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제조업계의 핫이슈, 스마트제조시장 진출 유망분야 ②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3-04-27
  • 출처 : KOTRA

센서, 산업용 로봇, 수치제어 공작기계분야 성장 유망

원스톱 솔루션 공급 추세를 활용해 수입산이 경쟁력 있는 제품 및 부품 타깃팅하며 공략 필요

중국 스마트 제조산업


중국 제조업은 생산능력은 높지만 구조적 과잉 문제와 자동화 개조 수요가 상존한다. 중국 스마트 제조산업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자동화 생산라인·스마트 팩토리는 주로 감지단계에 필요한 센서, 인터넷 단계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행 단계의 로봇, 수치제어 공작기계, 3D 프린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외 RFID, 빅데이터, AI칩, 산업용 소프트웨어 등 관련 품목도 스마트제조의 주요 구성 분야이다. 


<스마트제조 산업체인>

[자료观知海内咨询(www.dongfangqb.com)] 


현지 데이터 및 전망에 따르면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산업용 로봇, 수치제어 공작기계, 센서, 산업용 소프트웨어 등 분야의 성장 잠재력이 큰 편이다. 


<중국 스마트제조 세부산업별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억 위안)

[자료: 챈짠(前瞻) 산업연구원]

 

이 중에서 우리기업의 진출이 유망한 분야는 센서, 산업용 로봇, 수치제어 공작기계 등이다. 


1) 센서 - 중고가 센서의 수입 의존도 80% 이상 


중국 센서시장 규모는 연평균 복합성장률 14.1%를 기록하며 2017년 1691억 위안에서 2020년 2510억 위안, 2023년 3800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7~2023년 중국 센서 시장규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b1c055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2pixel, 세로 425pixel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중국의 대표적인 센서 생산기업은 거얼(歌尔股份)항공우주전자(航天电子), 웨이얼타이(威尔泰), 쑤저우구더(苏州固锝), 웨이얼(韦尔股份), 한웨이테크(汉威科技), 중항덴처(中航电测), 화공테크(华工科技등이 있다. 중국 센서 국산화 비중이 2017년 24.4%에서 2021년 31.4%로 제고됐으나 현지 생산 센서는 대부분 중저가 제품으로 중고급 센서의 수입 의존도가 80%에 달한다. 주로 에머슨(爱默生), 지멘스(西门子), 보쉬(博世), 意法半导体허니웰(霍尼韦尔등 글로벌 기업이 중국 센서 수입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일본 제품도 점유율이 2017년 37.5%에서 2021년 33.5%로 다소 감소했으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17~2021년 중국 센서 시장점유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b1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421pixel

[자료: MIR, 화징(华经) 산업연구원]


현재 글로벌 시장에는 2만여 가지 종류의 센서 제품이 있지만 중국은 6000여 개에 불과해 현지 시장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중국은 중고급 센서의 수입 의존도는 80%센서 칩의 의존도는 90%에 달한다. 특히 디지털화스마트화소형화된 첨단제품이 심각하게 부족하며 주요 장비에 필요한 고사양 제품은 주로 수입에 의존한다


2) 클라우드 컴퓨팅 -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해외기업 진입 애로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은 2020년 56.7%로 폭발적으로 성장해 시장 규모가 2091억 위안으로 확대됐으며 최근 5년 간 지속적으로 30% 이상 성장하며 2022년 시장 규모가 4000억 위안을 초과했다. 2017년 692억 위안에서 5년 만에 6배 이상 성장한 수치이다. 

 

<2016-2022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규모 및 증감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d1f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5pixel, 세로 397pixel

[자료: 중국 통신원(www.caict.ac.cn), 챈짠(前瞻) 산업연구원]


2021년 중국 클라우드 시장의 5대 브랜드는 알리 클라우드(阿里云), 텐센트 클라우드(腾讯云), 화웨이 클라우드(华为云), 티엔윙 클라우드(天翼云), 모바일 클라우드(移动云)이며, 시장점유율은 각각 39%, 11%, 10.7%, 9%, 7.5% 순으로 알리가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브랜드별 중국 클라우드 시장점유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d1f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8pixel, 세로 496pixel

[자료: 중국 통신원(www.caict.ac.cn), 챈짠(前瞻) 산업연구원]


