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동향 및 투자진출 여건 분석
  • 트렌드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김종현
  • 2018-08-19
  • 출처 : KOTRA


 


1. 에티오피아의 섬유산업 현황


□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산업 체계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체계도


  ㅇ (개황) 2014년 에티오피아 섬유봉제협회에서 정리한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산업 체계도 분석결과 에티오피아는 '투입(면화) => 방적 => 편물, 제직 => 염색, 마감 => 재단, 재봉'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구조를 갖춤. 순수 에티오피아 기업은 물론 인건비 절감을 목적으로 중국, 터키, 인도 및 다양한 합작회사들도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의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매김 

    - 에티오피아 정부의 섬유-의류산업 육성기조에 따라 순수 에티오피아 기업 중에서는 국영기업들도 다수 포함돼 있으며 외국 기업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기업 및 다국적 기업들과의 합작을 통해 시장에 진출한 경우도 상당수

 

  ㅇ (단계별 원자재 수급) 현재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산업은 수출과 수입이 혼조를 이루는 가운데 완제품과 더불어 선진 가공기술이 요구되지 않는 순면(Cotton Lint)이나 염색, 마감작업등의 단순 임가공을 거친 직물도 해외로 수출됨.

    - 한편 특수 방적사, 기능성 섬유 등 일정 기술이 요구되거나 에티오피아에서 조달할 수 없는 제품과 부분품은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일부 완제품의 경우 중국, 터키로부터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되거나 밀수가 성행. 각 단계에 걸친 전반적인 기술수준 제고를 통한 섬유-의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보임.


  ㅇ (순면 등 핵심 원자재) 원자재 공급확대 차원에서 순면의 경우 전 세계 면화시장에서 에티오피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으나 미개발 상태의 농경지가 많다는 점과 섬유-의류산업의 외국 기업 투자유치 확대를 통한 면화 재배 확대도 예상되는 상황

    - 에티오피아 정부는 부가가치가 낮은 순면의 수출을 줄이고 섬유-의류산업으로의 공급확대를 통한 수출확대를 강조하고 있어 체계적인 정부지원을 통한 생산량 확대 및 품질 향상도 기대하고 있음.


2015~2016년 주요국 면화 생산현황

(단위: 1000 메트릭톤)

주: 순서는 인도, 중국 ,미국, 파키스탄, 브라질, 에티오피아 순

자료원: 미 농업부 – Cotton World Markets and Trade: 2016년 12월


  ㅇ (단계별 생산현황) 2014년 기준으로 방적사는 10만2000t, 편물 및 제직 단계에서는 직물 2억m, 편물 5만t, 염색 및 마감 단계에서는 직물 4900만 m, 편물 1만8000t, 재단 및 재봉 단계에서는 직물 2800만 장, 편물 6300만 장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됨. 지난 3년간 연평균 8%의 경제성장률을 감안하면 이 수치에 비해 약 20~25% 가까이 성장했을 것으로 추측됨.

    - 단계별 활용률에 있어서는 기술력보다는 단순 노동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이는 방적, 재단 및 재봉의 수치가 70%를 보임. 반면 편물 및 제직, 염색 및 마감 단계에서 활용률은 45~55% 사이에 머물고 있어 완제품으로 가공되기 전 반제품 형태로 해외로 수출됐거나 혹은 낮은 숙련도와 기술력으로 인한 불량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해석할 수 있음.


  ㅇ (단계별 기업현황) 방적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수는 10개사 내외인 가운데 가정용 직물, 직물전문생산, 염색 및 나염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수도 17개사 내외에 불과해 현지에서 조달 가능한 원자재의 공급이 원활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임. 유니폼, 정장, 기성복, OEM 브랜드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봉제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함. 외국 기업들의 경우 안정적 인프라 제공이 보장된 국영공단에 진출함.

