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유아용품 시장 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고우람
  • 2023-06-13
  • 출처 : KOTRA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는 베트남 유아용품 시장

코로나 이후 베트남 유아용품 트렌드는?

상품명 및 HS Code

분류

HS 코드

품명

유아용 식품

1901.10.10

영유아ㆍ어린이용 조제 식료품(소매용으로 한정한다), 조제 분유

유아용 화장품

3304.99.30

어린이용 제품류(크림 및 로션)

유아용품

4818.20.10

손수건ㆍ클렌징티슈ㆍ안면용 화장지ㆍ타월(물티슈)

9619.00.13

위생 타월(패드)ㆍ탐폰(tampon), 냅킨(기저귀)ㆍ냅킨라이너(napkin liner)와 이와 유사한 물품(어떤 재질이라도 가능하다)(기저귀)

유아용 장난감

9401.80.00

그 밖의 의자(유아용 의자)

9503.00.11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9503.00.21

인형(옷을 입힌 것인지는 상관없다)

9503.00.3

그 밖의 완구ㆍ축소모형과 이와 유사한 오락용 모형(작동하는 것인지는 상관없다)와 각종 퍼즐

주: 물티슈 인형, 완구에는 품명에 ‘유아용’이라는 단어가 따로 기입되어있지 않아 베트남에서 주로 수입되는 유아용 품목을 기재한 것임.

 

시장동향

베트남의 출산율은 2.1명 수준으로 출생 신생아 수는 약 100만 명에 달하며, 이는 한국의 약 4배로 유아용품 시장 또한 전망이 밝다.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베트남의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2008년부터 평균 14%의 연간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에는 약 27억 2,674만 달러 규모에 이르렀다. 이후 2027년까지 연평균 8%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7년에는 약 40억 2,374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08~2027년 베트남 유아용품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십억 동)

[자료: Euromonitor, 호치민 무역관 가공]

주1: 2022년 이후는 추정치

주2: USD=23,480VND

 

베트남 유아용품 트렌드


1) 친환경 제품

펜데믹 이후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베트남 부모도 아기에게 더 안전하고 순한 제품을 사용하려 하고, 이는 자연스레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또한, 환경에 관심이 많은 MZ세대가 부모가 되면서, 본인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가 유아용품을 구매 시에도 반영되어 친환경 제품의 수요가 늘고 있다. 베트남에서 유아용품 유통을 담당하는 한 업체 대표는 친환경 제품의 경우 다소 구매 비용이 높아도 고정적인 구매층이 있으며, MZ세대가 부모층으로 진입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친환경 제품은 아직도 많은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전했다.

 

2) 스마트 제품과 워킹맘을 위한 제품

2019년 베트남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베트남의 여성의 평균초혼연령은 23.1세로 부모가 되는 베트남의 여성들은 20대 초중반의 연령의 비중이 높다. 이들은 스마트 제품에 익숙하고 사용법도 익숙하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베트남은 맞벌이 가정이 약 74%로 동남아 국가 중 부부가 모두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 때문에 직장에서 아기를 지켜볼 수 있는 스마트 CCTV나 이유식 밀키트 제품, 적정온도를 알려주는 스마트 젖병을 사용하는 등 시간이 없고 일하면서도 아이를 챙겨야하는 워킹맘을 위한 유아용품도 수요가 꾸준하다.

 

3) 사용자 편의

베트남은 여성의 노동 참여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높고, 생계 유지를 이유로 부부가 모두 일을 하는 맞벌이 가정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업무시간에 맞벌이 부부가 일을 하면 할머니나 할아버지가 아이를 대신 돌봐주는 경우가 많다. 비교적 고령인 할머니나 할아버지가 아이를 보는 경우가 많다 보니, 노년층이나 장년층도 쉽게 다룰 수 있는 베이비 제품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젖병의 눈금이 아주 크게 써져 있는 제품이나 사용법이 직관적이라 별다른 설명 없이도 사용에 문제없는 제품의 수요가 높다. 아기를 위해 만들었지만 사용자의 편의성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베트남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주요 수입국


