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의 신규 국가물류정책과 전망
  • 경제·무역
  • 인도
  • 암다바드무역관 이승기
  • 2022-11-22
  • 출처 : KOTRA

5조 달러 경제 구현을 위한 물류정책 개선안 발표

디지털 시스템을 통한 통합, 통일된 물류 플랫폼, 물류 편의성 증대 등

2025년 5조 달러 경제로 도약


국가물류시스템은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한다. 인도는 코로나19 위기 때 백신, 산소 실린더 등과 같은 중요 의약품이 품질을 유지하면서(온도 유지 등), 빠르고, 안전하게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되는 것의 중요성을 절감했다. 2022년 9월 17일 인도 모디 총리는 2025년까지 5조 달러 경제로 성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새로운 국가물류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물류 과정을 재편하고 디지털화를 통해 장애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복합수송(Multi Modal)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기본 골자로 한다. 현재 세계 5위 수준의 경제규모를 더욱 키우겠다는 것이다. 모디 총리는 현재 물류비가 GDP의 13~1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를 한 자리 숫자로 낮추어야 한다고 했다. 모디 총리의 Make In India 정책 이후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제품 생산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이 정책은 원래 2019년에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지연됐으며 2022년 2월 재정부 장관이 물류정책 예산 확정을 발표하면서 구체화됐다.

 

인도의 물류시장의 이해


2021년 인도의 물류시장 규모는 2500억 달러로 알려져 있으며 2025년까지 3800억 달러까지 연평균 10~12% 성장할 것으로 인도 경제백서(Economic Survey)는 예측했다. 또한 물류산업 종사자는 2200만 명이며 향후 5년간 매년 10.58%가량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인도의 Make In India 정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및 중소기업들이 확대되는 것에 기인한다.

 

물류는 원자재에서부터 공급업체, 제조업체, 창고 보관, 운송 수단, 공급망 및 수출정책, 항구 및 공항 등을 통해 최종소비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복잡한 시스템이며 어느 한 곳에서 지연이 일어날 경우 전체 시스템이 영향을 받는다. 물류의 중요성은 모두 인지하고 있으나 인도는 몇 가지 넘어야 할 부분들이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의 최신 자료인 2018년 물류지표에서 인도는 44위로 중국의 26위보다 못 미치는 수준을 기록했다. 주요 이유로 복잡한 인도의 물류체계를 꼽는다.

 

물류 관련 20개가 넘는 정부 기관, 40개 정부협력 기관, 37개 수출 관계 협의체가 있고, 500개가 넘는 인증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인도 물류체계는 분산돼 있으며 연결돼 있지 않다. 산업자료에 따르면 물류업체의 85%가 20대 미만의 트럭을 보유하고 있으며 창고 인프라는 거의 없고 콜드체인 같은 시설은 미미한 편이다. 인도 창고(Warehouse)의 90%가 1만ft² 미만이다. 창고시설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이익률이 높은 제품 위주로 창고가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사태처럼 신규 제품이나 중요 제품의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정부가 대부분의 대형창고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곡물·식품 및 공공목적(PDS, Public Distribution System)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곡물의 16%가 보관과정에서 버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전체 면적은 329만km²으로 세계에서 7번째로 크며 한국의 32배 규모이다. 2021년 자료에 따르면 인도의 제일 저렴한 물류수단은 철도로 톤당 1.6루피(0.02달러)다. 내륙수로의 경우 2.2루피/톤(0.03달러/톤), 도로수송은 3.5루피/톤(0.04달러/톤)이다. 그러나 도로수송이 전체 물류의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25%가량이 철도이다. 그러나 대부분 다른 나라를 보면 60% 이상이 철도로 운송되고 20~25%가량이 도로로 수송된다. 이유는 인도 내 철도가 충분하지 않고 철도 사용 효율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승객 운송을 우선순위로 하고 있고 이런 이유로 철도의 평균 이동 속도는 시속 25km다. 내륙 해상 수송도 있으나 사용하기 위한 서류절차가 복잡하고 승인과정도 길어 화물 운송용으로 활용이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고비용에도 불구 도로수송으로 몰리고 있다. 그러나 이는 환경적 측면에서도 좋지 않으며 차가 막히는 등 여러 부작용이 있다.

 

결과적으로 인도 내 물류비용은 GDP의 14%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BRIC 국가의 경우 11% 수준이며 대한민국, 싱가포르 등은 8% 수준이다.

 

인도의 신규 국가물류정책(National Logistic Policy) 기조


인도의 9.17 국가물류정책 발표는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디지털 시스템을 통한 통합(Integration of digital system, IDS): 도로, 철도, 관세, 항공, 무역기관 등 7개 부처에 걸쳐 나눠진 30개의 이종 시스템을 통합시키고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조치

2) 통일된 물류 플랫폼(Unified logistics interface platform, ULIP): 통합 포털 개발을 통해 물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물류 이동, 거리 및 시간 활용 효율성 극대화하는 동시에 실시간 추적 가능하도록 조치

3) 물류 편의성 증대(Ease of Logistics, ELOG): 물류관련 제도 및 법규 단순화 예정이며 물류관련 협회와 협력하여 산업계 의견 최대한 존중

4) 시스템 개선 기관(System Improvement Group, SIG): 물류 정책의 효과적인 도입을 위해 별도 기구 설치, 개선과정에서 나올 각종 애로 사항 해결을 위한 조직 정비

 

시사점


인도 정부는 물류 개선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물류 상위 25개 국가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및 외국기업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이미 35개의 복합수송 물류허브(40개 공항 포함) 운영을 통해 수출을 늘리고 있으며 고속도로 확충 및 화물전용 도로 등을 시행 중이며, 패스트택(Fastag, 우리나라 하이패스), GST 및 종이없는 수출입 전자문서 시스템(E-Sanchit)을 운영하고 있다.

 

Vyoma Logistic사의 CEO 카란 판디아 씨 인터뷰에 따르면, 신규 물류 정책은 외국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Vyoma사 주요 일본 고객들은 초반에 서류작업 때문에 애로 사항이 있었으나 현재는 원활하게 물류 수송이 되고 있다고 한다. 외국기업의 사업환경이 좋아지고 있다.

 

또한 오디샤 인도 상공회의소 (FICCI, Federation of Indian Chambers of Commerce and Industry) 산지브 모한티 대표는 해당 물류 정책이 인도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평가했다. 디지털화는 대세이고 젊은 기업인 요구에 부응하는 최고의 툴이며 이제 인도 내 모든 산업분야가 도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도는 물류 개선정책 도입을 위해 직간접적으로 여러 국가와 협력할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물류비용은 8% 수준으로 인도 정책의 벤치마킹 대상이다. 또한 인도는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위해 지속적인 정책들을 도입하고 있다. 물류는 한나라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부분인 만큼 충분한 시간이 들 것이지만 점차 개선될 것이며 초기시장을 살펴보는 지혜도 필요할 것이다.

 


자료: Department for promotion of Industry and internal Trad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Government of India, Economics times 및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의 신규 국가물류정책과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