최근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점차 성숙해지고 중국 클라우드 수요가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에서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전환되면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이 인터넷에서 산업 제조 분야로 침투하고 있다.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빠른 성장과 더불어 기업의 유입이 활발하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중국은 아직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칩 관련 기술이 취약하지만 인터넷, 정부, 금융 등 다운스트림 수요가 왕성하고 데이터 및 보안 관련 분야에 해외기업에 진입장벽이 있어 중국 기업들의 진입과 경쟁을 통해 시장 확대 규범화  산업 경쟁력 강화의 과정을 거쳐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3) 산업용 로봇 - 중고가 로봇 수입이 빠르게 증가 중이며 일본 점유율 높아  


중국은 세계 최대의 산업용 로봇 소비 국가로 기 사이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450억 위안으로 확대됐으며, 2023년 500억 위안 돌파가 예상된다

 

<2016~2023년 중국 산업용 로봇 판매액 및 증감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d1f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6pixel, 세로 474pixel

[자료: 화징(华经) 산업 연구원(www.huaon.com)]

 

2021년은 생산량은 2020년 대비 44.9% 증가한 366000세트, 2022443100세트로 최초로 40만 세트를 초과하면서 글로벌 1위를 지키고 있다. 중국 산업용 로봇 판매량은 2.1% 감소한 2019년 외에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 전년 동기 대비 53.9% 증가한 261300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2022년은 30만 대로 전년대비 15.9%로 증가하며 증가율 자체는 다소 감소했으나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를 거쳐 2023년 판매량은 365000대로 예상된다

 

<2017~2022년 산업용 로봇 생산 및 판매량>

(단위만 세트,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b8c06a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26pixel, 세로 470pixel

[자료국가통계국GGII, 中商产业研究院(www.chnci.com)]

 

2022년 상반기 중국 시장 산업용 로봇 출하량 상위 20개 중 다수가 외자기업(12개)으로 중국 기업은 8개이다. 특히 10권 내 중국 기업은 ESTUN(埃斯顿)과 INOVANCE(汇川) 등 2개 사에 불과하다. 

 

<2022년 상반기 중국 산업용 로봇 출하량 TOP 20>

순위

기업명

국가

분야

1

FANUC

일본

세계 최대의 전문 수치 제어시스템 제조기업이며 글로벌 시장점유율 70%

2

Yaskawa Electric

일본

일본 최초의 서보모터 제조기업으로 고출력 일반 모터서보 모터인버터 등 제품 생산

3

Epson

일본

디지털 영상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 

4

KUKA

독일

세계 최고의 산업용 로봇 제조기업이며생산설비에 첨단 자동화 솔루션 제공 

5

ESTUN(埃斯顿)

중국

중국 첨단 자동화 핵심부품 및 모션제어시스템산업로봇 및 스마트제조시스템과 서비스 제공기업 

6

ABB

스위스

전력 및 자동화기술분야의 선두기업, 전력공공사업 및 산업 고객의 효율성 제고친환경 솔루션 제공 

7

INOVANCE(汇川)

중국

중고급 스마트 제조설비의 연구개발생산판매기업 

8

YAMAHA

일본

산업용 로봇 전문생산기업 

9

Kawasaki

일본

주로 항공우주철도차량건설중기전기자전거선박기계장비 등 제조

10

NACHI

일본

글로벌 시장에 대량의 스폿 용접 로봇 납품, 운반분야 등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제조에 기여 

11

MITSUBISHI ELECTRIC

일본

세계 전력설비통신설비산업 자동화전자부품가전 등 분야 선두기업

12

EFORT

중국

산업용 로봇 설계, 연구 개발, 제조 및 시스템 응용 개발, 자동화 장비 설계 및 구현 분야, 특히 자동차 용접 공정 장비, 자동화 이송장비, 도장 공정장비, 로봇 통합 응용 등 분야 솔루션 제공 

13

STEP

중국

글로벌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분야 선두기업으로, 스마트 구동제어산업분야 핵심 제품과 종합 솔루션 제공

14

STAUBLI

스위스

산업용 커넥터산업용 로봇섬유기계 등 3대 분야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전문 공급기업