    - 이외에 방적에서 염색, 마감까지 처리할 수 있는 준 통합형 봉제기업은 20개사 내외에 달하는 가운데 모든 과정을 처리할 수 있는 통합형 봉제기업도 10개사에 달하는 등 에티오피아의 빈약한 제조업 실정에 비해 섬유-의류산업은 일정 규모와 형태를 갖춘 것으로 분석됨.


  ㅇ (내수 및 수출현황) 최종 생산된 의류는 내수용과 수출용으로 구분되며 대다수의 기업의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상황으로 내수보다는 수출의 비중이 큼. 실제로 내수의 경우 공급도 부족한 측면이 있겠으나 중고 및 밀수 의류가 내수시장으로 공급되는 것을 볼 때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됨.

    - 수출의 경우 중저가 글로벌 브랜드에서부터 기능성 의류까지 다양한 제품들로 구성. 에티오피아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하는 기업은 독일(75%)로 독일과 일부 유럽산 브랜드가 에티오피아 봉제공장에서 OEM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추측 가능


□ 에티오피아의 순면(Clint Cotton) 생산현황 및 주요 지역


  ㅇ (재배 및 생산현황) 에티오피아 섬유산업연구원(ETIDI)이 조사한 최근 5년간 면화 재배면적 및 순면 생산량은 매년 큰 폭으로 변동. 2013~2014년간 재배 면적은 5만7000헥타르였음에도 불구하고 순면 생산량은 2만8000톤에 그쳤으나 다음 해인 2014~2015년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72% 증가한 9만8000헥타르에 순면 생산량도 43% 증가한 4만 톤을 기록

    - 생산량이 급격히 변동하는 주요 원인은 매년 섬유-의류업계의 순면 수요 변동에 의한 것으로 에티오피아 섬유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일부 조면 공장에서는 수요가 감소하는 해의 경우에는 공장 가동률이 50%에 머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음.

    - 엘니뇨 현상과 장기간의 우기로 인한 불규칙한 면화 수확량의 변화도 이러한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이 밖에 공장운영 자금부족, 조면 공장의 전력공급 부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는 외국기업의 섬유-의류산업 투자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


 최근 5년간 에티오피아의 면화 재배면적 및 순면 생산량

(단위: ha, t)

‘13~’14년

‘14~’15년

‘15~’16년

‘16~’17년

‘17~’18년

면화 재배면적

57,000

98,000

65,000

82,000

60,000

순면 생산량

28,000

40,000

38,000

45,000

38,000

자료원: 에티오피아 섬유산업연구원(ETIDI)


  ㅇ (주요 생산지역 분포) 에티오피아의 중심에 위치한 아디스아바바를 기준으로 서북 지역, 남동 지역에 면화 재배지역이 밀집한 가운데 동북 지역 일부와 남서 지역 일부에서도 면화를 재배 중

    - 조면 생산공장의 경우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 오로미아(Oromia), 암하라(Amhara) 주에 밀집된 가운데 티그라이(Tigray)주의 메켈레(Mekelle) 공단과 인접한 북부 곤다르(Gonder) 지역과 콤볼차(Kombolcha) 공단에 인접한 남부 곤다르(Goner)에 밀집된 것으로 나타남.  

    - 2018년 6월 기준으로 가동 중인 공단은 볼레레미 1(Bole-lemi 1), 하와사(Hawassa), 콤볼차(Kombolcha), 메켈레(Mekelle) 공단 등 총 4개 공단이며 에티오피아 공단개발공사(IPDC – Industrial Park Development Corp.)는 금년 말까지 모든 공단을 가동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나 실제로는 볼레레미 2(Bole-lemi II), 킬린토(Kilinto) 공단 등이 공사 완료가 확실시 됨. 나머지 바히다르(Bahir Dar), 데브레 비르한(Debre Birhan), 짐마(Jimma), 디레다와(Dire Dawa), 아다마(Adama), 소말리(Somali) 공단의 경우 내년이나 내후년까지 건설공사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됨.


