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집트 최근 경제 동향과 주요 현안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허유진
  • 2023-03-31
  • 출처 : KOTRA

이집트 외화부족으로 대외송금지체 등 애로 지속

이집트 정부, 수처리, 배터리, 전자제품, 전력기자재, 교통, 항만 등의 분야에서 한국 기업과의 협력의지가 높아 투자 및 프로젝트 기회 기대

이집트 경제, 3월 현재는?

 

이집트는 2022년 2월 러-우 사태 발발 이후로 환율 상승, 외환보유고 감소 등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외환이 소요되는 신규 프로젝트는 작년 12월에 긴급재정정책을 통해 전면적으로 무기한 연기 조치를 내린 바 있다. 수입 시 신용장 발급 의무 조치가 약 9개월간 지속됐으며, 외환송금이 통제됐고 2022년 12월에는 30억 달러 규모의 IMF 구제금융이 결정됐다. 2023년 2월 근원 인플레이션은 전년 동기 대비 40.3% 를 상회하는 등 경제 상황에 대하여 여전히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3월 23일자 로이터 통신(Reuters)에 따르면 IMF가 46개월에 걸친 확대금융지원을 위한 8회의 검토 출장단 파견 중 최초인 1차 검토 출장을 준비 중으로 조만간 해당 검토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집트 정부의 경제 개혁 조치 동향

 

-우 사태의 장기화로 인플레이션, 밀의 높은 수입의존도에 따른 식량위기, 관광수입감소, 외화부족 등의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이집트는 현재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을 다방면에서 펼치고 있다. 이집트는 2022년 12월 IMF의 금융지원 승인 이후, 이집트 파운드화 절하, 2022/23 회계연도 말일(2023.6.30.)까지 공공지출 및 달러 통제를 위한 긴축적 재정정책 운영(2023.1.9. 발표), 경제구조의 민영화 등 구조개혁, 수입대체 산업 개발,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출 증대 등의 경제개혁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경제구조의 민영화와 관련해서 이집트는 향후 13개월 동안 이집트 증시(EGX) 상장 또는 전략투자가들을 상대로 지분을 매각할 국영기업 32개사를 선정했음을 2월 8일 이집트 무스타파 맛불리(Moustafa Madbouly) 총리가 발표했다. 정부는 민영화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4년간 예상되는 170억 달러 규모의 금융 손실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현지시장에 미달러 유동성을 제공하며 민간의 참여를 30% 수준이 아닌 65%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현지 정부의 방침임을 아흐람(Ahram) 뉴스에서 3월 27일자로 보도했다. 이는 30억 달러의 확대금융프로그램을 이집트가 국제금융기구(IMF)로부터 지원받기 위한 명분이기도 하다.

 

이집트 주요 거시경제 현황

 

(1) GDP

2022/23 2분기 기준* 이집트 GDP 성장률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것으로 이집트 기획부에서 2023년 3월 15에 발표했다. 이집트 기획부에 따르면 동 분기 전체 GDP의 80%를 통신, 농업, 도소매 무역, 부동산, 서비스업, 건설 등이 차지하였다.

    주*: 참조: 이집트 통계청, 중앙은행을 비롯 공식 자료는 회계연도를 적용한다. 2022/23 회계연도는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이며 해당 회계연도의 2분기는 2022년 10~12월이다. 

 

(2) 환율

이집트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3년 3월 28일 매도 기준 EGP/USD는 30.94로 전년동기비 약 2배 상승했다. 외환보유고 감소, 시장심리 위축, 생산성 하락, 경상수지 적자, 간접투자 자본 유출 등의 사유로 환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3월 20일부로 선물통화환율은 사상 최초로 40EGP/USD를 상회했으며, 3월 23일부터 시작한 라마단 기간 중에 환율은 더 오를 것이라는 현지 업계와 언론의 예상이다.

