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태국 철강 시장 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구슬
  • 2023-07-11
  • 출처 : KOTRA

태국, 아세안 2위 철강 소비국으로 2022년 철강 1640만 톤 소비

태국 철강 수입의존도 68.5%로 높으며, 한국은 태국 철강 수입 시장점유율 3위 기록

건설·자동차 산업 회복, 투자 활성화로 열연코일 수요 4~5% 증가 예상

시장 규모 및 동향


태국 철강산업연구원(ISIT)에 따르면 태국은 아세안 2대 철강 소비국(1위 베트남)이며, 2022년 한 해 동안 1640만 톤의 철강을 소비했다. 2023년 1~4월 누적 기준 태국의 철강 소비량은 588만 톤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태국의 철강 관련 지표 추이>

(기준: 만 톤)

[자료: 태국 철강산업연구원(ISIT)]

 

철강 수요가 가장 높은 분야는 건설 산업으로 2022년 기준 전체 철강 수요의 56%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자동차(22%), 기계(8%), 가전(7%), 패키징(6%) 순이다.

<2022년 태국의 산업별 철강 수요 비중>

(단위: %)

[자료: 철강산업연구원(ISIT)]

 

2023년 1~4월 누적 기준 태국에서 생산된 철강 중 봉강 생산량이 137만 톤으로 전체의 58.8%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열연강판(28.5%), 선재(10.6%), 열연 후판(2.1%) 순으로 나타났다.

 

<태국의 종류별 철강 생산 비중>

(기준: 2023년 1~4월 누계, 단위: 톤, %)

[자료: 태국 철강산업연구원(ISIT)]



가격동향

 

Krungsri Research에서 발간한 태국 국내 철강 가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초 발발한 러-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반적인 건설자재 가격이 크게 증가했으나, 최근 들어 가격이 점차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5월 기준 태국의 열연강판 가격은 톤당 26,100 바트(약 97만 원)로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했으며, 철근(Rebar)과 스크랩(Scrap) 가격 역시 22,230바트(약 83만 원)와 12,000 바트(약 45만 원)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와 -43% 감소했다.

 

<태국의 국내 건설용 철강자재 가격 동향>

(기준: 톤 당 가격, 단위: 바트)

[자료: Krungsri Research]


수입 동향


태국은 철강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으며, 2023년 1~4월 누적 기준 전체 소비량 중 68.5%를 차지하는 403만 톤 철강을 수입했다. 가장 많이 수입한 철강 완제품은 열연강판으로 135만 톤을 수입했으며, 냉연강판(47만 톤), 선재(43만 톤), 봉강(25만 톤)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태국의 철강 완제품 종류별 수입 현황>

(기준: 2023년 1~4월, 단위: 톤, %)

구분

열연강판

냉연강판

선재

봉강

열연후판

전체 수입량

1,347,912
(100)

465,932
(100)

430,324
(100)

247,237
(100)

7,240
(100)

탄소강

433,317
(32.1)

297,030
(63.7)

256,189
(59.5)

99,562
(40.3)

4,273
(59.0)

스테인리스강

73,257
(5.4)

45,978
(9.9)

13,518
(3.1)

623
(0.3)

376
(5.2)

합금강

554,839
(41.2)

122,924
(26.4)

160,617
(37.3)

147,052
(59.5)

2,592
(35.8)

산세(P&O) 탄소강

286,499
(21.3)

 

-

-

-

주 1: 괄호 안 비중

[자료: 태국 철강산업연구원(ISIT)]


2023년 1월~4월 누계 기준 철강 수입액은 44억1881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49% 감소했다. 일본으로부터 수입액이 16억2314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36.7%를 차지하였으며, 중국(13억140만 달러), 한국(5억2516만 달러), 오만(2억1371만 달러), 대만(1억5554만 달러) 순이다.


