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가정용 온수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창춘무역관
  • 2021-09-03
  • 출처 : KOTRA

- 에너지 전환, 소비촉진 등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의 온수기 보급률이 90%에 육박 -

- 기존 제품에 대한 성능 불만, 소비자 니즈의 세분화 등으로 프리미엄 제품의 시장 진입 여지 높아 -

 

 


상품명 및 HS Code

 

품목명

가스 온수기

전기 온수기

HS CODE

8516 10

8419 11

품목 설명

저장식 전기 가열 온수기, 즉시식(순간가열식) 전기 온수기, 전기 공간 가열기, 토양 가열기

 

储存式电热水器即热式电热水器电气空间加热器及土壤加热器

가스 가열 쾌속 온수기

 

燃气快速热水器

 

시장 개황

 

중국의 경제성장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가정용 온수기의 보급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산업정보망에 따르면, 2019년 기준 100 가구당 가정용 온수기 보급은 87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온수기 보급률은 98%에 이르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경우도 72%에 도달했다.

 

2014-2019년 중국 온수기 보급률 (단위: , 100가구당)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전체

68

71

76

79

85

87

도시

83

86

89

91

97

98

농촌

48

53

60

63

69

72

자료: 중국산업정보망

 

 

2019년 기준 중국의 연간 온수기 판매량은 5,648만 대로 집계되었다. 온수기 유형별로 보면 전기식이 2,742만대로 전체의 48.5%를 차지하고, 가스식은 2,190만 대로 38.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2019년 중국 온수기 판매 현황 (단위: 만대)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연간 판매 현황

5,476

5,296

5,770

6,001

5,832

5,648

전기식

2,617

2,575

2,661

2,788

2,716

2,742

가스식

1,864

1,980

2,224

2,397

2,343

2,190

태양에너지

995

741

885

816

773

716

자료: 중국산업정보망

 


PC House(太平洋家居网)에서 진행한 ‘2021 가정용 온수기 소비 업그레이드 트렌드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온수기는 가스식이 53.8%, 전기식이 42.3%, 기타 유형이 3.9%를 각각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정용 온수기 유형 및 시장점유율 (단위 : %)

유형

장점

단점

비중

가스식

신속한 가열 속도

저렴한 유지비

동절기 온수 공급 불안정

가스 연소에 따른 일산화탄소 발생

설치가 번거롭고 설치 비용이 높음

53.8

전기식

다양한 가격대 제품

온수 공급 성능 양호

비교적 높은 유지비가 높음

저장식의 경우 부피가 큼

탱크내 물 때 등 청결 문제

42.3

기타

(태양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

유지비가 비교적 저렴

설치 제약(기후, 주택 유형 등)

설치가 번거롭고 점유 면적이 큼

동파 우려, 에너지원 불안전 등

3.9

자료PC House(太平洋家居网)

 


가스식 온수기의 경우 제품의 가격대가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에 따른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이 큰 장점이다. 그러나 가스관이 공급되지 않은 단독주택이나 농촌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한계가 있고, 가스식 온수기는 설치가 번거롭고 비용도 높은 것이 단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스식 온수기의 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에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크게 작용했다. 중국은 청정 난방 에너지 공급 확대를 위해 2013년부터 석탄-가스 전환(煤改气, 메이가이치)’으로 대표되는 에너지 전환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고, 그 결과 가스의 보급률도 크게 향상되었다. 2014년 말 기준 중국의 가정별 가스 보급률은 40.2%였으나, 2016년 연말에는 50%를 넘었고, 베이징의 경우 76.7%에 이르렀다.

 

전기식 온수기는 설치가 비교적 간편하고, 소비자의 수요나 형편에 따라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시식 온수기(순간 온수기)는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아 부담 없이 구입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반면, 온수 사용에 따른 전기료 부담이 상당히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저장식 온수기의 경우 유지비는 즉시식에 비해 저렴하나, 부피가 커서 공간 효율이 낮고 미관상의 단점도 존재한다.

