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태 교역동향 및 전망
  • 경제·무역
  • 태국
  • 방콕무역관 박재원
  • 2022-03-18
  • 출처 : KOTRA

한-태 교역, 역대 최고치 달성

주요 수출품인 원자재 가격 상승과 생산•소비의 긍정적 기조가 경기 회복세 견인

2020년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한 태국 경제는, 2021년 전반적으로 양호한 경제 성적을 보이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회복에 한 발짝 다가섰다. 국가 개방으로 관광 산업 활기를 찾으려는 정부의 노력과 RCEP 발효에 따른 교역 확대를 필두로 2022년에는 3.5~4.5%의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2021년 12월부터 급격히 확산하고 있는 오미크론의 영향에도 이러한 성장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세는 가파른 회복을 보이는 교역성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12월 기준 태국 수입은 전년 대비 29.8%, 수출은 17.1%로 크게 성장하여, 총 교역액은 23.06% 늘어나 사상 최고치인 5,388억 달러를 기록했다. 태국의 최대 교역국은 차례대로 중국, 일본, 미국 순이다.


<2021년 태국 교역 규모>

(단위: US$ 백만, %)

[자료: 방콕포스트]



-태 무역 동향


한국과 태국의 교역은 본격적인 신남방정책 시행 시기인 2017년 부터 연간 10%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왔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19년부터 2020년 2년간 수출과 수입이 모두 급감하며 침체기를 보냈다. 증가세를 보이던 한국의 대태국 무역흑자 또한 교역량의 감소로 주춤하고 있다. 2021년 기준 한국은 태국의 13위 수출국이자 6위 수입국으로, 2020년 교역 규모 11위에서 2단계 상승, 9위로 처음 10위권 안에 진입하였다.


<대태국 수출입 증감률 추이>

(단위: %) 

주: 왼쪽부터 수출, 수입

[자료 : KOTRA 방콕무역관]



코로나19 확산세 안정에 대한 기대감, 글로벌 경제 회복,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내외 요인에 의해 수출과 수입이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2021년 양국의 교역액은 155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한-태 5개년 수출입 실적>

(단위: US$ 백만, %,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수출

금액

7,467

8,505

7,804

6,853

8,526

증감

15.2

13.9

-8.2

-12.2

29.7

수입

금액

5,205

5,582

5,318

5,197

7,007

증감

14.1

7.3

-4.7

-2.3

34.8

무역수지

2,262

2,923

2,486

1,656

1,519

교역액

금액

12,672

14,087

13,122

12,050

15,533

증감

14.7

11.2

-6.9

-8.2

28.90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2021 한국의 태국 15대 수출품목 동향


2021년 한국의 태국 주요 수출 품목은 철강 제품, 전자기기와 부분품, 플라스틱 제품, 유기 화학품 등으로 5대 주요 품목이 한국의 대태국 수출액 59.3% 비중을 차지한다. 전통적 주력 수출 품목인 철강 제품은 글로벌 경기회복과 원부자재 가격 인상에 따라 큰 성장세를 보였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전제품 수요 확대로 집적 회로 반도체 수출또한 큰 폭으로 증가, 전년 대비 40.2% 성장세를 기록했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제약과 의료 관련 제품이 주요 수출 품목의 자리를 지켜 제조업의 회복과 함께 건강 및 보건 등의 분야에도 큰 폭의 수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21 한국의 태국 15대 수출품목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2020년

2021년

코드

품목명

수출액

코드

품목명

수출액

증감률

1

6132

열연강판

459

8311

집적회로반도체

576

40.15

2

8311

집적회로반도체

411

2140

합성수지

555

50.00

3

2140

합성수지

370

6132

열연강판

534

16.34

4

6133

냉연강판

330

6133

냉연강판

520

57.58

5

6134

아연도강판

238

6134

아연도강판

280

17.65

6

2150

합성고무

153

2150

합성고무

259

69.28

7

1336

윤활유

147

1336

윤활유

255

73.47

8

2273

화장품

131

2190

기타석유화학제품

180

60.71

9

9190

기타인쇄물

130

2289

기타정밀화학원료

173

39.52

10

8343

인쇄회로

128

6221

동괴및스크랩

157

149.21

11

2289

기타정밀화학원료

124

2262

의약품

144

80.00

12

2190

기타석유화학제품

112

2273

화장품

136

3.82

13

7420

자동차부품

105

7420

자동차부품

133

26.67

14

0411

참치

105

7112

펌프

132

33.33

15

8313

개별소자반도체

102

8343

인쇄회로

130

1.56

[자료: 한국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



2021 한국의 태국 15대 수입 품목 동향


한국의 태국으로부터의 품목별 수입 현황을 보면, 집적 회로 반도체 수입이 2021년 약 5억8천만 달러로 가장 커 제1의 수입 품목으로 나타났다. 2021년 대태국 15대 수입 품목(MTI 4단위 기준)으로는 반도체, 타이어, 보조기억장치,  석유화학제품,  가정용 전자제품, 비철금속 제품 등이 있다. 이 중 수입 증가율이 두드러진 품목으로는 윤활유(184.3)%, 고철(105.2%), 파티클보드(86.5%), , 합성수지(78.4%) 가 있다.