 에티오피아의 면화 재배지역, 조면 공장 및 공단 배치도

자료원: 에티오피아 섬유산업연구원(ETIDI)


□ 에티오피아 의류-섬유산업 수출입동향(HS 50~63 단위를 중심으로)


  ㅇ (수출) 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의 최근 3년간 통계를 바탕으로 HS Code 50~63 중 코드별 하부 제품의 수출실적을 집계해 USD 100만 이상을 상회하는 유의미한 품목을 조사함. 조사 결과 HS 52(방적사), HS 54(인조 필라멘트, 인조방직용 섬유재료), HS 61(남성, 여성, 아동 의류 – 편물 포함), HS 62(남성, 여성, 아동 의류 – 편물 제외), HS 63(방직용 섬유제품- 수건, 침구류 등)만 수출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남.

    - 최근 3년간 수출실적은 '16년 국가 비상사태 선포의 여파로 인해 외국기업으로부터의 주문 감소 영향으로 인해 전년 대비 19% 감소한 75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17년에는 비상사태 해제 및 8% 대의 경제성장 전망 등의 호조요인으로 인해 전년 대비 33% 증가한 9950만 달러를 기록

    - ‘17년 주요 수출대상국에서는 원자재에 속하는 방적사와 인조 방직용 섬유재료의 경우 봉제기업들이 대거 진출한 터키, 인도네시아, 중국 등으로 주로 수출. 반면 완제품 의류는 미국의 AGOA(Africa Growth Opportunity Act), 유럽의 EBA(Everything But Arms) 특혜를 활용해 미국과 독일로 75% 이상 수출


 최근 3년간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 수출현황

(단위: USD 백만)

HS Code

품목설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7년 주요수출국

52

방적사

18.0

11.0

19.7

터키, 인도네시아

54

인조 필라멘트, 인조방직용 섬유재료

2.0

3.0

4.8

이란, 터키

61

남성, 여성, 아동용 의류(편물 포함)

39.0

32.0

41.0

독일, 미국

62

남성, 여성, 아동용 의류(편물 제외)

26.0

20.0

27.0

미국, 독일

63

방직용 섬유제품 수건, 침구류 등

7.0

9.0

7.0

이탈리아, 독일

합계

92.0

75.0

99.5

자료원: 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 ERCA


  ㅇ (수입) HS 50~63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HS 50을 제외하고는 모든 품목군에서 100만 달러 이상을 수입했으며 총 수입액은 2017년 기준으로 약 6억2000만 달러에 달해 수출과 수입의 불균형이 매우 심각

    - 에티오피아는 면화재배 및 순면 생산이 가능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수입의 비중이 월등히 높다는 점은 수요-공급 차원에서 본다면 수요 대비 국내에서의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거나 국내 생산제품의 대다수가 수출용이기 때문

    - 품질이나 가격 차원에서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에 비해 중국, 터키 등지에서 수입되는 중고제품이나 밀수를 통해 들여오는 제품의 경쟁력이 더 높기 때문인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함. 약 6억2000만 달러의 총 수입실적에서 남성, 여성, 아동용 완제품 의류(편물포함 및 제외)의 수입이 3억3000만 달러(54%)에 달하는 것을 볼 때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내수시장 공급확대 및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품질 및 가격경쟁력 제고가 시급

    - 주요 수입대상국에서는 인도, 태국, 터키, 방글라데시, 중국을 꼽을 수 있으나 중국과 인도가 전체 수입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대량 저가제품을 위주로 수입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추측됨.