1) HS Code 1901.10.10(영유아ㆍ어린이용 조제 식료품(소매용으로 한정한다), 조제 분유) 수입 동향

베트남의 2022년 HS Code 1901.10.10의 총 수입액은 2억 9,954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1년 대비 2022년의 수입액은 5.6% 감소률을 보였는데, 이는 시장 축소의 의미가 아닌 베트남 자국 제품이 내수 시장에서의 압도적 점유율을 보이는 것과 동시에 그 세를 점점 확장시켜 나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 베트남의 한국산 제품 수입액은 1,474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2021년 대비 수입액이 15% 감소했다. 이미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베트남 자국 제품, 수입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타국 기업들과의 경쟁을 위해서는 베트남 시장에 맞는 제품 개발, 마케팅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20~2022년 베트남 HS Code 1901.10.10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총계

266,743

317,587

299,543

100.0

100.0

100.0

-5.6

1

일본

53,078

58,723

59,757

19.9

18.4

19.9

1.7

2

태국

43,411

45,345

41,840

16.2

14.2

13.9

-7.7

3

아일랜드

27,203

27,480

39,635

10.2

8.6

13.2

44.2

4

싱가포르

41,905

62,331

38,534

15.7

19.6

12.8

-38.1

5

호주

17,729

26,540

25,900

6.6

8.3

8.6

-2.4

6

뉴질랜드

5,213

17,251

21,105

1.9

5.4

7.0

22.3

7

한국

12,654

17,348

14,741

4.7

5.4

4.9

-15.0

8

네덜란드

6,324

9,550

8,922

2.3

3.0

2.9

-6.5

9

스위스

19,502

10,192

8,367

7.3

3.2

2.7

-17.9

10

독일

10,370

9,192

8,126

3.8

2.8

2.7

-11.6

[자료: World Trade Atlas]

 

2) HS Code 3304.99.30(어린이용 제품류(크림 로션)) 수입 동향

베트남의 2022년 HS Code 3304.99.30의 총 수입액은 1억 4,915만 달러를 기록했다. 화장품 부문은 전년대비 21.9%의 감소율을 보였는데, 이는 베트남 내 공장에서 생산되는 품목의 내수 유통이 증가함에 따라 수입 금액이 감소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 한국은 4억 6,957만 달러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화장품 부문이 전체적인 감소율을 보이는 반면, 일본, 영국 등의 국가의 제품 수입은 큰 상승률을 보이고 있어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2020~2022년 베트남 HS Code 3304.99.30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총계

83,401

191,135

149,156

100.0

100.0

100.0

-21.9

1

한국

26,584

49,016

46,957

31.8

25.6

31.4

-4.2

2

일본

12,687

14,785

25,534

15.2

7.7

17.1

72.7

3

프랑스

10,648

77,786

20,481

12.7

40.7

13.7

-73.6

4

미국

9,389

17,695

15,741

11.2

9.2

10.5

-11.0

5

태국

8,010

9,319

9,331

9.6

4.8

6.2

0.1

6

영국

941

1,826

4,477

1.1

0.9

3.0

145.1

7

폴란드

1,632

1,888

2,311

1.9

0.9

1.5

22.4

8

중국

1,510

2,108

2,284

1.8

1.1

1.5

8.3

9

인도

931

1,618

2,177

1.1

0.8

1.4

34.6

10

스페인

966

1,450

2,176

1.1

0.7

1.4

50.0

[자료: World Trade Atlas]

 

3) HS Code 4818.20.10, 9619.00.13 수입 동향(물티슈, 귀저기)

베트남의 2022년 HS Code 4818.20.10, 9619.00.13의 총 수입액은 2억 1,810만 달러를 기록했다. 총 수입액이 전년대비 24.4% 증가하면서 기저귀, 물티슈 관련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2년 한국산 제품의 수입이 13.9% 감소하였는데, 이는 저렴한 중국산 제품, 고품질의 일본산 제품과의 경쟁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2020~2022년 베트남 HS Code 4818.20.10, 9619.00.13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총계

126,981

175,225

218,107

100.0

100.0

100.0

24.4

1

중국

46,856

95,700

119,783

36.9

54.6

54.9

25.1

2

일본

49,902

60,942

79,752

39.3

34.7

36.5

30.8

3

태국

16,542

11,281

9,099

13.0

6.4

4.1

-19.3

4

한국

5,545

2,728

2,347

4.3

1.5

1.0

-13.9

5

인도네시아

2,405

1,880

2,323

1.8

1.0

1.0

23.5

6

필리핀

2,845

767

1,967

2.2

0.4

0.9

156.3

7

이집트

44

-

923

0.0

-

0.4

-

8

말레이시아

1,376

308

398

1.0

0.1

0.1

29.4

9

미국

151

105

195

0.1

0.1

0.1

85.1

10

독일

104

30

153

0.1

0.1

0.1

393.6

[자료: World Trade Atlas]