<2021 한국의 태국 15대 수입품목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2020년

2021년

코드

품목명

수입액

코드

품목명

수입액

증감률

1

8311

집적회로반도체

411

8311

집적회로반도체

582

41.61

2

8132

보조기억장치

206

3203

타이어

270

45.95

3

3203

타이어

185

8132

보조기억장치

253

22.82

4

8138

전산기록매체

165

1336

윤활유

236

184.34

5

0332

천연고무

140

0316

파티클보드

222

86.55

6

0222

가금육류

139

0332

천연고무

219

56.43

7

8241

세탁기

127

8138

전산기록매체

208

26.06

8

0158

당류

120

2140

합성수지

182

78.43

9

0316

파티클보드

119

6184

고철

158

105.19

10

6211

알루미늄괴및스크랩

113

2190

기타석유화학제품

152

42.06

11

8313

개별소자반도체

112

8313

개별소자반도체

150

33.93

12

2190

기타석유화학제품

107

6211

알루미늄괴및스크랩

148

30.97

13

5151

문구

102

0158

당류

148

23.33

14

2140

합성수지

102

0222

가금육류

142

2.16

15

8343

인쇄회로

93

8241

세탁기

141

11.02

[자료: 한국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

 


태국의 주요 수입 품목 중 한국의 플라스틱 제품과 화학공업 생산품의 순위 및 수출액이 상승하여 각 3위 81억8천만 달러, 6위 24억8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귀금속의 수출액은 2019년 대비 2배 이상 감소한 10억8천만 달러에 그쳤고, 알루미늄 제품또한 감소 추세로 점유율 4%에서 2%대로 하락하였다. 


<한국의 태국 15대 수입품목 경쟁동향>

(단위: US$ 천만, %)

순위

품목명

HS

코드

수입액

대한국 수입

주요 경쟁국가

금액

순위

점유율

1

전기기기 및 부분품

85

52,871

2,281

7

4.31

중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2

광물성 연료

27

41,004

403

20

0.98

UAE, 사우디, 카타르, 호주, 인도네시아

3

기계류 및 부분품

84

29,965

792

8

2.65

중국, 일본, 미국, 독일, 인도

4

철강

72

15,236

1,782

3

11.70

일본, 중국, 오만, 대만, 인도

5

귀금속

71

12,552

108

17

0.86

스위스, 홍콩, 인도, 호주, 싱가포르

*19년(232) 대비 2배 이상 수출 급감

6

플라스틱 제품

39

10,753

818

3

7.61

중국, 일본, 미국, 말레이시아, 대만

*전년대비 순위 2단계 상승

7

차량

87

10,237

252

10

2.47

일본, 중국, 미국, 인도네시아, 독일, 베트남

8

철강제품

73

7,317

229

8

3.14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미국, 대만

9

구리와 그 제품

74

6,322

282

8

4.47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대만 호주

10

의료기기

90

6,315

134

8

2.13

일본, 중국, 미국, 독일, 말레이시아

11

화학공업 생산품

38

6,257

248

6

3.97

중국, 일본, 미국, 말레이시아

*19년, 20년 수출액에 3배 이상 증가

*전년대비 순위 5개단 상승

*점유율 2%대→3.97%

12

유기 화학품

29

5,629

335

5

5.96

중국, 싱가포르, 일본, 말레이시아, 사우디

13

알루미늄

76

5,107

150

9

2.94

중국, 말레이시아, 호주, 일본, UAE

*18년,19년도 점유율 4.82 / 4.27

*순위 2개단 하락

14

어패류

03

3,399

100

11

2.95

인도, 노르웨이, 중국, 대만, 베트남, 일본

15

고무 제품

40

3,308

394

3

11.92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미국

[자료: Global Trade Atlas (HS CODE 2자리 기준)]



전망 및 시사점


2021년 12월 기준 태국 전년 대비 수출은 24.9%, 수입은 29.7% 대폭 증가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20213분기 ASEAN의 전년동기 대비 수출 15.4%, 수입 27.0% 증가 폭을 상회하는 수치로, 코로나19로 큰 경제적 타격을 입은 태국이 주변국과 함께 빠른 속도로 회복 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이동 제한 가능성, 공급 차질 장기화, 미국의 긴축전환에 따른 금융 시장 불안, 인플레이션 확대,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 위험요인이 잔존하지만, 관광산업 부흥을 위한 위드 코로나 정책, 태국 산업생산의 빠른 회복세, 내수 소비 증가 등 대내적 요인으로 2022년에도 경제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대태국 수출입은 다양한 대내외 환경요인에도 2021년 상승세로 전환되어 2022년에도 그 기조가 유지될 전망으로, 태국 상무부와 태국국가경제사회위원회는 올해 태국 수출이 3~4%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지 진출 국내 기업 인터뷰에 따르면, 지난해 회복세로 전환된 산업생산에 힘입어 철강, 석유화학 제품 등 중간재의 수요가 급증,  2022년도에도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측된다고 전했다. 다만 급증하는 에너지 및 물류비용이 시장 여건에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태국 정부는 오미크론 확산에도 국가개방을 감행해 침체된 관광산업의 불씨를 살리고 있으며, BCG 경제모델과 타일랜드4.0 정책을 바탕으로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을 극복해 고소득 국가로의 도약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새로이 추진되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떠오르는 산업들을 확인하는 한편, 시장이 재편되는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관련 품목에 대한 시장 공략으로 수출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작성자: KOTRA 방콕 무역관 최용은, 박재원, Sarita Wongvijan

자료: 방콕포스트(Bangkok Post), 한국무역협회(KITA), Global Trade Atlas, KOTRA 방콕 무역관 자체 분석자료 및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태 교역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