 최근 3년간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 수출현황

(단위: USD 백만)

HS Code

품목설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7년 주요수입국

51

동물의 털로 만든 실과 직물

6.0

7.0

5.0

중국, 인도

52

방적사

3.0

4.0

7.0

중국, 인도

53

방직용 섬유, 종이실, 종이실 직물

1.0

3.0

2.0

중국, 파키스탄

54

인조 필라멘트, 인조방직용 섬유재료

126.0

132.0

123.0

중국, 인도

55

인조 스테이플 섬유

39.0

36.0

31.0

중국, 인도네시아

56

워딩(wadding)·펠트(felt)·부직포, 특수사, 끈·배의 밧줄(cordage)·로프·케이블제품

52.0

10.0

8.0

중국, 이탈리아

57

양탄자류, 방직용 섬유로 만든 바닥깔개

7.0

6.0

8.0

중국, 인도네시아

58

특수직물, 터프트(tuft) 직물, 레이스, 태피 스트리(tapestry), 트리밍(trimming), 자수천

7.0

7.0

7.0

중국, 인도

59

침투·도포·피복하거나 적층한 방직용 섬유의 직물, 공업용인 방직용 섬유제품

8.0

9.0

8.0

중국, 베트남

60

메리야스 편물 및 뜨개질 편물

6.0

7.0

7.0

중국, 인도

61

남성, 여성, 아동용 의류(편물 포함)

97.0

94.0

119.0

중국, 터키

62

남성, 여성, 아동용 의류(편물 제외)

225.0

239.0

212.0

중국, 태국

63

방직용 섬유제품 수건, 침구류 등

82.0

52.0

80.0

중국, 인도

합계

659.0

606.0

617.0

자료원: 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 ERCA


□ 에티오피아 의류-섬유산업 주요 기업현황

 

  ㅇ 에티오피아 섬유산업협회(ETGAMA)로부터 입수한 섬유-의류 기업은 총 65개사이나 협회에 등록되지 않은 중소규모 기업까지 포함할 경우 약 100개사 이상을 상회할 것으로 추측됨.

    - 기업별 생산능력이나 수출입현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는 불가해 관심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주요 생산제품 및 투자진출 시 원자재 공급 가능여부 등에 대해서는 직접 확인해야 할 것임.(기업 리스트는 첨부 1 참조 요망).


2.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외국인 투자현황

 

□ 연도별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규모


연도별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실적

(단위: USD 백만, 명)

연도

프로젝트 수

투자자본금

정규직원

비정규직원

1992

1

0.1

182

0

2001

3

2.0

991

20

2003

2

1.0

180

20

2004

5

0.5

285

110

2005

8

10.0

1,603

195

2006

14

9.0

3,713

1,975

2007

10

2.0

539

163

2008

11

10.0

2,278

427

2009

8

137.0

7,481

310

2010

8

50.0

1,440

1,660

2011

5

53.0

185

540

2012

9

12.0

724

81

2013

10

11.0

2,521

424

2014

18

27.0

15,989

273

2015

15

20.0

1,701

101

2016

22

36.0

8,267

464

2017

5

5.0

4,689

370

합계

154

386.0

57,768

7,133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 – EIC(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ㅇ ‘92~‘17년까지 누적 기준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분야의 투자유치 실적은 USD3억8600만으로 해당 기간 에티오피아의 전체 투자유치 실적인 USD41억7000만에서는 9.3%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에티오피아의 주요 산업으로서 큰 비중 차지

 

  ㅇ 프로젝트는 154개에 달하고 있으며 프로젝트당 평균 투자규모는 250만 달러 내외. 연도별 투자유치 실적에서는 ‘08년부터USD1000만에 불과했음. ‘09년에는 중국, 터키의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USD1억3700만을 기록함. 전년 대비 13배 이상 급증해 시작하면서 대에티오피아 투자열기가 한층 달아올랐음.

 

  ㅇ 에티오피아의 지속되는 종족간 갈등으로 촉발된 불안한 정세로 10년을 기점으로 USD1억1000~USD5억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함. 국내 정세 불안이 최고조에 달한 14년부터 16 10 선포된 국가 비상사태의 여파로 인해 17년에는 섬유-의류 투자유치 규모는 USD500만의 초라한 성적을 기록하기도 .

