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폴리프로필렌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정저우무역관
  • 2022-08-11
  • 출처 : KOTRA

폴리프로필렌 주요 생산지역, 동북아에 집중

동시 다발적인 사업 환경 변화, 가격 불안정세 지속

상품명 및 HS코드

390210: Polypropylene.

 

중국 시장규모 및 동향

 

2022년 상반기 중국의 폴리프로필렌 시장은 3월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하락세를 드러내며 지속적으로 약세를 유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국제 원유가격이 급등하여 폴리프로필렌 원가가 강세를 보이면서 1분기에 중국 시장의 가격도 한때 상승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으로 주요 교역지역인 화동[华东, 중국 중동부 장쑤(江蘇) · 저장(浙江) · 안후이(安徽) 3성과 상하이(上海)를 포함하는 지역] 시장의 교역이 침체되면서 시장 수요가 대폭 감소하며 가격 추세또한 약세로 전환됐다. 다만, 5월에 국제 원유가격이 다시 상승하고, 중국 코로나19 재확산 국면이 안정세에 접어듬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가격이 재차 소폭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다.

 

<20221-7월 중국 폴리프로필렌 톤당 가격 통계>

(단위: 달러)

[자료: BAIINFO.COM]

 

폴리프로필렌 제품은 파우더와 펠릿 두 가지 있는데 파우더의 유통기한은 보통 6개월, 펠릿은 2년인 관계로 후자의 응용 분야가 더 넓고 수입량도 많다. 폴리프로필렌의 소비시장은 포장재, 자동차, 가전 등 분야 위주로 구성되며 주요 응용 분야는 직물, 사출품, BOPP 필름 등에 집중된다. 20226월 기준, 중국 폴리프로필렌 펠릿의 소비량은 이미 작년 전체 소비량의 50%를 초과했으며 연간 기준으로는 3,000만 톤 이상 초과할 전망이다.

 

<2017-20226월 중국 폴리프로필렌 펠릿 소비량.생산량 추이>

(단위: 만 톤)

[자료: BAIINFO.COM]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2021년 중국 폴리프로필렌 교역규모는 5,931백만불에 달했으며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 및 지역은 한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연합 등이 있으며, 2021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對中 수출)이 10억84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2.9% 증가, 전체 수입의 27%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 교역 규모 통계(HS Code: 390210기준)>

(단위: 백만 달러)

[자료: 중국세관총서]

 

<최근 5년간 對韓 교역통계>

(단위: 백만 달러)

[자료: KITA]

 

<2021년 주요 수입국 및 지역 통계(HS Code: 390210기준)>

(단위: 백만 달러)

[자료: KITA]

 

경쟁동향

 

중국산업경제정보 조사연구 기구인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폴리프로필렌 공급망은 동북아시아 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2020년 생산능력은 4,152만5천톤으로 45.3%를 차지한다. 이에 반해, 2위인 서유럽의 생산능력은 10.5% 정도이며, 이 중 한국과 일본은 중국 폴리프로필렌의 주요 수출 국가로 손꼽히고 있다.

 

<2020년 전세계 폴리프로필렌 생산량 지역별 차지비중 통계>

[자료: 화징산업연구원]


다만 중국의 폴리프로필렌의 대외의존도는 비교적 낮고, 최근 중국 국내 생산능력의 안정적 성장에 따라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중국의 폴리프로필렌 대외의존도는 201321.8%에서 202110.4%로 낮아져 수입대체 여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한 것으로 추측되며 중국 국내 기업의 경쟁 현황을 따져보면 국영기업(国营企业)이 절반 이상의 시장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중국 폴리프로필렌 기업이 경쟁 구도 추이>

[자료: 화징산업연구원]

 

유통구조

 

주로 완제품 생산을 위한 부품 용도로 대부분 사용되는 만큼 폴리프로필렌은 주로 가전, 생활용품, 장난감, 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에서 판매 및 유통되고 있다. 중국 원자재 시장 조사업체 바이인포(BAIINFO, 百川盈孚)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의 소비구조는 39% 정도 사출제품 (Injection Product)에 집중된다. 그리고 중국내 폴리프로필렌의 주요 생산지역은 서북·동북·화동·화남·화북에 집중되어 있으며, 판매 법인 등 주요 대리상은 주로 화동·화북 및 화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중국 폴리프로필렌 주요 소비구조 통계>

[자료: BAIINFO.COM]

 

관세율 및 인증

 

중국세관총서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의 HS Code3902100010/0020/0090이며, 일반관세율 45%, 최혜국 6.5%의 세율이 적용된다. 중국 세관 통관시,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등 증명서류를 사전에 준비해야 하며, 사이즈 불일치, 색상 불균일, 기타 악취 등의 원인으로 중국 현지 통관시 고체 폐기물로 처리된 사례가 있어, 해당 품목의 생산 및 품질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시사점

 

허난성공상업연합회(河南省工商业联合会) 시장연구원은 KOTRA 정저우무역관의 인터뷰에서 하반기의 중국 폴리프로필렌 시장을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2022년 하반기에는 중국 폴리프로필렌 시장이 하락 상승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다. 특히 중국 내수진작정책으로 인한 9-10월의 성수기와 11-12월에 이커머스(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성장세를 감안시, 소비재 분야의 수요가 반등할 가능성 있으며,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가전, 자동차 등의 소비쿠폰 배포 등 소비 자극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의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 또한 상존한다. 가격 저점은 7, 8월에 예상되며 톤당 CNY8,000 이하로 떨어질 수 있고, 고점은 11, 12월에 나타나며 톤당 CNY9,40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코로나19가 지속적으로 일상생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면 의료방역 용품의 수요 또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몇 년간은 중국 폴리프로필렌의 수요는 증가 가능성이 커 보인다.”라고 밝혔다

 

 

자료원: BAIINFO.COM, 중국세관총서, KITA, 화징산업연구원,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폴리프로필렌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