15

Delta

중국

전원관리 및 방열 관리 솔루션 분야 세계 1위 기업 

16

JAKA

중국

상하이 기업으로 차세대 협동 로봇 본체, 스마트 공장 혁신 및 연구 개발 중점

17

CROBOTR

중국

2012년 설립, 산업로봇 핵심부품(제어시스템서보시스템스마트센서 등및 산업로봇협동로봇 전 기계를 연구개발생산판매 기업

18

AUBO

중국

2015년 설립, 자율적이고 제어 가능한 협동로봇 연구개발 주력

19

Panasonic

일본

용접로봇 원스톱 서비스 제공 

20

ROKAE

중국

경량로봇 전문기업으로경공업 로봇플렉시블 협동로봇 및 스마트제조 기술의 연구개발/혁신에 투자 

[자료MIR DATABANK, 중상산업 연구원,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중국은 최근 몇 년간 산업용 로봇 수출량 변화가 큰 편이다. 수출량은 2018년 6만 대에서 2021년 55000대로 감소했으나 2022년 1~11월에는 147000대(수출액은 380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수입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며 2022년 1~11월 수입량은 97000대(수입액 12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중국에서 산업용 로봇 산업 발전을 적극 지원하며 중국 브랜드 기업이 성장했으며생산량도 크게 증가했으나 아직 기술 수준 차이로 중저가 로봇 생산 위주이고 고사양 산업용 로봇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18~2022(1~11) 중국 산업용 로봇 수출입 동향>

(단위: 만 대, US$ 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b01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41pixel, 세로 430pixel

[자료중국해관즈얜(智研)컨설팅]

 

수입액 기준으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최대 수입국가는 일본이다. 2022년 1~11월 중국의 대일본 수입액은 954277000달러로 전체의 77%, 대독일은 74797000달러로 6%, 대한 수입액은 1872만 달러로 2%를 차지한다. 

 

<2022년 산업용 로봇 주요 수입국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b01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9pixel, 세로 586pixel

[자료중국해관즈얜(智研)컨설팅]

 

최근 중국 쌍탄소개발 전략으로 교통, 건설, 에너지 등을 포함한 고에너지 소비 및 고배출 산업에서 에너지 절약 혁신을 추진하면서 관련 생산설비의 산업용 로봇 시장수요 및 설치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지속적인 제조업 전환과 업그레이드 추진으로 향후 3C 집적회로신에너지물류창고스마트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응용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산업용 로봇의 수요 다변화와 시장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4) 수치제어 공작기계 - 응용산업 확대로 수입의존도 높은 중고급 제품 및 부품의 수요 증가 


최근 중국 정책의 호재와 기업 혁신으로 중국 수치제어 공작기계 산업은 2020년 이후 성장세를 회복 중이다중국 CNC 공작기계 산업 규모는 20193270억 위안에서 2020년 코로나19 및 에너지 공급 제한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4.4% 감소한 2473억 위안으로 축소되었으나 2023년에는 3190억 위안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2023년 중국 수치제어 공작기계 시장규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b1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5pixel, 세로 400pixel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중국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표 기업은 촹스지(创世纪), 친촨 공작기계(秦川机床), 하이톈정공(海天精工)등이며 시장 점유율은 각각 23.8%, 13.5%, 12.6%이다


<2021년 중국 수치제어 공작기계 시장점유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b1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7pixel, 세로 502pixel 

[자료: 화징(华经)산업연구원(www.huaon.com)]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수치제어 공작기계 수입량은 대부분 만 대 이상을 유지했으나 2020년 9988대로 사상 최저를 기록하며 수입액도 237400만 달러로 떨어졌다. 2021년 수입량은 전년대비 37.1% 증가한 1만3694대(수입액 267700만 달러), 20225월 누적 수입량은 3975대(수입액 8400만 달러)이다. 중국 수치제어 공작기계 수출량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한 5만8231대(수출액 111700만 달러), 20225월 누적 수출량 1만1664대(수출액 29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의 수출량이 수입량보다 많으나 수출단가는 260만 달러, 수입단가는 2020만 달러로 수입단가가 약 8배 높다. 