 

□ 연도별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의 전체 투자유치 실적 내 비중


에티오피아 전체 투자유치 대비  섬유-의류산업 비중

(단위: USD 백만, %)

연도

총 투자유치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섬유-의류산업 투자 비중

증감률

2013

365

11

3.0

-

2014

188

27

14.4

145.5

2015

253

20

7.9

-25.9

2016

122

36

29.5

80.0

2017

322

5

1.6

-86.1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 – EIC(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ㅇ 최근 5년간 에티오피아의 연도별 투자유치에서 섬유-의류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30%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함. 연도별 투자유치 증가율도 2014년에는 145% 증가, 2015년에는 약 26% 감소하는 등 매우 불규칙적

 

  ㅇ 통상 정상적인 꾸준한 투자유치가 실현될 경우 전년 대비 5~10%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것이 보통이나 주요 투자대상 지역인 Oromia(오리미아)주-Somalia(소말리아)주간 지속되는 종족 및 영토분쟁(현재까지도 두 주간의 분쟁은 진행형), 2016년 10월 국가 비상사태 선포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 위축 등의 대형 악재로 인해 널뛰기 투자가 반복될 수 밖에 없는 상황

 

  ㅇ ‘18년 2월 Haliemariam Desalegn 전 총리의 급작스런 사임 이후 국가 비상사태가 선포됨에 따라 에티오피아 투자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이 팽배했으나 ‘18년 4월 Abiy Ahmed 신임 총리가 취임한 이후부터 에티오피아 정국이 대체로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음.

 

  ㅇ Abiy Ahmed 총리는 취임 직후부터 국내 주요도시를 방문해 민심달래기 행보를 시작으로 소말리아, 지부티, 에리트레아 등 인근국 순방을 통한 대외관계 개선에 주력하는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 UAE로부터 USD30억 상당의 대규모 투자자금 유치 등 취임 직후부터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면서 에티오피아의 대외 신인도 향상에 기여

  ㅇ 지난 6월 미국의 통상사절단을 유치하면서 민간 분야의 투자유치 확대에도 열을 올리는 적극적인 모습을 통해 외국인 투자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이러한 최근 상황을 볼 때 향후 섬유-의류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특별한 악재가 없는 한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국가별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실적


국가별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실적

(단위: USD 백만, %)

순위

투자국

프로젝트

투자자본금

비중

정규직원

비정규직원

1

터키

14

156

40.4

10,453

1,730

2

터키-에티오피아 합작

8

84

21.8

1,176

203

3

중국

56

28

7.3

8,063

814

4

중국-에티오피아 합작

12

25

6.5

2,360

648

5

인도

13

19

4.9

11,742

335

6

홍콩·UAE 합작

1

16

4.1

570

0

7

사우디아라비아

3

11

2.8

1,961

0

8

인도·네덜란드 합작

1

10

2.6

761

0

9

한국

4

9

2.3

5,247

146

10

··에티오피아 합작

1

8

2.1

285

1,500

11

기타

79

20

5.2

10,150

1,757

총계

154

386

 

57,768

7,133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 – EIC(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ㅇ 국가별 실적에서는 과거 오랜기간 에티오피아에 투자진출한 터키(에티오피아 합작 포함)가 USD2억4000만(6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중국(에티오피아 합작 포함)이 USD5300만(13.8%)으로 2위 투자국임.