 

4) HS Code 9401.80.00, 9503.00(유아용 의자, 인형, 완구, 세발 자전거) 수입 동향

베트남의 2022년 HS Code HS Code 9401.80.00, 9503.00의 총 수입액은 1억 6,59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국 중 중국이 84.8%의 수입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가격 부분에서의 경쟁력이 타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2021년 대비 2022년 한국, 프랑스 등 국가의 제품의 수입 상승률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프리미엄 장난감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2022년 베트남 HS Code 9401.80.00, 9503.00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총계

109,184

128,706

165,904

100.0

100.0

100.0

28.9

1

중국

87,652

107,236

140,755

80.2

83.3

84.8

31.2

2

태국

2,062

2,090

2,582

1.8

1.6

1.5

23.5

3

한국

593

709

1,848

0.5

0.5

1.1

160.6

4

프랑스

72

121

1,676

0.0

0.0

1.0

1281.4

5

인도네시아

1,434

1,373

1,450

1.3

1.0

0.8

5.5

6

오스트리아

2,553

2,232

1,422

2.3

1.7

0.8

-36.3

7

일본

494

564

835

0.4

0.4

0.5

48.0

8

말레이시아

733

792

821

0.6

0.6

0.4

3.5

9

이탈리아

364

717

726

0.3

0.5

0.4

1.3

10

독일

908

207

320

0.8

0.1

0.1

54.6

[자료: World Trade Atlas]

 

한국 수입 동향


각 품목별 차이는 있지만 베트남의 한국산 유아용품 수입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주로 다수의 중소기업 제품이 베트남으로 수입되고 있다. 2022년에만 약 1300여 개의 한국 기업 제품이 베트남으로 수입될 정도로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이미 진출해 있는 등 경쟁이 치열하다. 따라서 베트남 진출을 목표로하는 우리 한국 기업들은 시장 조사, 타깃 설정, 차별화 등의 종합적인 전략을 통해서 신중히 시장에 진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8~2022년 한국산 유아용품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HS Code 1901.10.10

수입액

8,738

14,219

19,198

20,641

18,077

증감률

-

63

35

8

-12

HS Code 3304.99.30

수입액

129,661

168,876

202,627

240,376

291,880

증감률

-

30

20

19

21

HS Code 4818.20.10, 9619.00.13,

수입액

2,270

7,229

6,847

3,863

2,376

증감률

-

218

-5

-44

-38

HS Code 9401.80.00, 9503.00

수입액

5,980

6,292

3,355

3,251

6,657

증감률

-

-5

-47

-3

105

총계

수입액

146,649

196,616

232,027

268,131

318,990

증감률

-

34

18

16

19

[자료: 통계청]

 

경쟁 동향

베트남 유아용품 시장은 이미 다수의 중소, 글로벌 기업이 진출해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유아용 크림, 로션 분야에서는 상위 3개의 기업이 23.2%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유식 등 영유아용 조제식품은 아직 선도 업체가 없어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분유 분야에서는 상위 2개 기업이 전체 시장점유율의 32.2%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기저귀 분야는 몇 개의 글로벌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2개의 글로벌 기업이 61%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유통구조

유아용품의 유통구조로는 크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인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펜데믹 이후 온라인 구매가 꾸준히 늘고있지만 2022년 기준 오프라인 마켓 점유율이 86.5%로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2017~2025년 베트남 유아용품 유통 채널 온∙오프라인 점유율>

(단위: %)

[자료: Statista]

 

오프라인

베트남의 오프라인 유아용품 매장은 정식 수입제품들만을 취급하며 해당 매장들은 오프라인에만그치는 것이 아닌 라이브스트리밍, 앱, 페이스북 등을 통해 매장 방문 시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들을 홍보하고 있어 매장에 직접 방문해 제품을 구매하도록 소비자들을 유도하고 있다. 소비자들 또한 다양한 행사에 직접 참여할 수 있고 물건을 꼼꼼히 보고 살필 수 있어 오프라인 매장을 더 선호한다.