<태국 철강제품 수입 동향(HS Code 72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2023년 

비중

2023년 증감률

2020

2021

2022

2023

(1~4월)

-

전세계

9,352

15,257

14,567

4,419

100.00

-11.5

1

일본

2,892

5,388

5,232

1,623

36.73

-2.0

2

중국

2,295

3,701

3,710

1,301

29.45

10.4

3

대한민국

1,430

1,783

1,792

525

11.88

-20.7

4

오만

418

777

817

214

4.84

-31.3

5

대만

382

636

609

156

3.52

-35.8

6

베트남

391

423

303

113

2.55

12.0

7

말레이시아

200

332

334

100

2.27

-7.0

8

인도네시아

81

287

419

73

1.65

-51.7

9

인도

259

511

198

43

0.98

-55.3

10

러시아

174

186

125

34

0.78

29.8

[자료: GTA]

 

경쟁 동향

 

태국 기업 조사기관 Corpus X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태국 내 철강 제조업체(산업분류 코드 25100 기준)는 총 1,525개 사인 것으로 확인된다. 매출액 상위 3개 기업은 일본의 NS-SIAM UNITED STEEL, 태국의 SAHAVIRIYA STEEL INDUSTRIES, 인도의 TATA STEEL MANUFACTURING (THAILAND)사 순으로 확인된다. 한편, 태국에 진출한 대표적인 우리나라 철강 제조기업으로는 포스코, 동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이 있다.

 

<주요 철강 기업 현황>

업체명

설립연도

매출액

(2022년, 백만 바트)

소재지

참고사항

NS-SIAM UNITED STEEL CO.,LTD.

2011

*39,890

(약 52조 6,946억 원)

라용

- 본사: 일본

- 지분구조: 일본 95.17%, 태국 4.83%

- 주요 생산제품: 냉연 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GI)

- 홈페이지: https://www.ns-sus.com/index.php

SAHAVIRIYA STEEL INDUSTRIES PUBLIC COMPANY LIMITED

1994

33,277

(약 43조 9,584억 원)

쁘라쭈업키리칸

- 본사: 태국

- 지분 구조: 태국 97.35%, 기타 2.65%

- 주요 생산제품: 열연 선재

- 홈페이지: https://www.ssi-steel.com/en/main/

TATA STEEL MANUFACTURING (THAILAND) PCL

1993

32,637

(약 43조 1,139억 원)

촌부리

- 본사: 인도

- 지분 구조: 인도 99.9%, 태국 0.1%

- 주요 생산제품: 강봉(원형, 이형), 선재

- 홈페이지: https://www.tatasteelthailand.com/en/

SIAM YAMATO STEEL CO.,LTD.

1992

26,059

(약 34조 4,239억 원)

촌부리, 라용

- 본사: 태국

- 지분 구조: 일본 88%, 태국 12%

- 주요 생산제품: H 빔, I 빔

- 홈페이지: https://www.syssteel.com/en/

주1: NS-SIAM UNITED STEEL CO.,LTD. 사의 매출액은 2021년 기준

[자료: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태국 진출 우리나라 주요 철강 기업 현황>

업체명

설립연도

매출액

(2022년, 백만 바트)

소재지

참고사항

POSCO-THAINOX PUBLIC COMPANY LIMITED

2004

23,589

(311,604억 원)

라용

- 지분 구조: 77.2%, 태국 22.8%

- 주요 생산제품: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 홈페이지: http://www.poscothainox.com/home.php

KG STEEL (THAILAND) CO., LTD.

2011

3,120

(41,221억 원)

라용

- 지분 구조: 한국 90.35%, 태국 9.65%

- 주요 생산제품: 컬러강판

- 홈페이지: https://www.kgsteelthailand.com/

DONGKUK STEEL (THAILAND) COMPANY LIMITED

2011

2,280

(3122억 원)

촌부리

- 지분 구조: 한국 100%

- 주요 생산제품: 냉간압연제품, 컬러 박판

- 홈페이지: https://www.dongkuk.com/en/index

SEAH PRECISION METAL (THAILAND) CO.,LTD.

2004

1,553

(2518억 원)

촌부리

- 지분 구조: 한국 100%

- 주요 생산제품: 특수강(차량용, 사출 금형용 등),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강

- 홈페이지: http://www.seah.co.th/eng/main.jsp

[자료: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공급망 구조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태국은 환경문제 및 대규모 설비투자 등의 이유로 철광석 생산업체는 태국에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주로 철강 완제품(열연강판, 냉연강판, 선재, 봉강 등)을 수입하여 건설, 자동차, 전기·전자 등 주요 산업에 공급하는 구조를 보인다.  