 

  ㅇ 터키의 경우 불안한 경제사정과 투자 신고 대비 실제 투자 이행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는 중국과 인도의 비중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 금년 중 완공될 일부 국영 산업공단의 부지를 중국과 인도 기업들이 입도선매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향후 2~3년내 이들의 투자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현지 업계에서 전망 

 

  ㅇ 세계은행(WB)에서 조사한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현황에 따르면 ‘12~’16년간 투자진출 후 공장을 가동 중에 있는 외투 기업은 72개사임. 이 중 41개사(57%)는 중국의 단독투자 혹은 에티오피아 및 기타 국가들과의 합작투자로 매우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짐. 뒤를 이어서는 합작투자를 포함해 터키(9개사), 인도(7개사), 한국(2개사), 파키스탄(2개사) 순이며 나머지 국가들은 1개사 내외(기업 리스트는 첨부 2 참조 요망) 

  

  ㅇ 한국은 ‘92년부터 에티오피아 투자를 시작한 이래 실질적으로 제조업 투자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시점은 ‘14년부터이며 제조업 중에서도 섬유-의류산업은 대에티오피아 투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한국으로부터의 투자(합작 포함) 금액은 USD1600만(4.4%)에 불과한 상황이나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한국 섬유기업들의 집중 진출한 동남아 지역의 인건비 상승 압박이 날로 커지면서 에티오피아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투자진출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 상황

 

  ㅇ 한국을 포함한 투자진출 기업들의 대다수가 저렴한 인건비(통상 USD100 이하)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투자했으나 내륙국가라는 에티오피아의 단점으로 인해 지부티(Djibouti)를 통해 수출할 수 밖에 없는 상황

  

  ㅇ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가 본격적으로 운행되면(현재 에티오피아 철도공사는 100% 가동 중에 있다고 홍보하고 있으나 물류철도의 경우 비정기적, 간헐적으로 운행 중) 물류비에 대한 부담이 대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 중국, 인도 기업들과 더불어 글로벌 OEM들이 대거 진출한 이후 에티오피아에 진출하게 되면 후발주자로서 부담해야 할 투자비용과 시간적 손실이 크기 때문에 현재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 미래의 수출전선기지로서 에티오피아의 성장 가능성에 큰 기대를 걸고 있음.


□ 에티오피아 주요지역별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실적


주요지역별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실적

(USD 백만, %)

연번

지역명

프로젝트

투자자본금

비중

정규직원 

비정규직원

1

Oromia(오로미아)

58

208

53.9

19,162

2,689

3

Addis Ababa(아디스아바바)

65

46

11.9

12,698

3,754

4

Dire Dawa(디레다와)

1

40

10.4

800

 

5

SNNPR(SNNPR)

13

29

7.5

5,705

283

6

Tigray(티그라이)

5

12

3.1

12,509

0

7

Amhara(암하라)

3

4

1.0

1,065

17

2

기타 전 지역

9

47

12.2

829

390

합계

154

386

52,768

52,768

7,133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 – EIC(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ㅇ 지역별 실적에서는 행정수도이자 상업 중심지인 아디스아바바 인근의 Oromia(오로미아)주가 USD2억800만(54%)으로 가장 큰 가운데 Addis Ababa(아디스아바바), Dire Dawa(디레다와) 등 가능한 교통과 물류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투자됨. 투자기업들 대다수가 수출제품을 생산해 제품 납기일 결정 시 공장으로부터 지부티항까지 연결되는 도로 및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노선까지 연결되는 도로사정을 우선적으로 고려

 

  ㅇ 오로미아주의 경우 과거부터 투자를 시작한 터키 업체들이 에티오피아 기업들과의 합작을 통해 국영공단 외 지역에 투자한 것으로 추정. 아디스아바바의 경우 Bole-Lemi 1(볼레레미 1) 국영공단을 중심으로 투자진출한 경우가 대다수

 

  ㅇ Tigray(티그라이)주의 경우에도 Mekelle(메켈레) 공단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Amhara(암하라)주도 17 가동된 Kombolcha(콤볼챠) 공단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 증가

 

□ 한국의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규모


한국(합작 포함) 대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 실적

(단위: USD 백만, 명)

연번

투자국

프로젝트 수

투자자본금

정규직원

비정규직원

1

한국(단독투자)