<베트남 주요 오프라인 유아용품 매장>

사진

이름

투자국

점포수

주력 사업지역

꼰꿍(Concung)

베트남-일본

708

남부

키즈플라자(Kizsplaza)

베트남

159

북부

비보마트(BIBO MART)

베트남-일본

154

베트남 전역

투티케어(tuticare)

베트남

55

베트남 전역

샵쩨토(Shoptretho)

베트남

22

베트남 전역

[각 사 홈페이지, 호치민 무역관 종합]

 

온라인

코로나 이후 유아용품의 온라인 구매 비율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주요 이커머스 사이트인 Shopee, Lazadz, Tiki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온라인 구매의 장점으로는 다른 구매자가 남긴 제품 리뷰를 확인할 수 있고, 페이스북에는 베트남의 맘카페가 위치하고 있어 정보 수집이 용의해 베트남 젊은 세대의 소비자들의 이용 빈도가 높다.

 

관세율, 인증

관세율

제품 수입 시 수입 제품 별 HS Code 및 기본관세, FTA 활용 시 관세율을 확인하고 가장 관세 혜택이 큰 FTA로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아용품 베트남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품목명

VAT

AKFTA

VKFTA

1901.10.10

영유아ㆍ어린이용 조제 식료품(소매용으로 한정한다), 조제 분유

10

0

0

3304.99.30

어린이용 제품류(크림 및 로션)

10

4

5

4818.20.10

손수건ㆍ클렌징티슈ㆍ안면용 화장지ㆍ타월(물티슈)

10

0

0

9619.00.13

위생 타월(패드)ㆍ탐폰(tampon), 냅킨(기저귀)ㆍ냅킨라이너(napkin liner)와 이와 유사한 물품(어떤 재질이라도 가능하다)(기저귀)

10

0

0

9401.80.00

그 밖의 의자(유아용 의자)

10

0

0

9503.00.11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10

4

5

9503.00.21

인형(옷을 입힌 것인지는 상관없다)

5

0

0

9503.00.3

그 밖의 완구ㆍ축소모형과 이와 유사한 오락용 모형(작동하는 것인지는 상관없다)와 각종 퍼즐

5

0

0

[자료: 2023 베트남 수입 및 수출 관세표]

 

인증 제도


1) 유아용 식품

보편적으로 일반 식품류는 베트남 보건부의 등록이 필요하며, 가공 식품인지 건강기능식품인지에 따라 등록 서류가 달라진다. 분유, 어린이용 유제품의 경우에는 수입 전 베트남 우유 및 유제품 규제 위원회의 유제품 수입 허가 요청이 필요하다.

<식품 등록시 필요 서류>

구분

일반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36개월 이하 어린이를 위한 영양식품)

분유(유제품)

공통

ㅇ 식품검역: 베트남 보건부 산하 식품청(VFA)

ㅇ 상품 도착 5일 전까지 보건부 또는 공공의료위생원에 서류제출

ㅇ 수입 제품의 종류, 규격, 포장, 라벨, 수량, 상태 등을 검사

ㅇ 샘플 분석 후 결과 통지

개별

ㅇ 제품 등록 신청서

ㅇ ISO 17025 기준 충족 식품안전검사 서류

ㅇ 수입 건 별 수입신고 전 식품 검역, 검사 必

ㅇ 제품 등록 신청서

ㅇ 자유판매증명서(CFS)

ㅇ ISO 17025 기준 풍족 식품안전검사 서류

ㅇ GMP 증명서

*제품 등록 후 관할 부서 승인 필요

ㅇ 제품 등록 신청서

ㅇ ISO 17025 기준 충족 식품안전 검사 서류

ㅇ 제품 샘플(제품 사진, 라벨 샘플 첨부)

ㅇ GMP 증명서 또는 HACCP 또는 이에 상응하는 인증서

ㅇ 자유판매증명서(CFS)

ㅇ 멜라민이 없다는 식품 검사 결과서

*수입 전 베트남 우유 및 유제품 규제 위원회의 유제품 수입 허가 요청

[자료: 베트남 보건부(MOH)]

 

2) 유아용 화장품

유아용 화장품의 경우 일반 화장품에 속하기 때문에 베트남 보건부에서 공표한 화장품 수입관리 규정(Circular 06/2011/TT-BYT)에 따라 제품 등록이 필요하다. 제품 등록 시 제품등록신청서, 제조사 위임장(LOA, Letter of Attorney), 자유판매증명서(CFS, Certificate of Free Sale)의 서류가 필요하다.

