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지리아 신발 트렌드
- 트렌드
- 나이지리아
- 라고스무역관 IkennaGodwin Uyamasi
- 2020-11-03
- 출처 : KOTRA
-
- 이제는 생필품이 아닌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잡은 신발 -
- 늘어나는 수요에 따라 한층 더 다양해진 종류와 브랜드 -
최근 신발에 대한 인식이 바뀌며 기존에는 그저 생활 속에서 필요한 생필품에만 속했다면 이제는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으며, 운동화, 구두, 캐주얼화 등 다양한 신발들이 나이지리아 시장에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여성 신발들의 수요가 급증하며 종류와 브랜드들이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화려하고 밝은 색상의 신발들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을 고려하여 수입업체와 유통업체들도 그 계열의 신발들을 많이 찾고 있다.
산업 수급 현황
HS 코드 6404 기준,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한국, 인도 등이 있다. 신발과 같은 소비재 제품의 경우, 아무래도 가격에 민감한 시장인 만큼 브랜드 가치를 따지기보다는 저렴한 중국산 제품들이 더욱더 선호되며, 오히려 노 브랜드 신발들에 대한 수요가 더 높은 편이다. 한국에서의 수입은 최근 2019년을 제외하고는 기록된 바 없으나, 2019년 수입액이 급증하며 우리기업들의 나이지리아 시장 진출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이탈리아, 미국, 영국 등에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총 수입액은 2019년 기준 전년 대비 33.12%의 증감률을 기록하며 성장하고 있다.
최근 5개년 나이지리아 신발(HS: 6404)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
2015
2016
2017
2018
2019
19/18 증감률
4,039
4,055
2,644
6,576
8,754
33.12%
자료: ITC
최근 5개년 나이지리아 신발(HS: 6404)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순위
수입국
2015
2016
2017
2018
2019
1
중국
3,456
2,765
1,976
5,851
6,444
2
한국
0
0
0
0
1,212
3
인도
0
15
15
14
298
4
이탈리아
66
23
18
29
191
5
미국
5
14
60
180
187
6
영국
8
26
82
108
150
7
홍콩
0
2
1
7
68
8
터키
0
0
0
0
59
9
아랍에미리트
14
73
0
42
19
10
네덜란드
6
3
0
0
13
자료: ITC
주요 유통채널 및 제품
대부분의 소비재 제품이 그렇듯 신발 또한 제조업체, 수입업체 그리고 유통업체 순으로 나이지리아 시장에 들어오게 되어 소비자들에게 판매가 된다. 다만 신발의 경우 직수입을 하는 민간 유통업체들도 많기에 이를 통하면 수입 및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소비자들에게 제품 판매가 가능하여 보다 저렴한 소비 가격에 판매 될 수 있다.
나이지리아 현지의 주요 유통업체로는 Monan Men Shoe Company, The Shoe Plug, Tokunbo Bags And Shoes Stores, Sammy Ladies Shoes, Shoe Warehouse, Temi Shoes and Bags 등이 이다. 대부분(70%)의 신발은 오프라인으로 유통되나 최근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며 Jumia Online Market 등 온라인 상점들 또한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주요 브랜드들로는 비교적 잘 알려진 나이키, 아디다스, 컨버스, 스케쳐스 등의 수입 브랜드들이 있으며 이외에도 Ethnik shoes, Eko Shoes, T.T Dalk, RD Soles, Kene Rapu 등 나이지리아 브랜드들이 시장을 점유 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에서 인기있는 신발 종류
남성용 구두
남성용 가죽 신발
컨버스화
여성용 구두
여성용 가죽 신발
캐주얼화
자료: 라고스무역관 자료 종합
관련 정책 및 규제
신발의 경우 자국 생산을 장려하기위해 석유산업에서 사용 되는 안전화, 스포츠용 신발, 캐주얼화 등을 제외하고는 수입이 금지되어 있거나 관세가 높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정책 때문에 나이지리아 신발 생산업체들의 경제력은 상승하였지만 더욱더 다양한 제품들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 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상위 HS 코드 6404를 기준으로 HS 코드 6자리의 제품들은 관세가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20%까지 부과되면 부가가치세는 7.5%에 달한다.
나이지리아 가구(HS 코드: 6404) 수입 관세
(단위: %)
HS 코드
제품
수입관세
부가가치세
6404
Footwear with outer soles of rubber, plastics, leather
10~20
7.5
자료: 나이지리아 세관(NCS)
관련 전시회 정보
전시회 명
Made in Nigeria Shoe Expo (MINSE)
장소
D’Podium International Centre
전시 품목
가죽 및 섬유 제품
웹사이트
전시회 명
Lagos International Trade Fair
장소
Main Bowl of the Tafawa Balewa Square, Lagos
전시 품목
종합 소비재
웹사이트
www.lagoschamber.com
전시회 명
Abuja International Trade Fair
장소
Abuja International Trade and Convention Centre, Abuja
전시 품목
패션 제품
웹사이트
www.accinigeria.com
시사점 및 전문가 의견
현재 나이지리아 현지에서는 대부분의 유통이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나이지리아에서도 온라인 쇼핑 및 마케팅이 활성화되며 온라인 상점 입점을 통해 틈새시장의 기회를 노리는 것도 중요하다. 주요 온라인 상점들과 협업하여 우리기업들의 제품을 홍보하고 진출 방안을 모색하여 시장 진출의 기회를 잡아야 한다. 특히 가격에 민감한 나이지리아 소비자들을 고려하여 우선은 저렴한 가격대로 시장진출을 하여 브랜드 이름을 알린 후 제품을 다양화 하는 것이 용이하다.
현재 나이지리아 신발 시장에서는 한국 브랜드들이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나 최근 들어 한국 제품들이 나이지리아 시장에 진출하며, 더욱더 많은 우리기업들의 진출을 기대해볼만하다. 현지 전시회를 참여하여 현지의 반응을 확인하고 바이어와 직접 소통하여 우선적으로 우리기업 브랜드들을 알리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 ITC, 나이지리아 세관(NCS), 라고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나이지리아 신발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젠더리스 바람이 불고 있는 일본 시장
일본 2022-07-14
-
2
인도, 아동의류 시장의 고급화
인도 2022-08-01
-
3
중국 여성 언더웨어 시장에 새 바람 분다
중국 2020-10-30
-
4
[M&A정보] 멕시코, M&A시장 미국 경기침체 영향으로 정체
멕시코 2008-08-27
-
5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동향 및 투자진출 여건 분석
에티오피아 2018-08-19
-
6
한・중・일 아시아 3대 게임쇼 비교분석
중국 2010-12-16
-
1
2025년 나이지리아 정유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5-03-09
-
2
2024년 나이지리아 에듀테크 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4-11-15
-
3
2021년 나이지리아 전력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1-11-24
-
4
2021년 나이지리아 정유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1-11-24
-
5
2021년 나이지리아 농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1-11-24
-
6
2021년 나이지리아 자동차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