4

9

5,247

146

2

한국·수단 합작

1

1

150

50

3

한국·미국 합작

1

1

1,475

20

4

한국·미국·에티오피아 합작

1

8

285

1,500

합계

7

19

7,157

1,716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 – EIC(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ㅇ 에티오피아 투자청(EIC – 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에서 1992년부터 집계한 한국의 섬유-의류산업 투자(합작 포함)는 에티오피아 전체 섬유-의류산업 투자유치 실적에서 금액기준으로는 약 5%를 차지하고 있으며, 7개 프로젝트에 USD1900만을 투자함. 이 중에서도 한국으로부터의 단독투자 비중은 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ㅇ 진출기업의 대다수는 OEM 제품생산 및 수출을 목적으로 투자했으며 단독투자의 경우 투자규모에 걸맞게 정규직원 수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 단독 투자는 '92년도부터 시작했으나 일정 규모 이상으로 투자가 이뤄진 시점은 ‘14년부터임.

 

  ㅇ 에티오피아 투자진출 이후 현지 기업에 이전하거나 혹은 폐업한 기업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현재 가동 중에 있는 우리 기업은 4~5개사 내외이며 대다수 업체들은 Addis Ababa(아디스아바바)에 소재하고 있으며 국영공단인 Bole-Lemi 1에 입주했음. 최근 일부 기업으로부터 국영공단 외 지역에 투자가 가능한지 또한 이러할 경우 투자부지를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의가 있긴 했으나 전력, 도로, 산업용수, 투자 및 공장 운영 관련 행정처리 등 다방면에서 매우 열악한 에티오피아의 상황을 감안하면 현재 상황에서는 국영공단 입주가 가장 바람직


3.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진출 가능 국영 산업공단현황

 

  ㅇ 2010년부터 시작된 에티오피아 5개년 경제개발 계획(GTP I – Growth and Transformation Plan I)에 따라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티오피아 전역에 걸쳐 국영 산업공단 개발을 본격 추진함. 국영 산업공단의 개발과 관리는 에티오피아 산업단지개발공사(IPDC – Industrial Park Development Corporation : www.ipdc.gov.et)가 담당

 

  ㅇ 총 15개 산업공단을 건설할 예정인 가운데 현재 가동 중에 있는 산업공단으로는 Bole-Lemi1(볼레레미 1), Hawassa(하와사), Mekelle(메켈레), Kombolcha(콤볼챠) 4개 공단이며 이들 공단들은 섬유-의류기업 유치가 주 목적임. 이들 공단도 공사가 완료된 상황은 아니며 1단계 공사를 완료해 기업들을 유치하는 한편 나머지 단계의 공사도 진행 

 

  ㅇ 현재 건설에 착수한 산업공단은 6개 공단으로 에티오피아 정부는 당초 6개 공단에 대한 공사를 ‘18년까지 완료하고 곧바로 가동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나 현재 공사 진척사항으로 볼 때 명목적으로는 가동 중이라고 발표하더라도 실제 입주 가능한 시기는 빠르면 ‘191분기 혹은 ‘192분기가 될 가능성이 높음.


섬유-의류 관련 에티오피아의 국영 산업공단현황

(단위: km, ha)

연번

공단명

지역

아디스~

공단

지부티~

공단

현 단계

공단개발

재원

시공사

면적

1

Bole Lemi

Industrial Park I

Addis Ababa

-

860

가동 중

에* 정부, WB 

에* 건설사

157

2

Hawassa

Industrial Park

SNNPR

275

998

가동 중

에 정부, WB

CCECC

(중국)

400

 (1단계 130)

3

Mekelle

Industrials park

Tigray

760

750

가동 중

에 정부, WB 

CCECC

(중국)

1000

(1단계 75)

4

Kombolcha

Industrial Park

Amhara

363

480

가동 중

에 정부, 인도정부 

CCECC

(중국)

750

(1단계 75)

