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영유아용 식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1-09-15
  • 출처 : KOTRA

- 셋째아이 출산허용에 따른 영유아용품시장 지속 성장 -

- 영유아용 식기용품인 만큼 제일 중요한 구매기준은 안전’ -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영유아용 식기(플라스틱 소재 위주)

HS코드: 392410000(식탁용품과 주방용품)

 

시장 규모

 

MobData에 따르면 2014~2020년 중국의 영유아용품의 시장 규모는 1조6500만 위안 에서 4조900만 위안으로 증가하였다. 20215월 말 중국 정부의 셋째 아이 출산허용과 후속 지원정책 및 조치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젊은 층 부모의 소비 능력 진작으로 영유아 시장규모는 매년 12~17% 의 고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1년은 4.66조 위안, 2023년에는 6.2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4-2023년 영유아 시장규모 및 성장율

 (단위: 억 위안)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MobData, 高禾투자연구센터

 

품목별로 살펴보면 주로 식품, 의류, 일상용품, 내구용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 식품과 일회용품지출이 가장 크다. 소비자 수요의 개성화 및 다양화에 따라 향후 출시되는 제품이 더욱 세분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유아 제품 분류

분류

품목

구체내용

식품

분유

3살 미만 영유아 식용 분유

이유식

6개월 이상 영아 이유식(쌀가루, 채소/과일/육류/ 퓨레 및 비스캣과 기타 간식등)

영양제

어린이 신체와 지능발달을 촉진하는 영양보충제(간유, 프로바이오틱, 비타민 D, 칼슘제등

의류,신발

유아복

0~3세 영유아 의류

신발

0~3세 영유아 신발

일상용품

종이제품

물티슈, 기저귀, 페이스타월

캐어용품 및 도구

샴푸, 바디로션, 크림등 캐어용품/ 손톱깍이/이발기/욕조 등 용품

내구용품

양육용품

물컵, 식기, 젖병, 온유기, 소독기, 의자등

외출용품

유모차, 차량용 의자

침구용품

어린이 가구, 침대, 침낭, 싸개, 돗자리, 베개등

완구

목제완구, 금속완구, 천으로 만든 완구

자료: 고우허(高禾)투자연구센터

 

수입 동향


2020년 중국의 식탁용품과 주방용품(HS Code 392410000기준) 수입액은 약 1억1101만 3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7.8% 감소하였으며, 한국무역협회의 수출입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연속 2년간 두 자릿수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연도별 수입 규모(HS Code 392410000 기준)

(단위: 천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 KITA


2020년 주요 수입국은 일본, 한국, 태국 순이며 한국의 대중국 수출 규모는 연속 2년간 두자릿 수의 하락세를 보여주었으며 2019년은 1, 2020년에는 2위로 하락하였음. 한국산 제품은 기타 브랜드 제품 대비 안전한 소재, 가성비와 사용상 편의성으로 다양한 수입제품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39241000기준)

(단위: 천 달러 , %)  

순위

국가명

2019년

2020년 (12월)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135,013.0

2.5

111,013.0

-17.8

1

일본

16,696.0

-0.8

18,073.0

8.2

2

한국

22,916.0

-10.3

17,030.0

-25.7

3

태국

8,971.0

4.9

9,373.0

4.5

4

말레이시아

6,119.0

52.9

9,082.0

48.4

5

대만

6,913.0

-2.9

5,418.0

-21.6

6

미국

7,358.0

-10.9

4,949.0

-32.7

7

베트남

3,782.0

98.8

3,722.0

-1.6

8

프랑스

3,260.0

-22.9

3,049.0

-6.5

9

인도(인디아)

4,582.0

-12.2

2,241.0

-51.1

10

호주

1,383.0

104.2

2,190.0

58.4

자료: KITA

 

경쟁 동향


중국의 영유아용품의 시장 진입 문턱은 비교적 낮아 관련 업종의 진출한 기업 수는 많지만 규모가 작고 시장집중도 또한 낮아 경쟁이 날로 치열한 상태로 치닫고 있다. 영유아 제품은 세부품목이 비교적 많으며 품목 간에도 서로 다른 경쟁구조와 시장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주로 수입 브랜드, 중국 전통 브랜드, 온라인 신생 브랜드, 크로스오버 브랜드로 나눌 수 있으며 각자 자체적인 마켓팅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중이다.

 

영유아 식기제품은 내구성 용품으로 상대적으로 사용시간이 길고 구매빈도가 낮아 소비자는 안전성이 높고 품질, 디자인과 실용성이 강한 제품을 선호하는 만큼 혁신적이고 신규성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가 강하며 오히려 가격에 대한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중국 영유아 식기 브랜드 TOP 10

브랜드

업체명

주요제품

제품 이미지

가격(위안)

원산지

external_image

可优比母婴用品有限公司

(KUB)

유아용품 전품목(식기,유아복,완구, 세제등)

external_image 

58

중국

external_image

贝亲管理(上海)有限公司

Pigeon (Shanghai) Co., Ltd.

유아용품, 세제, 젖병, 기저귀

external_image 

86

일본

external_image

满趣健(上海)贸易有限公司

Munchkin (Shanghai) Trading Company Limited

유아용 식기

external_image

88

미국

external_image

上海乐扣乐扣贸易有限公司

Shanghai LOCK&LOCK Trade Co., Ltd.

용기, 주방용품

external_image 

45/(19위안)

(판촉가)

한국

external_image

好孩子中国商贸有限公司

Goodbaby China Commercial Co., Ltd.

