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시장 동향
  • 상품DB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주헌
  • 2021-08-02
  • 출처 : KOTRA

- 파키스탄 축산업 성장에 힘입어 사료용 조제품 수요 또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

- 현지 축산농가 네트워크를 보유한 대형 사료 제조업체와 직접 거래하는 것이 현지 진출에 유리 -

 

 

 

상품명 및 HS Code

 

기타 사료용 조제품(HS Code: 2309.90)

 

축산업 성장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하는 사료 및 첨가제 수요

 

조사 대상 품목 HS Code 2309.90은 개와 고양이용 사료를 제외한 양계용, 어류용, 축우용 사료 및 해당 사료에 첨가 가능한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다. 파키스탄 식량안보연구부(Ministry of National Food Security and Research)에 따르면 2020/21 회계연도 기준 최근 3년간 파키스탄 내 주요 가축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로 인해 사료 및 사료첨가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파키스탄 내 가축 수 추정치

(단위: 백만 마리

순위

종류

2018/19

2019/20

2020/21

1

가금류

1,232

1,353

1,486

2

염소

76.1

78.2

80.3

3

(일반)

47.8

49.6

51.5

4

물소

40.0

41.2

42.4

5

30.9

31.2

31.6

6

당나귀

5.4

5.5

5.6

7

낙타

1.1

1.1

1.1

자료: National Food Security and Research

 

파키스탄에서 축산업에 종사하는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 Saremco International 등 현지 기업에 따르면 파키스탄 가축 사료 시장 전체의 규모는 약 50억 달러 내외로 추정되며, 첨가제의 경우 자체 생산이 어려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한다. 파키스탄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약 70%가 사료 관련 비용이라고도 언급했다. 또한 현재 파키스탄에는 약 200개의 가축 사료 제조업체가 있으며, 이 중 첨가제 등을 활용한 복합 사료를 생산하는 업체는 30곳 내외이나 현지 수요를 감당하기에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코로나19 이전까지 수입 규모는 꾸준히 증가

 

Global Trade Atlas(GTA)의 무역통계 정보에 따르면 2020년도 기준 공식적으로 집계된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수입 시장 규모는 약 6,400만 달러에 해당한다. 중국이 수입 시장 점유율 19.8%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말레이시아(12.6%), 파라과이(5.7%)가 각각 2, 3위를 기록했다. 3~10위 사이 국가의 수입 시장 점유율은 5%내외로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사료용 조제품 총 수입액은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해왔으나, 2020년 초 확산된 코로나19 등 요인으로 인해 일시적인 수입 규모 감소가 나타났다. 한국산 사료용 조제품은 2020년 기준 파키스탄 수입 시장 점유율 1.1%18위를 차지하고 있다.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수입 동향

(단위: 천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6

2017

2018

2019

2020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중국

12,378

14,779

16,868

13,759

12,673

-7.9

19.8

2

말레이시아

3,938

4,874

6,969

7,198

8,064

12.0

12.6

3

파라과이

0

400

1,381

2,152

3,673

70.7

5.7

4

프랑스

2,725

3,591

4,302

2,579

3,496

35.6

5.5

5

독일

1,832

2,750

2,764

2,546

3,470

36.3

5.4

6

벨기에

2,605

2,447

2,567

4,122

3,411

-17.3

5.3

7

베트남

1,706

1,455

3,181

3,175

2,863

-9.8

4.5

8

미국

3,114

2,533

4,388

3,678

2,809

-23.6

4.4

9

네덜란드

4,116

3,201

3,518

3,990

2,748

-31.1

4.3

10

핀란드

0

75

2,068

2,745

2,541

-7.4

4.0

18

한국

824

1,206

997

1,225

732

-40.2

1.1

-

기타

11,744

18,360

16,376

18,829

17,597

-6.5

27.5

44,983

55,670

65,378

65,999

64,078

10.6

1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 HS Code 2309.90 기준

 

현지 업체가 말하는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시장 동향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사는 주로 중국 등으로부터 사료를 포함한 다양한 첨가제 제품을 수입해 유통하거나 혼합 사료를 생산하는 현지 제조 업체다.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사는 World Bank 연구자료를 인용해 파키스탄 축산업 종사자의 교육 수준은 아직 낮은 편이라 사료 품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현지의 사료 제조 업체 중 약 80%는 직원 수 20명 내외의 소규모 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지속적으로 축산업 규모를 확장시키고 있기에 사료용 조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기본적인 사료 베이스는 파키스탄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수입되는 것은 대부분 혼합 사료를 만들기 위한 기능성 첨가제라고 한다. 미국과 유럽의 제품이 최상급으로 취급되고 있음에도 중국 및 말레이시아 등 제품이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시장점유율을 공격적으로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지 종합 무역업체 Saremco International Asian Traders 사에서는 2020년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수입액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한 것과 관련해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감소 및 그로 인한 일시적인 육류/유제품 소비 감소를 원인으로 설명했다. 파키스탄은 특히나 가계 수입 중 식료품 지출 비중이 높은 국가로, 코로나19 상황 극복 시 수입액은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다.

 

현지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 등 인터뷰에 응한 현지 업체들이 밝힌 바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 축산업 사료 시장 내 주요 현지 기업은 Chakwal Feeds Mills, Al-Hafiz Cattle Feed Industries, Madina Cattle Feeds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미국의 Novus 사 및 Cargill , 유럽의 Iffco 사 등이 현지에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유통구조 및 관세율 등

 

일반적으로 현지 사료 제조 기업에서 직접적으로 제품을 수입하여 혼합 등 별도 가공을 거친 후 최종 수요처에 공급하고 있다. 사료 제조 업체들은 현지 축산업 관계자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일반 무역 업체를 거치는 것보다 이러한 대형 제조업체들과 거래하는 것이 현지 진출에 유리하다.

 

HS Code 2309.90 기준 현지 수입 관세율은 26%, 이 외에도 17%의 일반 판매세(GST) 등 세금이 별도 부과되므로 바이어와 협의를 통해 신중히 가격을 책정해야 한다. 파키스탄으로 사료용 조제품 수출 시 제품에 채소 및 곡식류 이외 성분이 포함되었다면 할랄인증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세율

HS Code

관세

(Custom Duty)

일반 판매세

(General Sales Tax)

원천세

(Withholding Tax)

2309.90

26%

17%

6%

자료: Federal Board of Revenue

 

시사점

 

현지 업계 의견에 따르면 파키스탄 축산 사료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의 경우 일반 수입상보다 자체 유통망을 확보한 대형 사료 제조업체와 업무를 진행하는 편이 파키스탄 시장 진출에 수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KOTRA 카라치 무역관에서 파악한 주요 사료 제조업체는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 Chakwal Feed Mills Al-Hafiz Cattle Feed Industries 등이 있으며 연락처는 무역관으로 개별 문의 시 안내 가능하다.  

 

웹사이트 개설 및 운영 등이 미흡한 축산업 특성상 현지 시장 동향 파악을 위해 Pakistan Agri Expo 등 관련 전시회에 직접 참가해보는 것을 추천하나, 최근 코로나19로 현지 방문조차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KOTRA의 바이코리아 내 개설된 국가별 산업별 Trade show(https://www.buykorea.org/onlineshowcase/tradeshow.do) 플랫폼 등을 활용해 제품을 소개하고, 카라치 무역관 지원을 통해 화상상담을 진행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자료원: Pakistan Ministry of National Food Security and Research, Pakistan Federal Board of Revenue, Pakistan Ministry of Finance,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 Saremco International, Asian Traders, Global Trade Atlas, KOTRA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사료용 조제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