입지를 구축하였다. 인도 트랙터 시장은 상위 업체가 시장을 지배하는 고도로 통합된 시장으로 인도 로컬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들은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연구 개발, 제품 출시, 확장 및 파트너십에 대한 투자 확대 등과 같은 전략에 집중하고 있으며 혁신을 주요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2021년 2월, Tractors and Farm Equipment는 우수한 연비, 내구성,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다이나트랙(Dynatrack)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 트랙터는 세계 최초로 VersaTECH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이다. 2020년 12월에는 International Tractors가 소유한 소날리카 트랙터(Sonalika Tractors)가 국내 시장을 위한 현장용 전기 트랙터인 타이거 일렉트릭(Tiger Electric)을 출시했다. 


또한, 시장의 플레이어들은 브랜드 수요와 제품 포트폴리오를 늘리기 위해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21년 1월 Deere & Company는 1억 달러를 투자하여 인도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고 현재 푸네에 있는 트랙터 시설을 확장함으로써 인도 내 농업용 트랙터 생산 능력을 확대하였다. 새 공장에서는 인도에서도 판매하고 해외에도 수출할 소형 농업용 트랙터를 생산할 예정이다. 


글로벌 기업의 인도 내 투자도 이뤄지고 있다. 2020년 10월, 일본 기계 분야의 선두주자인 Kubota는 신흥 시장 확장의 일환으로 인도 트랙터 제조업체인 에스코트의 지분을 인수했으며, 이는 에스코트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인도의 주요 트랙터 생산기업>

연번

회사명

홈페이지

비고

1

Mahindra & Mahindra Limited

www.mahindratractor.com

ㅇ 국적 : 인도
ㅇ 인도내 자동차 생산기업, 인도 1위 트랙터 브랜드,
   생산대수 기준 세계 1위

2

Tractors and Farm Equipment Ltd

www.tafe.com

ㅇ 국적 : 인도
ㅇ 연간 18만대 판매

3

International Tractors Ltd (Sonalika)

www.sonalika.com

ㅇ 국적 : 인도
ㅇ 20~120 마력 트랙터 생산, 해외수출 최다

4

Escorts Kubota Limited.

www.escortsgroup.com

ㅇ 국적 : 인도
ㅇ 농기계, 건설기계, 철도 장비 등 생산,
   2022년 일본 Kubota Limited 44.8% 지분 인수

5

Kubota Agricultural Machinery India Pvt.,Ltd.

www.kubota.co.in

ㅇ 국적 : 일본
ㅇ 2008년 12월 설립, 농기계류 주요 기업중 하나

6

Deere & Company

www.deere.co.in

ㅇ 국적 : 미국
ㅇ 인도 농기계 분야 주요 기업, 트랙터, 콤바인,
   경작기 등 다양한 농기계 생산

7

CNH Industrial (India) Private Limited(New Holland)

https://agriculture.newholland.com

ㅇ 국적 : 네덜란드
ㅇ 농기계 및 건설기계 디자인, 생산, 유통 기업

8

Force Motors Limited

www.forcemotors.com

ㅇ 국적 : 인도
ㅇ 상용차 생산 기업으로 트랙터 생산중, 상용차는
   전세계 50개국에 수출

9

Preet Tractors (P) Limited

www.preet.co.in

ㅇ 국적 : 인도
ㅇ 35~90 마력 트랙터 및 75~110 마력 콤바인 생산

10

Standard Corporation India Limited

https://standardcorp.in

ㅇ 국적 : 인도
ㅇ 경작기, 트랙터, 크레인 등 생산

[ : 무역관 조사]


<현지 판매중인 주요 >

[ : 무역관 조사]



유통구조


인도내 유통구조는 제조업체, 유통업체, 딜러로 구성된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입의 경우, 수입상, 유통업체, 딜러로 구성된다. 수입상 또는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유통업체는 딜러에게 공급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가 된다. 판매 방식은 일부 제조사의 경우, 직접 판매를 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온라인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프랜차이즈 방식의 판매도 이루어지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트랙터의 일반 관세율은 24.32% 이다. 기본 관세 10%, 사회복지세 10%, GST 12% 로 구성되며, 최종 상품가격 대비 24.32% 이다. 우리나라 생산 제품의 경우, CEPA 협정에 따라 기본 관세가 면제되며, 최종 관세는 상품가격의 12% 이다.


인증의 경우, 수입되는 모든 트랙터는 필수 안전 및 품질표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IS(인도 표준국) 인증을 받아야 한다.


시사점


인도는 글로벌 트랙터 시장의 핵심 시장중의 하나로서 최근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현재 시장은 인도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고, 일부 농기계 전문 다국적기업들이 현지 생산을 통해 시장에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인도 시장은 대체로 가격시장의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통계에서 나타나듯이 수출을 통한 시장진출은 타당성이 낮아 보이며, 일부 외국기업들의 진출 방식과 같이 인도 기업과의 합작이나 협력을 통해 현지생산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확보해야 시장진출 가능성을 높일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 www.thehindubusinessline.comauto.economictimes.indiatimes.com, www.globenewswire.comwww.marketresearch.com, 무역관 조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트랙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