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3-05-02
  • 출처 : KOTRA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 시장수요 증대에 따라 안정적 성장세 유지 전망

중국 선두기업 간 경쟁이 날로 치열

시장 수급, 가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하고 변화에 따라 전략 수정 등 노력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육불화인산리튬(LiPF6, 六磷酸)은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질의 핵심 소재로 HS코드는 28269020이다.

 

상품명

HS CODE

육불화인산리튬

(LiPF6, 磷酸)

2826.90.20

 

시장동향

 

중국 전기차 시장 호황으로 이차전지 생산이 고성장세를 이어가며 이차전지 전해질의 핵심 소재인 육불화인산리튬 수요도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중국자동차이차전지산업혁신연맹(中國汽車動力電池産業創新)에 따르면 2021~2022년 중국 이차전지 생산량은 100% 이상의 신장세를 유지했으며 2022년 생산량은 55만 ㎽h에 육박했다. 올들어 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30%대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1분기 이차전지 생산량의 신장폭이 26.3%로 꺾였다. 그러나 업계는 2분기부터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신에너지차 및 이차전지 시황이 빠르게 회복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하이퉁(海通)증권연구소는 전 세계적인 친환경차 열풍에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수요 확대가 더해져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시장 규모는 2025년 443억 위안, 2030년 1123억 위안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이차전지 생산량>

 

[자료: 중국자동차이차전지산업혁신연맹]

 

수입동향

 

2022년 중국의 육불화인산리튬(HS 2826.90.20) 수입금액은 전년대비 92.8% 증가한 2957만 달러를 기록했다. 2년 전인 2020년 대비 2687배 증가한 수준이다. 최대 수입대상국인 일본은 2년 연속 80% 이상의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수입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한국은 2위 수입대상국으로 중국 수입시장점유율은 2021년의 7.1%에서 2022년 19.4%로 크게 확대했다. 2022년 대한국 수입 증가율은 426.4%로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수입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최근 3년간 중국 육불화인산리튬(HS 2826.90.20)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 세계

11

15,337

29,568

100.0

100.0

100.0

92.8

1

일본

2

14,075

23,836

16.2

91.8

80.6

69.4

2

한국


1,089

5,731


7.1

19.4

426.4

3

미국

3

7

1

31.3

0.0

0.0

△86.3

4

인도

-

-

0

-

-

0.0

-

5

중국

6

166

0

52.5

1.1

0.0

△100.0

6

영국

-

0

-

-

0.0

-

-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중국 전기차 및 이차전지 관련 업체들이 육불화인산리튬 확보에 열을 올리며 중국은 세계 최대 육불화인산리튬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현지 원자재 시장조사업체 바이인포(Baiinfo)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생산능력은 전년대비 106.9% 증가한 24만5800톤/연에 도달했으며 생산량은 19만7500톤을 기록했다.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시장에서 선두기업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2022년 기준 상위 5개사가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생산능력의 7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위, 2위 업체인 톈츠재료(天賜材料)와 둬푸둬(多)의 생산능력은 각각 중국 전체 육불화인산리튬 생산능력의 31%, 28%를 차지했다. 상위 2개사가 중국 전체 생산능력의 60%를 장악하고 있는 셈이다.

 

<2022년 중국 내 육불화인산리튬 생산기업>

순위

기업

중국 전체 생산능력에서의 비중

(2022년 기준)

1

톈츠재료(天賜材料)

31%

2

둬푸둬(多多)

28%

3

장쑤신타이(江蘇新泰)

9%

4

중란훙위안(中藍宏源)

5%

5

융타이테크(永太科技)

4%

기타

기타

23%

[자료: 바이인포(Baiinfo)]

 

유통구조

 

제조업체가 다운 스트림 부문(전해액 제조사 등)에 직접 납품하는 구조이다. 지난 2년간 리튬염 가격 급등세로 장기공급계약을 맺어 원가 부담을 낮추는 기업도 많다.

 

관세율 및 인증·수입규제


2023년 현재 기준 육불화인산리튬(HS 2826.90.20)의 최혜국 세율은 5.5%, 한국산은 한-중FTA 세율 2.2%를 적용받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유의해야 할 부분은 RCEP 협정세율은 원산지에 따라 다른 데 한국산의 RCEP 협정 수입 관세율은 4.4%이지만 일본산의 RCEP 협정 수입 관세율은 한국산보다 0.4%p 높은 4.8%이다.

 

<2023년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수입 관세율>

명칭/HS코드

수입관세율

소비세

부가가치세

최혜국

한중 FTA

RCEP

APTA

육불화인산리튬

2826.90.20

5.5%

2.2%

4.4%

-

0

13%

[자료: 2021년 수출입세칙]

 

육불화인산리튬 대중 수출 시 별도의 인증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전망 및 시사점

 

현지 업계 관계자들은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 시장 수요 증대에 따라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시장 수요도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장세는 둔화했지만 시장 규모는 안정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단, 중국 내 공급능력 확장, 국제 리튬정광 가격 안정세*에 따라 매출, 수입금액은 지난 2년간의 고성장세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중국 내 육불화인산리튬값은 2022년 3월 톤당 59만 위안에서 고점을 찍은 후 1년간 가파른 하락세를 이어왔다. 2023년 4월 중하순 현재 가격은 8만8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8% 하락했다. 로컬 기업들의 공격적인 생산능력 확장으로 시장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기업들은 높은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기술력, 혁신력을 통해 품질을 강화하는 한편, 시장 수급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장 변화에 맞춰 사업전략을 수정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

    주*: 2023년 4월 24일 호주산 리티아휘석 가격 톤당 3350달러로 2022년 말 고점 대비 49.2% 하락 (자료: 바이인포)

 

<중국 내 육불화인산리튬 가격>

 

[자료: wind]

 

 

자료: 하이퉁(海通)증권연구소, wind, Baiinfo(百川盈孚)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육불화인산리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