유아용품, 유모차등

external_image 

79

중국

external_image

利其尔(上海)商贸有限公司

Richell (SHANGHAI) Corporation

젖병, 물컵

external_image 

83

일본

external_image

哈琪森商贸上海有限公司

Hutchinson Trading (Shanghai) Company Limited

젖병, 식기, 물티슈

external_image 

129

독일

江苏孩子王实业有限公司

Jiangsu Haiziwang Industrial Co., Ltd.

종합 유아용품 체인점 

external_image 

78

중국

external_image

上海绿洲智健智能科技有限公司

Shanghai Oasis Intelligent Health Technology Co., Ltd.

영유아용품, 식기, 물컵, 기저귀

external_image 

158

미국

external_image

韩国艾克尼斯集团(ICONIX)

Beijing Chuangli Culture Communication Co., Ltd.

식기, 세제, 스킨케어등

external_image 

59.9

한국

자료: JD.COM, CHINAPP, KOTRA 선양 무역관 정리

 

유통 및 소비 구도 분석

 

영유아제품의 유통단계는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브랜드 공급상, 2단계는 온/오프라인판매상, 3단계는 최종소비자로 볼 수 있다. 1단계는 브랜드 보유기업으로 식기, 젖병, 유모차 등 내구성이 비교적 높은 제품을 생산하며 혁신적인 신규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높아지는 만큼 소비 발전 가능성도 크다. 또한 동시에 3, 4선 도시의 하강시장 개척 기회도 공존하고 있다.    


2단계는 주로 영유아 제품의 온/오프라인 유통판매 상으로 오프라인 루트는 영유아 전문매장, 백화점 전문매장 및 대형슈퍼의 전문코너 등을 통하여 소비자의 원스톱 서비스 수요을 충족하고 있고 온라인 루트는 주로 종합 플랫폼, 영유아 전문 커뮤니티 및 브랜드 운영자와 소매상등이 자체적으로 구축한 O2O 루트가 포함됨으로 직접 소비자와의 소통을 통하여 소비자의 정확한 수요 파악과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다.  


3단계는 최종소비자로 그 중에서도 90/95 허우 소비자층은 가격, 브랜드 대비 사용감, 디자인 등 요소에 민감한 편이다. 샤우홍수, 블로그 등 SNS 앱과 영유아 커뮤니티에 관심이 많으며 비슷한 분류의 사용자의 추천제품을 시도하는 경향이 높다. 90/95 허우 소비자가 전체 소비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여성 소비자가 주도적 위치에 있으며 약 87%를 차지한다.  

 

중국 영유아용품 산업체인 구조

 external_image

자료: 고우허(高禾)투자연구센터

 

수입인증과 관세율

 

영유아 식기(플라스틱 소재 위주)의 HS코드는 392410000,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FTA 협정세율 5.3%의 수입관세(2021년 기준)

13%의 부가가치가 부과된다.

 

자료: 췐룬퉁(全润通)


인증 관련 중국은 식품과 접촉하는 식기제품의 경우, 통관 시 식품접촉제품 수입에 따른 성명서(전자버전 표준양식, 수입상 날인)를 작성하여야 한다. 관련 표준은 GB-4806-식품안전국가표준-식품접촉재료표준과 <영유아식기 안전요구> (기업연맹표준)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시사점


중국의 최근 잇따른 인구정책 발표로 영유아산업은 순풍에 돛을 단 격으로 향후 지속 성장산업으로 떠오를 것이며 경쟁 또한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유아 제품은 소비자들의 고급화, 세분화, 개성화 추세에 따라 1, 2선 대도시/3, 4선 도시/농촌 소비자로 차별화한 제품출시가 필요하다. 기업 전략에 따라 특정 부류의 고객층을 겨냥할 것인지 아니면 모든 고객층을 염두에 두고 선호도 및 가성비 좋은 차별화된 시리즈 제품 개발을 통하여 소비자 군을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유아 식기제품은 어디까지나 식품접촉, 인체 접촉으로 안전문제가 가장 중요시되는 바 인기제품이라 하더라도 안전이슈에 문제 발생시 매우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철저한 품질관리 및 표준검사를 통하여 소비자에 안심제품으로 각인을 시켜야 한다온라인 소비시장 및 유통구도의 변화로 전통 일반무역의 수입보다 다양한 루트를 통하여 중국 시장에 수입제품이 유통되고 있는큼 우리 기업 또한 특히 초기 진출단계에서 단순 일반무역을 통한 수출보다 현지파트너 발굴단계부터 적극적인 마케팅 요청에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유아용품 유통업자 인터뷰

Q: 어린이 식기류 구매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시 하는 포인트는 어떤 건가요?

A: ① 중문라벨 및 제품 설명서 확인으로 국가표준 부합여부와 재질, 수입상 정보 및 사용방법 등을 확인한다. ② 눈으로 디자인을 확인하고 코로 냄새를 맡으며 손으로 촉감을 확인한다. ③ 정규 루트를 통한 제품구입이 중요한바 개인이나 모조품 수입제품은 품질 보장이 어려워 대형 쇼핑센터 및 유명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구매루트를 추천한다.   

 

Q: 현지 시장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들에 하고 싶은 조언이 있다면?

A: 중국은 시장 규모가 큰 반면 세대별, 브랜드별, 품목별, 기능별, 소비특징별 등 다양한 수요와 선호도가 있어 시장진입 시 중국 영유아 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 가격 비교, 마케팅 대상, 특히 초기 마케팅 지원 등에 따라 유통상이나 개인사업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바 사전조사 및 바이어 지원 등 부분에서 한국기업의 판단과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자료: KOTRA 선양 무역관 자체 진행

 


자료 : KITA, JD, 브랜드넷, 고우허투자연구센터, 췐룬퉁,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영유아용 식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