 

경쟁동향

 

중국 가정용 온수기 시장에서의 브랜드 선호도를 보면, 중국산 브랜드가 대부분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가운데, 수입 브랜드로는 미국의 A.O. Smith, 일본의 Rinnai 2개사가 포함되었다. 중국산 브랜드의 경우 중저가를 폭넓게 아우르며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는 반면, 수입 브랜드는 고가의 제품군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가정용 온수기 브랜드 선호도 (단위: 위안)

순위

브랜드

국가

종류

대표제품

참고가격

1

美的(Midea)

중국

전기식

F6021-JA1(HEY)

1,199

2

A.O史密斯(A.O.SMITH)

미국

가스식

JSQ31-JD3

3,298

3

万和(Vanward)

중국

가스식

JSQ30-550J16

1,588

4

林内(Rinnai)

일본

가스식

RUS-13QC05

3,298

5

四季沐歌(MICOE)

중국

전기식

DSK-H85-M02

968

6

华帝(VATTI)

중국

가스식

i12053-16

1,699

7

斯科邦(SIKEBANG)

중국

전기식

R833

328

8

樱花(SAKURA)

중국

가스식

JSQ25-L022

1,199

9

志高(CHIGO)

중국

전기식

KBR-Y6S

328

10

奥克斯(AUX)

중국

가스식

JSQ23-DA16

598

자료: 징둥JD

 

온수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보면 중국산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의 대표적인 가전브랜드 MideaHaier이 각기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A.O. SMITH(미국), Rinnai(일본), NORITZ(일본) 등도 점유율 상위에 포함되어 있다. 


온수기 보급률이나 브랜드 점유율을 놓고 보면, 관련 시장은 현재 포화상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PC House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보급 온수기의 성능이나 기능 등에 대한 소비자 불만도 비교적 높고, 노후화에 따른 교체 수요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오프라인 가전제품 전문 매장인 수닝그룹(苏宁易购集团厨卫公司)의 리우사이 사장은 ‘최근 온수기 구매자들은 안전성, 건강, 디자인, 지능화 등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어, 저가 제품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가정용 온수기 제조사별 시점 점유율 (단위: %)

전기식 온수기

가스식 온수기

순위

브랜드

국가

점유율

순위

브랜드

국가

점유율

1

美的(Midea)

중국

31.9

1

美的(Midea)

중국

19.8

2

海尔(Haier)

중국

28.0

2

海尔(Haier)

중국

14.7

3

A.O.史密斯

(A.O.SMITH

미국

10.8

3

万和(Vanward)

중국

13.9

4

统帅(Leader)

중국

5.8

4

林内(Rinnai)

일본

12.2

5

华凌(Wahin)

중국

4.3

5

万家乐(Macro)

중국

10.8

6

万家乐(Macro)

중국

3.2

6

A.O.史密斯

(A.O.SMITH

미국

7.6

7

万和(Vanward)

중국

3.0

7

能率(NORITZ)

일본

6.6

8

卡萨帝(Casarte)

중국

1.4

8

华帝(VATTI)

중국

3.8

9

奥克斯(AUX)

중국

1.3

9

樱花(SAKURA)

중국

1.8

10

阿诗丹顿(Usaton)

중국

1.1

10

方太(FOTILE)

중국

1.2

자료: 2020년 히트 가전제품 순위(2020年家电爆款榜单)

 

유통구조

 

온수기는 주택에 부착형으로 사용되고, 가스 및 상수도관 등과 연결해서 사용하는 점 등으로 인해 일반 가전제품과는 다소 구별되는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다.

 

온수기 유통 구조 도식

자료 : KOTRA 창춘무역관 자체 정리

 

온수기 유통에 있어 B2B 형태의 공급은 주목이 필요한 시장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부동산 개발 기업이나 공동주택 인테리어 기업에서 대량 구매를 통해 설치하는 형태이다. 통상 중국에서는 기본 골격 공사만 완료한 형태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분양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앙 정부에서 기본 인테리어까지 완료하여 주택을 분양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중고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기본 인테리어는 물론 온수기,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정수기, 에어컨 등의 필수 가전제품까지 포함된 풀옵션(精装房) 분양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온수기 및 보일러 전문 대리점이나 인테리어 시공업체를 통한 공급도 중요한 유통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신축 아파트 단지나 동별로 공동구매를 통해 판매와 시공을 함께 제공하기도 하고, 소지역 단위의 주거환경 개선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개별 소비자들이 온수기 전문 매장이나 온라인 직영몰 등을 통해 구입하는 비중도 적지 않다. 그러나 온수기의 설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 기술자의 방문이 필요하고, 가스식의 경우 가스 공급사의 별도 안전심사도 받아야 하다는 점 등의 제약이 존재한다. 


수출입 동향

 

2020년 기준 전기식 온수기의 수입액은 1,564만 달러, 수출액은 4975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다수의 글로벌 제조사들이 중국내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기식 온수기 수출입 현황 (HS Code 8516 10 기준) (단위: 천달러, %)

구분

2018

2019

2020

증감

수입

14,133

13,840

15,638

13.0

수출

395,354

404,109

409,749

1.4

자료: KITA


전기식 온수기의 주요 수입 국가로는 미국이 718만 달러로 45.9%를 차지하고 있고, 뒤를 이어 독일 322만 달러, 캐나다 95만 달러 순이다.