<태국 철강산업 공급망 구조>

[자료: Krungsri Research, KOTRA 방콕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인증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HS Code 7210.70)의 일반 세율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0%이지만, 한-아세안 FTA를 통해 수입 시 관세가 면제된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통해 수입 시 4.3%의 관세가 부과된다. 


다만 해당 HS코드에 해당하는 평판압연제품은 외국 제품의 반덤핑 및 상계 법(1999)에 의거하여 반덤핑 부과 제품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태국으로 수입되는 평판압연제품(HS Code 7210.70)에 부과되는 반덤핑 관세율은 33.62%이다.


<태국의 (HS Code) 수입관세>

HS 코드

7210.70

품목명(한글)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페인팅한 것ㆍ바니시한 것ㆍ플라스틱을 도포한

품목명(영문)

Painted, varnished or coated with plastics

수입관세

- 일반세율: 0%

*단, 다음에 해당하는 HS Code에 대해 5%의 관세가 부과됨

1) 7210.70.1229

2) 7210.70.1329

3) 7210.70.1929

4) 7210.70.2129

5) 7210.70.9129

6) 7210.70.9929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

- RCEP 협정세율: 4.3%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 관세 조회 시스템]

 

<도색 아연도금강판에 대한 태국의 대 한국 반덤핑 규제 현황>

반덤핑 대상 품목명

대상 HS Code

규제내용

도색 아연도금강판

7210.70.11

7210.70.91

7212.40.11

7212.40.12

7212.40.19

7212.40.91

7212.40.92

7212.40.99

7225.99.90

7226.99.19

7226.99.99

- 부과 기간: 2021.5.1 ~ 2026.4.30

- 부과 관세

1) 동국제강: 7.00%

2) 세아씨엠: 4.27%

3) 기타: 33.62%

[자료: 태국 대외무역국(DFT)]

 

한편,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HS Code 7210.70) 수입을 위해선 태국 산업표준원(TISI)으로부터 수입허가를 받아야 한다. 태국은 산업표준 법(Industry Product Standards Act B.E. 2511 (1968))에 의거하여 산업표준원(TISI) 인증 제도를 시행해오고 있으며, 강제 인증품목 리스트를 홈페이지 상 개시하여 해당하는 품목들에 대해 수입 전 강제 인증을 통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HS Code 7210.70)의 경우 강제 인증 규정(TIS 50-2561)에 의거하여 수입 강제 인증 품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입 전 산업표준원의 강제 인증 마크를 취득해야 하는 품목이다.

강제 인증 마크 취득을 위해선 샘플 반입 및 테스트, 공장 심사, 수입허가 신청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자세한 인증 과정은 하기의 해외인증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외인증정보 - KOTRA 해외시장 뉴스 상품·산업 | 해외인증정보

 

시사점 및 전망


Krungsri Research는 태국 내 투자 활성화, 경제 회복, 구매력 증가 등을 미루어 보아 향후 태국 내 열연 코일(HRC)에 대한 생산량과 수요 증가율이 2023~2025년간 각각 연 2.0~3.0%와 4.0~5.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 1분기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태국의 건설산업 부문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했으며, 특히 공공 건설 분야가 전년 동기 대비 5.8% 성장했다. 공공부문에서의 주요 성장 요인은 라마 III-다오 카농-서부 외곽 순환도로 사업, 태국 수도청(MWA)의 제9차 급수시설 프로젝트 등이 있으며, 민간 부문에서의 주요 성장 요인은 콘도미니엄∙단독 주택 등의 주거시설 건설 프로젝트 등이 있다. 


태국 정부는 향후 레드라인 철도 확장 프로젝트, 돈므앙-수완나품-우타파오 공항을 잇는 철도 프로젝트 등 정부 차원의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임에 따라 철강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22년 태국의 자동차 생산량이 188만 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 상승하였으며, 태국의 아세안 전기차 생산 허브화 정책으로 향후 자동차용 철강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자: KOTRA 방콕무역관 구슬, 박지환

자료: 유로모니터, 태국 철강산업연구원(ISIT), Krungsri Research, 태국 상무부(MOC),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태국 관세청 통합 관세 조회 시스템, 태국 대외무역국(DFT),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 Nation Thailand 등 현지 언론매체,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방콕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철강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