 

3) 유아용품

3)-1. 물티슈

베트남에서 물티슈를 수입하기 위해서는 관련 국가기술 규정인 Circular No. 36/2015/TT-BCT(클릭시 이동)에 따라 베트남 산업통상부에 등록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3)-2. 기저귀

기저귀가 천 기저귀(Textile Diaper)나 천 재료(Textile Compositions)로 생산된 경우, 관련 국가기술 규정인 Circular No. 21/2017/TT-BCT(클릭 시 이동)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함량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유아용 장난감

베트남은 유아용 장난감의 경우 중고품일 경우 수입을 불허하여 신품에 한해서만 수입이 가능하다. 유아용 장난감의 경우 베트남의 품질 검사 및 적합성 인증 규정(QCVN 03:2019/BKHCN)에 통과 해야한다.

<품질 검사 및 적합성인증(QCVN 03:2019/BKHCN) 내용>

[자료: QCVN 03:2019/BKHCN]


또한, 장난감 제품에 대해 기업의 품질 향상 및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2010년부터 강제인증제도인 ‘CR 마크’를 운영하고 있다.

마크

신청시 필요 서류


1. 인증신청서(영문)

2. 부품 리스트

3. 제품 전면 사진 및 부품 사진

4. 제품사양서 또는 메뉴얼(베트남어)

5. 라벨(베트남어)

6. 기타 *인증 및 성적서

*ISO 9001

7. 지정 시험소 성적서

[자료: QCVN 03:2019/BKHCN]

 

베트남 진출 팁


현지 유아용품 유통사 대표에 따르면 유아용품 시장은 아기를 위한 제품임에도 사용자인 부모의 연령, 취향에 따라서 트렌드가 바뀌는 민감한 시장이라고 전하며, 이에 베트남에 유아용품을 진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특성을 잘 파악하고 베트남 특성에 맞는 마케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1) 지역별, 가격대별 특성 고려한 유통망 선택

베트남은 남북의 길이가 약 1,650km에 달하는 길게 뻗은 모양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지역별, 도시별로 다른 특성을 지닌다. 호치민의 경우 제품의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해 할인, 프로모션 등의 이벤트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 시킬 수 있는 반면, 하노이의 경우 제품의 품질에 더 많은 관심을 쏟는다. 따라서 하노이에서는 프리미엄 브랜드, 소규모 프리미엄 제품 취급 매장을 유통망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격대별 특성을 고려한 유통망의 선택도 중요하다. 가격대가 높은 제품의 경우 전문 유아용품 매장과 같은 대형 유통망과 협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격대가 낮아 마진율이 작은 제품의 경우 대형 유통망 진입보다는 규모가 작은 소규모의 유통업자를 직접 발굴하여 거래하는 편이 낫다.

 

2) 베트남 특유의 산모 대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마케팅

베트남에서는 유아용품 매장과 유명 산부인과 의사들이 협업해서 ‘출산 교육 프로그램’, ‘산모 교육 워크샵’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 임산부들을 모집하고 산부인과 전문의, 육아 전문가를 초빙해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출산 전후의 몸관리 법, 육아 팁 등을 교육한다. 이와 연계하여 유아용품이나, 산부인과 진료비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면서 제품과 병원에 대한 홍보를 진행한다. 베트남에 진출 시 제품을 베트남 시장에 소개하는 방법으로 병원과의 협업 마케팅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베트남 산모 대상 교육 프로그램>

[자료: 굿데이글로벌트레이딩]

 

3) 유아용품 관련 전시회 참가

 

<유아용품 전시회 일정>

[자료: SECC]

 

매년 개최되는 호치민 국제 유아용품 전시회는 COEX가 주최기관으로 국내외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올해에도 6월 초 개최되어, 베트남 진출에 관심이 있는 우리기업은 해당 전시회에 참가 혹은 참관을 통하여 소비자 및 바이어의 반응 확인, 제품의 트랜드 변화 등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원: Euromonitor, World Trade Atlas, 통계청, Statista, 각 사 홈페이지, 호치민 무역관 종합, 2023 베트남 수입 및 수출 관세표, 베트남 보건부(MOH), 기술규정(QCVN 03:2019/BKHCN), 굿데이글로벌트레이딩,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SEC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유아용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