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로봇 청소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1-09-17
  • 출처 : KOTRA

- 가사노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대표 가전제품으로 로봇 청소기 인기 급증 -

- 중국 가정 내 보급률 8%에 그쳐 시장 잠재력 높아 -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로봇 청소기

850811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의 로봇 청소기 시장은 2010년부터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왔지만 최근 중국에서 편리함을 위해 프리미엄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 트렌드인 ‘란런경제(懒人经济)*’가 등장하면서 로봇청소기 시장은 유망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중국 빅데이터 시장분석기관 AVC(奥维云网) 통계에 따르면 2020년 로봇 청소기의 시장규모는 94억 위안(한화 약 1조6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8% 증가하였다. 2021년 로봇 청소기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하여 그 규모가 108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 란런경제(懒人经济): 게으름뱅이 경제라는 뜻으로 ‘게으른 사람’들의 소비 경향에서 파생되는 경제효과를 뜻한다. 란런경제가 유행하면서 중국인들은 바쁜 일상으로 인해 가사노동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소비를 추구하고 끼니는 주로 배달 음식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란런경제에 발맞춰 로봇청소기, 토스트기와 같은 소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자료: AVC


코로나19와 같이 특수한 상황 외에도 중국 소비자들이 바쁜 현대생활로 인해 가사노동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로봇 청소기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제품의 기술과 성능 자체의 개선으로 인해 로봇 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향상되었고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로모니터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청소기 보급률은 17%이지만 중국 가정 내 보급률은 8%에 그쳐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은 여전히 성장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입 동향


HS Code 850811 기준, 중국의 2020년도 로봇청소기 제품 수입 규모는 41억5941만 위안(한화 약 7487억 원)으로 전년대비 3.6% 소폭 하락했다. 비록 2020년 수입액은 감소하였지만 중국의 로봇 청소기 수입액은 최근 5년간 연평균 77.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2020년 중국 로봇청소기의 대한국 수입액은 532만 위안(한화 약 9억6000만 원)으로 전년대비 6.9% 증가하였다. 대한국 수입액은 2017년에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18년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며 전체 수입국 중 11위에서 2020년에는 6위까지 올라섰다. 


최근 5개년 국가별 수입 동향(HS CODE 850811)

(단위: 만 위안,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수입 증감률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0년 기준

 

총계

88,339

216,692

271,339

431,415

415,940

- 3.6

1

말레이시아

76,966

207,402

254,976

411,240

393,952

- 4.2

2

베트남

126

56

414

899

7,444

727.6

3

독일

753

1,292

2,051

1,823

1,827

0.2

4

영국

77

277

1,142

3,662

1,585

-56.7

5

미국

1,963

1,695

4,312

2,347

946

-59.7

6

한국

2,376

694

284

498

532

6.9

7

루마니아

386

462

471

485

457

-5.8

8

인도

309

250

238

273

365

33.7

9

일본

250

375

999

857

358

-58.2

10

필리핀

-

-

16

186

313

68.4

자료: Connect, KOTRA 항저우 무역관 정리


경쟁 동향


중국 로봇 청소기 시장은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상위 5개 브랜드가 전체 시장을 독점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시장조사기관인 BR(百睿智库)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에코백스(科沃斯), 샤오미 등 5개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83%로 전년대비 7% 증가하여 로봇 청소기의 시장집중도가 한층 더 높아졌다. 그중 에코백스의 시장점유율은 40.9%로 1위에 등극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샤오미가 15.7%, 로보락(石头科技)이 11%의 비율로 각각 2,3위를 차지하였다. 4, 5위로는 나르왈(云鲸)이 10.7%, 메이디(美的)가 4.8%를 기록하였다. 그 외 기타 브랜드들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6.9%에 그쳐 200개 이상의 로봇 청소기 브랜드가 난립하여 각축을 벌이고 있다.