    주*: 외환보유고 2023년 1월 기준 342억2000만 달러, 2022/23 회계연도 1분기 경상수지 적자가 32억 달러로 전년대비 20.2% 하락, 이집트의 경우 2022/23 회계연도 1분기에 36억 달러 유입 대비 22억 달러 유출된 바 있다. 

 

(3) 외환보유고

이집트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3년 1월 기준 342억2000만 달러로 2022년 1월 기준 409억8000만 달러에 비해 16.48% 감소했으며, 2월에는 343억5000만 달러로 2022년 2월 기준 14.5% 감소했다. 다만, 2022년 6월 외환보유고는 331억4000만 달러로 313억 달러를 기록한 2017년 6월 이래 최저치를 경신했으나 해당 시점으로부터 2023년 2월 기준 매월 측정되는 외환보유고 수준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2022~2023년 이집트 월별 외환보유고 집계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 이집트 중앙은행(2023.3.28. 확인)]

 

(4) 물가상승률

외환보유고 감소 등의 요인으로 2023년 2월 기준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전년 동기 대비 31.9%, 식품과 같이 변동성이 큰 항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전년 동기 대비 40.3% 증가했다. 최근 물가상승률 급등의 주요 원인은 파운드화의 평가절하로 판단된다.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상승에 영향을 준 요인은 식품과 음료가격 급등(61.8%)으로 분석된다. 러-우 사태 이전까지 3~6%대의 전년 동기비 근원 인플레이션을 기록했으나 이후 급상승했다. 

 

(5) 실업률

실업률은 2020년 3분기 이래 2022년 4분기까지 7%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경기침체로 실업률이 감소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2018~2022년 이집트 주요 경제지표>

구분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2022/2023e

인구(백만 명)

98.9

100.6

102.1

104.1

106.2

GDP

(백만 달러)

317,900

382,520

423,150

469,090

471,360

1인당

GDP(달러)

3,057

3,802

4,164

4,563

-

물가상승률

(%)

13.9

5.7

4.5

8.5

12

실업률(%)

8.6

8.3

7.3

7.3

7.3

외환보유고

(백만 달러)

44,481

38,176

40,584

35,495

-

: 2022/23년은 추정치, 이집트는 회계연도(전년 7월 1일~ 당해년도 6월 30일) 기준으로  관리, e는 전망치

[자료: IMF, CBE(이집트 중앙은행 등 (2023.3.28. 확인)]

 

이집트 대세계 교역동향

 

이집트의 최근 10년간 수출, 수입의 연평균증가율(CAGR)은 각각 4.5%, 3.1%을 기록했다. 2022년 1~10월 이집트 교역규모는 110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고 무역적자는 378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6% 감소세를 보였다. 수출 408억 달러, 수입 693억 달러로 전년 동기비 각각 17.5%, -4.5% 증감률을 나타냈다.

 

지난 2022년 1~10월 이집트는 튀르키예, 이탈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한국, 프랑스, 아랍에미리트, 중국, 네덜란드 순으로 수출을 가장 많이 했다. 한편, 같은 기간 동안 이집트는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인도, 튀르키예, 독일, 쿠웨이트, 러시아, 브라질, 이탈리아로부터 수입을 가장 많이 했다. 한국의 경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수출대상국가 상위 10위 안에 들지 못했으나 이집트의 대세계 천연가스 수출이 272% 가량 급증하면서 한국도 그 영향을 받아 수출 상위 6위를 기록했다. 수입의 경우 해당 기간 동안 한국은 13위를 기록했다. 

 

<이집트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자료: GTA, 이집트통계청(2023.3.20. 확인)]

 

이집트의 주요 수입국 경쟁동향

 

(1) 중국

2022년 10월 기준 이집트의 중국산 수입액은 10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33% 감소했으나 전체 수입 순위로는 1위를 차지했다. 상위 1위 수입품인 전자기기의 수입이 19억2000만 달러로  대비 39.23% 감소, 상위 2위 보일러 기기는 15억2000만 달러로, 9.54% 감소했다.