 

<2017~2022(1~5) 수치제어 공작기계 수출입 동향>

(단위: , 억 달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b01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7pixel, 세로 446pixel

[자료: 중국해관, 즈얜(智研)컨설팅]


중국의 수치제어 공작기계 수입은 일본, 독일, 대만에 집중돼 있으며 3개국의 수입액은 전체 금액의 50% 이상으로 각각 28.8%, 15.2%, 8.7%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중국 수치제어 공작기계 수입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b01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4pixel, 세로 443pixel

[자료: 중국해관, 즈얜(智研)컨설팅]

 

중국 현재 공작기계 기술이 현지 수요 대비 낮은 수준으로, 고가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대해 운영 및 유지 인원에 대한 기술적인 요구가 높다. 특히 중고급 사양의 핵심부품은 수입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스마트제조의 확산으로 공작기계의 다운스트림 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공작기계 가공의 정확도, 효율성 및 안정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아지고 중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5) 3D 프린터 - 응용산업이 확대되나 중국 경쟁력이 높은 시장 


최근 항공우주의료자동차금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양산을 위해 적층제조 장비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3D 프린터는 전통적인 제조와 융합돼 제품 생산주기 단축생산 비용절감생산 효율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2021년 중국 3D 프린팅 산업 규모는 2165000만 위안을 기록했으며적용 규모 확대와 새로운 응용분야의 지속적인 개발로 2023년에는 4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2023년 중국 3D프린팅 시장 규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b1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6pixel, 세로 415pixel

[자료中商产业研究院(www.chnci.com)]


현재 중국 시장의 3D 장비 브랜드는 Lentai(联泰), 3D Systems, EOS, Hua Xui(华曙), Purblett(铂力特), GE, Stratasys, HP 등이 있으며 선두 3개사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16.4%, 14.8%, 13.1%이다. 

 

<중국 3D 프린팅 설비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51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49pixel, 세로 493pixel

[자료中商产业研究院(www.chnci.com)]


중국의 3D 프린터 수입량은 2021 전년대비 39.8% 감소한 7400대(수출액 58417만 달러)수출량은 전년 대비 13.3% 증가한 2877800대(수입액 3802만 달러)이다. 3D 프린터는 중국이 가격경쟁력을 보유한 분야로 수입 수요가 낮은 편이다.  


3D 프린팅은 제조산업의 폐기물 및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제조 공정 효율화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해 향후 항공우주, 자동차, 항해, 의료기기 등 분야에서 금속 3D 프린팅에 대한 수요와 응용 분야가 빠르게 확대될 것이다. 이렇게 응용산업이 다양해지면서 3D 프린터의 요구사항이 고도화되는 분야도 성장할 것이다. 


전망 및 시사점 


최근 중국은 스마트제조 확산을 통해 선진 제조기술정보기술 및 스마트 기술의 통합 응용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으며 ESTUN(埃斯顿)과 INOVANCE(汇川) 등과 같은 대표 기업들이 서보 모터감속기컨트롤러 등 핵심 부품 생산을 시작했다. 그러나 중국은 제조업 전반에 스마트제조 보급을 추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고도화된 수요가 지속 발생할 것이다. 단, 공장 건설·개조 수준의 대형 프로젝트에 외자기업이 직접 참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최근 관련 제품, 기술, 시스템을 통합한 원스톱 솔루션 공급 추세를 활용해 중국 기업이 솔루션 전반 공급 시 소싱을 필요로 하고 수입산 경쟁력 있는 분야의 제품 및 품목을 타깃팅해 공략할 필요가 있다. 


현지 전자식 산업자동화 솔루션 기업 A사는 KOTRA 상하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고객사의 요청으로 전자식뿐만 아니라 기계식 산업자동화를 함께 원스톱으로 납품하는 추세이며 이를 위해 국내외 기계식 솔루션 구매 수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현지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위해 중국 현지 제품보다 해외 제품 도입에 관심이 있으며, 솔루션 분야별 필요한 세부 부품, 서비스가 확대될 것이라 언급했다. 


우리 기업들은 최근 스마트제조 산업의 현지 발전 추세, 경쟁력, 도입 수요 등을 면밀히 분석해 협업 가능한 분야를 타깃팅하고 현지 시장 진출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자료: 观知海内咨询(www.dongfangqb.com), 첸잔(前瞻) 산업연구원, 중상산업연구원, MIR, 화징(华经) 산업연구원, 중국 통신원(www.caict.ac.cn), 국가통계국, GGII, MIR DATABANK,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제조업계의 핫이슈, 스마트제조시장 진출 유망분야 ②)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