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김스낵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시카고무역관 정지혜
  • 2022-07-12
  • 출처 : KOTRA

미국 김스낵 시장 2026년까지 연평균 11.7% 성장 전망

한국이 대미 수입시장 1위에 랭크, 전체 시장의 35.8% 점유

상품명 및 HS Code

 

김스낵은 HS Code 1212.21식용의 해초류와 그 밖의 조류(Seaweeds and other algae, fit for human consumption)’로 분류된다.

 

시장동향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Grandviewresearch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의 김 시장규모는 약 6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2% 성장했다. 또한, 시장 강세로 향후 2028년까지 연평균 10.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대표적인 식물성 식품인 김은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만큼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 김 시장규모>

(단위: US$ 억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246473ac.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0pixel, 세로 350pixel

[자료: Grand View Research]

 

조사기관 Marketresearch.com에서 발표한 미국 김스낵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김스낵 시장은 2026년까지 연평균 11.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스낵 트렌드는 진화하고 있으며, 오늘날 소비자는 단순 건강 뿐만 아니라 맛, 모험, 냄새, 추가 건강 혜택을 추구하고 있다. Kerry Group2021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밀레니얼과 X세대는 새로운 맛 경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26~35세 중 80% 이상이 새로운 맛에 대한 모험을 즐긴다고 주장했다.

 

최근 김스낵은 짭짤한 맛뿐만 아니라, 매운맛, 달콤한 맛, 바비큐맛, 고추냉이맛, 양파맛 등 미국 소비자들이 주목할 만한 다양한 풍미와 바삭한 식감 등으로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수입동향

 

HS Code 121221 기준, 미국의 김류(식용 해초류) 수입액은 2021년 약 6314만 달러로 2019년부터 꾸준히 성장해 전년 대비 12.8% 증가했다. 전체 수입시장의 점유율 1위는 한국으로 최근 3년간 전체 수입시장의 26.8%, 32.6%, 35.8% 점유율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2021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23.6% 증가한 약 2260만 달러이다.

 

그 밖에도 중국(15.6%), 캐나다(9.3%), 필리핀(9.0%), 인도(8.2%), 일본(8.2%), 아이슬란드(4.0%)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은 2위로 전년대비 25.8% 증가했으나 일본은 12.2% 하락했다.

 

<2019-2021HS Code 121221 기준 미국 수입현황>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21 증감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

전체

53.87

55.97

63.14

100

100

100

12.8

1

한국

14.15

18.28

22.59

26.8

32.6

35.8

23.6

2

중국

9.66

7.84

9.86

17.9

14.0

15.6

25.8

3

캐나다

6.78

5.92

5.85

12.6

10.6

9.27

-1.2

4

필리핀

7.15

5.49

5.66

13.3

9.8

9.0

3.14

5

인도

4.07

2.84

5.21

7.6

5.1

8.2

83.4

6

일본

6.78

5.88

5.16

12.6

10.5

8.2

-12.2

7

아이슬란드

1.58

1.88

2.52

2.9

3.4

4.0

34.2

8

칠레

1.84

0.86

1.65

3.4

1.5

2.6

92.7

9

영국

0.73

1.83

1.19

1.4

3.3

1.9

34.8

10

베트남

0.25

1.18

0.99

0.5

2.1

1.6

15.9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미국 김스낵 시장 주요업체는 Annie Chun’s Inc., Daechun과 같은 한국에 본사를 둔 대기업부터 Kimnori USA, GimMe Snacks와 같은 미국 현지 한인기업, Pepsico, Inc., Kellogg Company와 같은 글로벌 기업 등이 다양한 경쟁구도를 이루고 있다또한, 최근 높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보유한 PB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김스낵 제품 역시 미국 글로벌 유통업체들의 PB상품 개발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 예로 AmazonPrime 멤버용 김스낵 제품 자체 브랜드인 Wickedly Prime을 판매하고 있다.

 

주요 유통채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뉘며, 오프라인의 경우 Costco, Walmart 등 대형 식료품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또한 Trader Joe’s, Whole Foods Market 등과 같은 친환경 식료품점, 아시안 마트, Fresh Farm International Market 등과 같은 다국적 제품을 주로 판매하는 식료품점에서도 판매된다.

 

온라인 유통채널은 Amazon을 비롯해 Walmart.com, Target.com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 보유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서도 유통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각 유통전문업체 혹은 제조사의 자체 웹사이트 등 다양한 기타 온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121221 제품군은 한-FTA 협정세율 대상으로 한국산 제품은 무관세가 적용된다.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제품 인증은 없으나 미국 시장 진입 시 식품의 생산과 그 안전성을 나타내기 위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또한, 최근 건강을 강조하는 제품이 증가하는 만큼 유기농이라는 문구를 패키징에 포함하기 위해서는 미국 농무부(USDA) 인증이 필요하다. 한국에서 이미 유기농 인증을 획득했을 경우 201471일부로 발효된 상호동등성협정에 따라 미국에서도 동일하게 인정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통관 시 필요한 원산지 증명서, 원자재 확인서, 미국 내 주별 규정 등을 확인 및 준비해야 하며 패키징 관련 세부 라벨링이 필수인 만큼 확인이 필요하다.

 

시사점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미국 스낵 시장도 변화되고 있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간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 중에서도 건강을 고려한 간식류가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다.

 

김스낵 시장은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산 김스낵에 대한 인지도 역시 꾸준히 높아지는 만큼 우리기업들의 시장진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개최되는 Sweet & Snack 전시회, Private Label 상품 전시회, Natural Product 엑스포 등 다양한 전시회에 참가하여 바이어 발굴 및 시장진출 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자료: Grand View Research, Marketresearch.com, Kerry Group, Global Trade Atlas,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김스낵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