 

(2) 사우디아라비아

2022년 기준 이집트의 사우디아라비아산 수입액은 63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78% 증가했고 전체 수입 순위로는 2위를 차지했다. 상위 1위 수입품인 광물연료(석유, 부탄가스 등)는 43억1000만 달러 수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2% 증가했으며, 2위 수입품인 플라스틱은 12억8000만 달러 수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1% 수입 증가했다.

 

(3) 미국

2022년 기준 이집트의 미국산 수입액은 5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으며 전체 수입 순위로는 3위를 차지했다. 상위 1위 수입품인 채유용종자 수입 규모는 18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비 43.14% 증가, 2위인 광물성 연료는 10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6.6% 증가했다.  

 

(4) 인도

2022년 기준 이집트의 인도산 수입액은 31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94% 증가했으며 전체 수입 순위로는 4위를 차지했다. 상위 1위 수입품인 고기류의 수입 규모는 5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비 0.45% 감소했으나 상위 2위 수입품인 철강의 수입 규모는 4억5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비 218.86% 증가했다. 광물성 연료의 경우 4억4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비 2490.26% 증가했다. 

 

-이집트 교역동향 

 

-이집트 교역 규모는 2022년 기준 약 32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에 이집트는 교역규모 기준 전체 국가 중 49위, 아프리카 국가 중 4위를 차지한다. 수출기준으로는 이집트가 전체 국가 중 43위, 수입기준은 44위이고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수출기준 3위 그리고 수입기준은 4위를 기록했다. 참고로 우리나라 아프리카 국가 교역 순위로는 1위는 남아프리카공화국, 2위는 라이베리아 그리고  3위는 알제리가 차지했다. 양국 교역 규모(32억 달러)는 전년동기(23억 달러)대비 39% 증가했으며 천연가스 수입의 급증으로 對이집트 무역수지는 약 2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대이집트 교역현황>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총교역량

1,831

1,415

2,160

1,856

1,561

2,328

3,159

수출

1,769

1,325

1,847

1,574

1,215

1,682

1,468

수입

62

90

313

282

346

646

1,691

무역수지

1,707

1,235

1,534

1,292

869

1,036

-223

[자료: 무역협회(2023.3.28. 확인)]

 

우리나라의 2022년 대이집트 수출은 전년대비 12.7% 감소한 14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품은 합성수지(2억6400만 달러, 7.4%↑) 자동차(1억9800만 달러, 27.7%↓), 자동차부품(7000만 달러, 4.8%↓) 등이다. 작년 한해 신용장(L/C) 의무 발급 제도 도입 및 개설 지연, 대금 송금 지연에 따른 미납금 발생 등으로 수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경향을 보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수입의 경우, 2022년 이집트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대비 87% 증가한 16억9000만 달러 기록했다. 이집트로부터의 수입은 천연가스 및 나프타가 전체 수입의 93.3% 이상을 차지했다.

 

2023년의 경우에 1~2월 기준 합성수지, 승용차, 집적회로반도체, 자동차부품 등 제조업 제품 및 부품의 수입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동 기간 주요 수출품목에는 천연가스, 나프타, 박류, 기타비금속광물, 편직제의류, 직물제의류 등이며 특히 천연가스의 경우 전체 수입금액의 78.9%를 차지했다. 이는 1월에 천연가스가 3억5000만 달러 수준으로 수입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대이집트 품목별 교역현황>

(단위: 백만 달러)

