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네덜란드 스낵시장 동향
  • 상품DB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이혜수
  • 2021-05-02
  • 출처 : KOTRA

- 코로나 확산이 건조 간식 소비 증가에 영향 -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한 먹거리 인기 -


 


상품명

  1.  

본 글에서는 감자칩, 쿠키, 견과 스낵, 나초, 팝콘 등 고소하거나 짭짤하게 독특한 맛이 나는 건조 간식을 통칭하는 ‘짭짤한 스낵(Savory Snack)’을 다루고자 한다. 이에 해당하는 제품은 HS Code 분류상으로 200520(감자), 210690(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 식료품 기타)에 해당한다.

 

시장 동향

  1.  

작년 한 해 동안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짭짤한 스낵(Savory Snack)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9월 예측치 기준 고소한 스낵의 판매액은 11억4390만 유로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이는 2019년 대비 5% 성장하고 5년 전인 2015년 대비 15.7%가 성장한 수치였다. 가격 상승보다는 판매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매량이 2020년 대비 3.3%, 2015년 대비 9.8% 증가한 규모다.

 

한편, 2020년 판매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짭짤한 스낵(Savory Snack)은 팝콘인데 2019년 대비 8.6% 증가한 1,690만 유로에 달했다. 현지에서는 팝콘이 감자칩에 비해 지방 함량이 적어 건강에 좋은 선택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소한 비스킷은 장기간 보관해 두고 먹을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매출이 2019년 대비 5.6% 증가해 2020년 총 매출액이 2억 80만 유로에 달했다. 견과류, 그래놀라, 초콜릿, 건조과일 등이 섞여 있는 간식의 판매액도 전년 대비 2.2% 증가한 3억 5,320만 유로로 소비자들이 설탕 섭취를 줄이고 건강에 더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면역 체계 강화와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것과 함께 채식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성 단백질의 중요한 원천이 되는 견과류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간식은 물론 아침, 점심 또는 저녁 식사로도 마찬가지였다. 견과류는 소금에 절이거나,볶거나, 튀기거나, 초콜릿이나 바삭바삭한 층으로 코팅된 혼합 견과류를 다양하게 판매하고 있다. 150~250g 내외의 포장용 견과류 제품 가격은 견과류 품질과 견과류 종류에 따라 0.66유로~6.00유로 수준으로 판매되고 있다.

 

네덜란드 인기 견과 스낵

external_image

자료: : ah.nl

 

짭짤한 스낵 매출액(2015-2020년)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20214월 검색)

 

짭짤한 스낵 매출액 증가율(2015-2020년)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20214월 검색)


수입동향

  1.  

2020년 HS Code 200520에 해당하는 냉동되지 않고 식초나 아세트산 이외의 방법으로 보존된 감자 등의 총 수입액은 135,173,753 달러(43,249 톤)로 2019년에 비해 2.54% 증가했다. 이것은 감자 칩 같은 종류의 제품들이 속해 있는 범주이다. 주요 수입국은 벨기에이며, 890,207,814달러(2만7,961톤)를 수입해 2019년에 비해 10.18%가 증가했다. 뒤이어 독일과 영국에서 각각 14,315,593달러(7,135톤)와 14,177,032달러(3,507톤)를 수입했다.


한국산 감자 스낵 수입은 2019년 3만9,290달러, 2020년 4,545달러로 88.43% 감소했다. 한국에서 수입하는 톤당 단가는 2020년 평균 15,282.58달러였다. 일본(2020년 23만3,550달러)과 중국(2020년 13만7,592달러)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량을 수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네덜란드 감자 스낵(200520) 주요 수입 국가

순위

교역국

천달러(USD)

점유율(%)

증감률(%)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2019/2020

전체

113,885

131,826

135,173

100

100

100

2.54

1

벨기에

66,490

80,966

89,208

58.38

61.42

65.99

10.18

2

독일

22,763

20,365

14,316

19.99

15.45

10.59

-29.71

3

영국

11,505

14,435

14,177

10.1

10.95

10.49

-1.79

4

스페인

2,456

4,040

5,232

2.16

3.06

3.87

29.52

5

프랑스

5.077

4,005

3,970

4.46

3.04

2.94

-0.87

6

오스트리아

1,169

2,518

2,133

1.03

1.91

1.58

-15.27

7

폴란드

330

727

736

0.29

0.55

0.54

1.12

8

이집트

407

690

669

0.36

0.52

0.49

-2.99

9

덴마크

1,614

579

1,269

1.42

0.44

0.94

119.1

10

그리스

2

497

23

0.0017

0.38

0.02

-95.46

-

한국

-

39.29

4.55

-

0.03

0.003

-88.43

자료: ihsmarkit.com

 

2020년 12월 기준, HS Code 210690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 식료품 기타의 총 수입액은 1,844,900,393 달러(399,333톤)로 2019년에 비해 12.59% 증가했다.