 

전기온수기 국별 수입 현황 (HS Code 8516 10 기준) (단위: 천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금액

비중

(2020)

2018

2019

2020

1

미국

2,693.0

3,884.0

7,177.0

45.9

2

독일

4,089.0

3,327.0

3,222.0

20.6

3

캐나다

971.0

544.0

951.0

6.1

4

일본

411.0

975.0

589.0

3.8

5

한국

334.0

2,347.0

569.0

3.6

6

필리핀

569.0

295.0

396.0

2.5

7

스페인

37.0

1.0

337.0

2.2

8

프랑스

294.0

173.0

317.0

2.0

9

영국

60.0

66.0

198.0

1.3

10

조지아

0.0

1.0

157.0

1.0

 

총계

14,133.0

13,840.0

15,638.0

 

자료: KITA

 

 가스식 온수기의 경우, 2020년 총 2,453만 달러를 수입하였고, 수출액은 33,475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가스식 온수기 수출입 현황 (HS 8419 11 기준) (단위: 천달러, %)

구분

2018

2019

2020

증감

수입

14,201

23,444

24,531

4.6

수출

316,733

305,688

334,751

9.5

자료: KITA

 

주요 수입 국가로는 일본이 2,318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94.5%를 점유하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호주 등이 뒤를 잇고 있으나 규모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가스식 온수기 국별 수입 현황 (HS 8419 11 기준) (단위: 천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금액

비중

(2020)

2018

2019

2020

1

일본

13,190.0

22,213.0

23,175.0

94.5

2

미국

53.0

212.0

456.0

1.9

3

프랑스

127.0

1.0

200.0

0.8

4

호주

631.0

9.0

200.0

0.8

5

한국

631.0

195.0

195.0

0.8

6

독일

33.0

111.0

136.0

0.6

7

이탈리아

112.0

157.0

131.0

0.5

8

포르투갈

0.0

0.0

4.0

0.0

9

이집트

0.0

0.0

3.0

0.0

10

대만

0.0

0.0

2.0

0.0

 

총계

14,201.0

23,444.0

24,531.0

 

자료: KITA

 

 

관세율, 인증

 

2021년 한중 FTA 협정 관세율에 따르면, 원산지가 한국산인 전기식 온수기의 경우 3%의 관세가 부과되며, 가스식 온수기의 경우 22.7%의 관세가 부과된다.

 

가정용 온수기 제품 수입 세율 (2021년 기준)

HS code

품목명

관세

(한중 FTA)

증치세

(부가세)

한중

FTA

최혜국

MFN

8516 10

저장식 전기 가열 온수기, 즉시식(순간가열식) 전기 온수기, 전기 공간 가열기, 토양 가열기

Electric instantaneous or storage water heaters and immersion heaters

3%

%

13%

8419 11

가스 가열 쾌속 온수기

Instantaneous gas water heaters

22.7

8

13%

자료: 중국 해관 수출입 세칙 (2021)

 

중국에서는 2020년 가스 보일러 및 온수기에 대한 표준(GB20034-2020, 燃气采暖热水炉)을 개정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사용 환경 중 일산화 탄소 배출량에 대한 규제 강화, 에너지 절약 지표 열효율 규정 강화 등이 있다. 

 

시사점

 

현재 가정용 온수기 시장은 중국산 브랜드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및 일본의 브랜드가 입지를 견고하게 차지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급화, 스마트화, 에너지 절감 등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이 향후 시장을 이끌어 갈 것으로 생각된다.

 

중앙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 농촌지역 가전제품 공급, 소비쿠폰 제공 등이 온수기 보급 확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와 같은 온수기의 양적 공급 확대는 향후 질적 향상 수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PC House(太平洋家居网) 온수기 시장 조사 결과에서, 기존 온수기의 고장 및 수리비용 과다, 출수량이나 온수성능 등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은 향후 관련 시장의 성장 방향을 선명하게 시사하고 있다. 

 

중국의 공동주택 분양 트렌드 변화에 따른 시장 진출 전략 수립도 필요하다. 중고가 주택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풀옵션 인테리어 분양 시장에서 수입산 내구 가전제품의 새로운 진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자료 :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아이미디어 데이터센터(艾媒数据中心), 중국가전제품망(中国家电网)시나망(新浪网), 중국경제망(中国经济网), PC House(태평양가구망, 太平洋家居网), 중화망(中华网),  징둥(京东)Tmall(天猫)GOME(国美)KITA한국무역협회, KOTRA창춘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 중국 가정용 온수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