주요 수출품

주요 수입품

품목

2022년

2023년 1~2월

품목

2022년

2023년 1~2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전체

1468

-12.7

187

-38.1

전체

1691

161.8

492

181.6

합성수지

264

7.4

29

-50.0

천연가스

812

705.9

388

763.1

승용차

198

-27.7

26

-42.7

나프타

766

107.7

90

-17.5

집적회로반도체

51

121.1

10

48.4

박류

48

19.8

6

-16.4

자동차부품

68

-4.8

10

-40.4

기타비금속광물

38

19.7

6

-26.4

기타석유화학제품

38

9.6

5

-24.8

편직제의류

3

36.4

1

165.3

공기조절기

26

121.7

5

147.1

직물제의류

4

52.2

1

99.8

아연도강판

53

-2.6

5

-61.9

시멘트

3

77.7

0.2

-37.4

윤활유

16

1222.6

5

6239.5

식물성한약제

2

-0.8

0.2

-31.0

플라스틱금형

15

40.3

5

-1.5

의약품

2

13.6

0.2

-56.8

광학기기부품

25

-29.9

5

-33.3

식물성유지

0

-31.1

0.2

553.0

주: MTI코드 4자리 기준 조회

[자료: 무역협회(2023.2.28. 확인)]

 

이집트 투자유치 동향

 

이집트는 최근 5개년 연평균 증가율(CAGR) 기준 순 FDI 3.7%, FDI 유입 기준 14%가 증가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22 회계연도에 이집트의 유입 기준 FDI는 222억 달러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동안 가장 많이 투자한 국가는 아랍에미리트로 총 56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네덜란드는 21억 달러를 투자했다. 한국은 투자순위 14위로 3억10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이집트중앙은행에서 발표했다. 3월 26일 아흐람(Ahram) 지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2/2023년 1분기(1Q)(2022년 7~9월) 이집트의 비석유 사업 부문이 순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고 이집트 중앙은행(CBE)이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FDI 유입 증가는 순 그린필드 투자 증가와 기존 기업의 자본 증가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최근 5년 이집트 투자유치동향>

(단위: 백만 달러)

[자료: 이집트중앙은행(2023.3.15. 확인)]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이집트로 총 7억9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그간 주로 대기업 중심의 투자진출이 이뤄져왔다. 주요 투자 업종은 제조업으로 누계기준 약 5억 달러 규모로 투자된 바, 전체 투자금액의 약 63%를 차지한다. 주요 진출 분야는 섬유봉제, 무선통신기기, 가전제품, 전기, 화학 등의 분야로 파악된다.  


최근 이집트 무역투자 정책 동향과 우리기업에의 영향

 

(1) 이집트 금융당국의 외환송금통제 지속

 

2022년 12월 이후 이집트에서 수입 시 신용장 의무화 조치는 해제됐음에도 신용장 발급 지연 및 이후 송금통제에 대한 선적, 수입통관, 대금지급 지연 등이 발생하고 있다. 2022년 3월에서 12월까지 5000달러 이상 무역대금 결제 방식을 신용장 방식으로만 접수했었고 당시 신용장 개설에 최소 2개월이 소요됐다고 한다. 신용장 의무화 해제 이후에도 정부의 외환송금통제로 인해 대금지급, 선적, 통관, 신규오더 발주 등에 애로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3개월에서 수개월 이상 바이어로부터 대금지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현지에서 수입을 위한 외환송금시 은행마다 송금 정책이 다른 점도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2) 신규통관시스템(ACI) 애로 지속

 

2021년 10월부터 정식운영된 신규통관시스템(ACI)은 화물이 수출국을 떠나기 최소 48시간 전에 온라인 포털을 통해 모든 선적에 관한 모든 관련 문서와 거래 데이터를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제도이다. 이집트 세관당국의 의도는 이집트의 항구에서 상품의 통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나 통관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 ACID 계정 생성에 2주 이상 소요, PO상 물량과 실제 통관 시 물량 불일치로 인한 통관 애로, ACID를 매 선적 건마다 발급해야하는 등의 애로 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해상운송에만 공식 적용되고 있으며 2022년 10월 1일자로 도입 예정이었던 항공운송 ACI 제도는 경제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시범운영을 시행함으로써 공식 도입일자를 늦추기로 했다.