로봇 청소기 주요 제품 

연번

브랜드

국가

제품 사진

가격대

1

에코백스(科沃斯)

중국

    external_image

1,299-2,999

2

샤오미(小米)

중국

       external_image

499-1,799

3

로보락(石头科技)

중국

          external_image

2,899-4,399

4

나르왈(云鲸)

중국

       external_image

3,588-4129

5

메이디(美的)

중국

       external_image

999-2,899

6

iRobot

미국

      

external_image

1,999-4,999

7

Tomefon

독일

     external_image

1,099-3,699

8

파나소닉

일본

     external_image

1,299-4,759

9

LG

한국

      

external_image

3,999

10

하이얼(海尔)

중국

      external_image

789-1,399

자료: 타오바오, KOTRA 항저우 무역관 정리


유통 구조


로봇 청소기의 주요 유통채널으로는 온라인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로봇청소기 판매액 중 97.47%는 온라인에서 구매가 이루어진 만큼 중국 소비자들은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더불어, 주력 소비층인 90허우(90년대생)가 모바일에 익숙한 세대로 온라인 소비를 즐겨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온오프라인 가격차이도 온라인 채널의 강세에 기인한다. 중국의 시장조사연구기관인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의 통계에서 2020년 로봇 청소기의 오프라인 평균 구매가는 2,080.75위안인 반면, 온라인 평균 구매가는 1,678.75위안으로 온라인이 오프라인보다 402위안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내 광군절와 618과 같은 온라인 주요 세일 시즌에 제품을 구매하면 오프라인 매장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어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 판매량은 2017년 314만 대에서 2020년 460만 대까지 연평균 약 14.2% 성장하였다.


external_image

자료: 화경산업연구원


관세율 및 인증제도 


무역협정 등 관세 혜택이 없는 국가에 대한 중국 로봇 청소기의 기본세율은 130%이며 2021년 기준 최혜국세율은 10%에 달한다. 한중FTA에 따라 한국 제품은 중국 시장에 수출 시 3%의 관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로봇 청소기 관세율

일반세율

2021 MFN(최혜국세율)

2021 한중FTA

130%

10%

3%

자료: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


로봇 청소기 등 전자기기 제품은 중국의 강제인증제도인 CCC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 CCC는 중국 소비자의 안전보호 및 환경보호를 위해 실시하는 상품검사제도이다. 전기전자제품, 의료기기, 자동차 및 안전부속부품 등 제품이 중국 내에서 판매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CCC마크를 획득해야 한다. CCC 신청을 위한 서류로는 영/중문 CCC신청서, 영문 사업자등록증, 중문 제품설명서, 중문 주요 부품 목록, 부품 배치도, 공장 심사 조사서, 품질 매뉴얼, 생산설비 리스트 등이 있다.


CCC 인증 취득절차
external_image

자료: KOTRA 항저우 무역관 정리


시사점 및 전망


‘란런경제 + 인건비 증가 + 스마트홈 기기의 인기’ 이 세가지 요인이 맞물려 중국의 로봇 청소기 시장은 그 규모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한 90허우는 실제 소비 능력에 비해 더 큰 지출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꺼이 소비를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0년에 들어서서 온라인 배달의 시장 규모가 전년대비 15% 성장하고 이용자수가 4억6000만 명에 달한 만큼 중국에서는 편리한 생활을 위해 지출하는 소비성향이 점점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배달 서비스, 로봇 청소기, 스마트 전자기기 등 제품들의 성장이 더욱 가시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로봇 청소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차후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신규 브랜드의 진입으로 인해 로봇 청소기 시장은 경쟁이 과열되고 브랜드가 난립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제품의 차별점을 확보하려면 기술개발을 통해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로봇청소기의 주요 성능은 청소, 항속 시간, 네비게이션, 장애물 인지 및 회피 능력 네 가지이다. 대부분의 브랜드는 청소, 항속 시간, 네비게이션 세 가지 기술력까지 도달하여 이 부분으로는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힘들다. 이제 관건은 센서를 탑재하여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감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 제품은 고도화된 스캔 기능과 정밀한 AI 계산 기능을 선보여야 한다”고 제품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우리 기업도 중국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IoT 기술을 결합하고 정밀한 스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한 제품을 연구 개발하여 중국 로봇 청소기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자료: AVC, 유로모니터, Connect, BR, 타오바오, 화경산업연구원,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 첸잔산업연구원 등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로봇 청소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