기타 짭짤한 스낵은 주로 독일에서 수입되는데, 네덜란드에 360,984,000 달러 (95,414 톤)를 수출해 네덜란드 전체 수입량의 19.57%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두 번째 수입국은 미국인데, 2020년에는 전년 대비 20% 증가한 307,153,929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했다. 한국은 2020년 총 958,174달러를 수출해 2019년 12월과 비교했을 때 수출액이 13.03% 증가했다. 아직까지 전체 시장에서 0.0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지만, 총 수출량 측면에서 봤을 때 2019년 수출 물량보다 70.14% 증가한 145톤을 수출한 것이 인상적이다.

 

네덜란드 기타 스낵(210690) 주요 수입 국가

순위

교역국

천달러(USD)

점유율(%)

증감률(%)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2019/2020

전체

1,675,040

1,638,653

1,844,900

100

100

100

12.59

1

독일

358,836

340,988

360,984

21.42

18.48

19.57

5.86

2

미국

224,092

255,971

307,154

13.38

15.62

16.65

20

3

벨기에

225,085

229,773

235,357

13.44

14.02

12.76

2.43

4

영국

179,232

194,005

195,331

10.7

11.84

10.59

0.68

5

이탈리아

94,627

87,109

89,459

5.65

5.32

4.85

2.7

6

프랑스

88.839

74,715

91,817

5.3

4.56

4.98

22.89

7

중국

48,015

47,735

63,507

2.87

2.91

3.44

33.04

8

폴란드

34,332

40,303

63,195

2.05

2.46

3.43

56.6

9

덴마크

30,649

36,682

37,591

1.83

2.24

2.04

2.48

10

스위스

62,634

35,158

52,512

3.74

2.15

2.85

49.36

- 

한국

786

848

958

0.05

0.05

0.05

13.03

자료: ihsmarkit.com


경쟁동향

  1.  

네덜란드 시장 내 짭짤한 스낵(Savory Snack)의 3대 브랜드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전체 시장의 총 31.7%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브랜드는 각각 Lay’s(Smith Food Group B.V.), AH(Albert Heijn B.V.), Duyvis(PepsiCo inc.)이다. Smith Food Group은 Lay’s 감자칩, 도리토스 토르티야 칩 등 오랜 명성을 가진 대표 브랜드를 갖고 있어 당분간 시장의 주도권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다소 고가 제품으로 분류되는 Duyvis는 소비자들이 점차 유통업체의 PB 제품 등 다른 저가 제품에 좀 더 관심을 보이면서 매출 하락이 예상된다. 또한, Duyvis가 주력하고 있는 달고 짠 재료로 코팅된 견과류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브랜드 제품 

external_image 

자료: ah.nl

 

  1.  유통구조
  2.  

짭짤한 스낵(Savory Snack)의 유통은 95.8%가 점포를 기반으로 한 소매점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매출의 3.3%가 발생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유통채널의 성장세가 눈에 띄는데, 다른 모든 소비 경향과 마찬가지로 작년 한 해 네덜란드의 소비자들의 외출이 줄어들면서 전자상거래 채널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진 상황이 반영되었다. 향후에도 전자상거래 채널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점차 많은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의 이용에 익숙해져 팬데믹 이후에도 활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짭짤한 스낵의 유통 채널별 매출 비율(2015-2020년)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com


관세율 및 인증

  1.  

현재 한-EU FTA로 인해 HS Code 20052와 210690의 관세율은 0%이다. EU로 수입되는 식품은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은 먹기에 안전하고 인간의 건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의 오염 물질을 포함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관련한 법규정은 EU Regulation 2017/625(Official Controls Regulation – OCR)에서 찾을 수 있다.

(상세내용)

https://trade.ec.europa.eu/access-to-markets/en/results?product=20052010&origin=KR&destination=


시사점

  1.  

코로나 확산세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건조식품 비축과 간식 소비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대비 2025년 짭짤한 스낵(Savory Snack)의 매출 상승률은 8.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외출이 늘게 되면 소비 증가율은 자연히 둔화될 것이다.  

 

향후 가장 큰 매출액 성장이 기대되는 종류의 스낵은 채소, 펄스칩(콩과 식물을 건조한 칩), 빵칩으로 2020년 이후 25.3% 성장해 2025년 1,000만 유로의 매출액 기록이 예상된다.  또한, 웰빙 트렌드에 따라 튀기지 않고 굽거나 바다 소금을 가미한 칩 등의 판매가 늘고 있으며, 최근에는 렌틸, 퀴노아, 김 또는 콩으로 만든 스낵도 새롭게 출시되고 있다. 글루텐 프리 제품도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어 이러한 틈새 시장의 진출 기회를 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건강한 간식으로 인기있는 제품

external_image

자료: ah.nl, jumbo.com

 

짭짤한 스낵 예상 매출액(2020-2025년)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짭짤한 스낵 예상 매출 증가율(2020-2025년)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작성 지원 : 암스테르담 무역관 Marijn Mannien

자료 Ihsmarkit.com, Euromonitor.com, ec.europa.eu, ah.nl, jumbo.com, upsplash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네덜란드 스낵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