 

(3) 일부 수입 제품에 GOEIC(수출입청) 공장등록제 적용 

 

GOEIC 등록제도는 이집트가 국민 보건과 안전을 위해 수출국에 소재하는 제조공장의 정보를 이집트 수출입청에 등록해야 하는 제도이며 현재 기준으로는 총 31개의 제품에 대한 공장등록제가 시행되고 있다. 적용 품목이 주로 소비재로 파악되고 있다. 공장등록제를 위해 준비해야하는 구비 서류가 많고 이에 대한 번역이나 공증 등 여러 비용이 발생하고 절차도 까다로워서 하나의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년 등록해야하는 제품건수가 증가추세에 있는 상황이나 당분간은 우리 업계가 현재 공장등록제로 인해 입고 있는 피해는 없음을 KOTRA 카이로 무역관이 3월 22일 GOEIC 관계자를 직접 만나 확인했다. 

 

이집트 비즈니스 여건 전망 및 시사점

 

2023년 한 해에 환율 상승으로 같은 제품에 지출해야 하는 이집트 파운드 금액 규모가 증가했다. 외환 송금 문제에 따른 제반 문제로 바이어가 해외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구매오더를 일시 중단하거나 오더 물량 감축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지 납품 애로 상황 또한 당분간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진출 기업의 경우 자국에서의 제품 조달 뿐만 아니라 현지 납품 과정에서도 단가문제로 이집트 현지 업체와의 거래 감소 등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현재 대이집트 수출 기업 사이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외환송금통제 상황도 예의주시해야할 여건으로 보여진다. 경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정부의 외환 정책에 따라 외환송금통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수입통관애로 지속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비즈니스 기회는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달러 대이집트 파운드 가치 하락에 따라 대외 수출, 관세협정을 맺은 국가 중 현지화 가치가 대체적으로 유지되거나 상승한 국가로의 수출에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테면 섬유봉제업 같은 경우 미국에 바이어가 있으면 대미면세구역 진출을 통해 현지의 풍부한 노동력을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투입해 관세혜택을 볼 수도 있다. 이집트 정부는 수출확대 지원을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수출 자동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집트 주요 관세협정>

AfCFTA, GATT, GATS, EU-이집트 FTA, EFTA, 터키-이집트 FTA, 大아랍자유무역협정, Agadir FTA(이집트, 모로코, 튀니지, 요르단), 이집트-지중해 유럽 파트너십협약, COMESA, PAFTA, 이집트-MERCORSUR FTA 등

 

이집트 정부에서는 내수 기반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교통, 항만, 환경, 에너지인프라 개선을 위한 각종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있다. 이집트 정부가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희망하고 있음에 따라 KOTRA 카이로 무역관은 이집트 정부가 발주하는 주요 프로젝트를 발굴해서 프로젝트 기회를 우리 기업에 안내하고 있다.

 

2022년 10월 이집트 정부는 수입대체 산업 육성을 위해 ‘이집트 산업 발전 국가 이니셔티브를 발표하여 수입대체 산업 육성을 위해 향후 4년간 2000억 이집트 파운드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제조업 등 이집트 수입대체 산업으로의 투자진출을 통해 내수 판로 및 역내 시장 개척을 모색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KOTRA 카이로 무역관이 면담한 아랍산업화기구(AOI) 및 이집트방산물자청(MOMP)에 따르면 이집트 정부가 한국 기업과 원자재 소싱 및 투자진출협력을 희망하고 있다.

 

<참고: 이집트 정부의 한국 기업 협력 희망 산업분야>

[자료: 아랍산업화기구(AOI), 이집트방산물자청(MOMP) 방문 미팅결과(2023.2.14~15)]


 

자료: See, Ahram, Al-Monitor 등 언론사, 이집트 통계청, 이집트중앙은행, 아랍산업화기구(AOI), 이집트방산물자청(MOMP), GOEIC, 주 이집트 대한민국대사관, GTA, 한국 무역협회 통계,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IMF, 바이어 인터뷰 등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최근 경제 동향과 주요 현안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