5

Jimma

Industrial Park

Oromia

346

1200

건설 중

에 정부

CCCC

(중국)

1000

(1단계 75)

6

Bole Lemi

Industrial Park 2

Addis Ababa

-

860

건설 중

에 정부, WB 

CCCC

(중국)

186

7

Bahir Dar

Industrial Park

Amhara

578

985

건설 중

에 정부

-

1000

(1단계 75)

8

Adama

Industrial Park

Oromia

74

678

건설 중

에 정부

CCECC

(중국)

2000

(1단계 100)

9

Dire Dawa

Industrial Park

Eastern Ethiopia

473

380

건설 중

에 정부

CCECC

(중국)

1500

(1단계 150)

주*: 에티오티아

자료원: 에티오피아 산업공단개발공사 – IPDC


  ㅇ 현재 가동 중인 공단에 입주한 기업현황은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나 70~80% 이상은 중국, 터키, 인도에서 투자한 기업들일 것으로 추정.

    - 공단 입주 시 동남아의 경우 대다수 기업들이 공단 내 부지를 분양 받으면 기반공사에서부터 공장 동 설립까지 투자기업이 직접하는 형태임. 반면 에티오피아는 공단에서 이미 지어놓은 공장동(Shade)을 임차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공단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통상적으로 s/m당 연간 임대료는 최초 입주시점부터 5년까지는 USD3을 적용하고 이후 추가 임차 시에는 USD2를 적용함.

    - 산업공단 개발재원 조달에 정부자금에만 의존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동남아와 마찬가지로 입주기업은 부지만 분양받고 기반공사에서부터 공장동까지 직접 건설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

 

  ㅇ 중국의 경우 아디스아바바로부터 1시간 거리에 소재한 중국 기업 전용단지인 동방산업단지(Eastern Industrial Zone) 건설해 섬유, 신발, 철강, 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진출함. 현재 동방산업단지도 2단계 확장공사에 착수해 더 많은 중국 기업들의 진출이 예상됨.

 

  ㅇ 산업단지 입주의 이점은 안정적인 인프라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 에티오피아의 경우 잦은 정전으로 인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산업단지 입주가 거의 필수적임.

    - 산업용수 공급, 폐기물 처리 등 기본 인프라 제공에서부터 일부 공단의 경우 에티오피아 투자청에서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해 수출입 활동에 필요한 통관, 인허가 발급, 파견 근로자 워크 퍼밋 발급지원 등 각종 행정처리에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음. 

 

  ㅇ 기업별로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제조업체의 경우 수출실적에 따라 통상 7~9년간 소득세 면제, 총 투자자본금의 15%에 해당하는 자본재 및 생산설비 부품, 공장 건자재 등에 대한 면세혜택 및 수출용 원자재에 대한 무관세 적용, 공장 근무 파견직원 및 가족에 대한 거주증 및 워크퍼밋 발급, 수출용 제품에 대한 세금면제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

    *보다 자세한 내용은 에티오피아 투자청 – 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www.investethiopia.gov.et 참조 요망

 

4. 에티오피아 섬유-의류 제품에 대한 외부 조사결과 및 의견

 

    * ‘17년 주에티오피아 네덜란드 대사관은 네덜란드 기업들의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여건 분석 및 에티오피아산 제품에 대한 글로벌 브랜드의 인식조사를 위해 조사전문기관인 SOMOMondiaal FNV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하기 내용은 설문조사 결과보고서의 일부를 발췌함.  


□ 에티오피아 섬유-의류 제조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ㅇ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기업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총 21개사가 응답했으며 이들 모두 글로벌 브랜드의 OEM 제품을 생산해 수출함. 이 중 15개사가 외투 기업, 나머지 6개사는 에티오피아 기업으로 추정되며, 일부 에티오피아 기업들 중에서는 H&M 등의 중저가 글로벌 브랜드에 납품하는 경우에서부터 주로 미국기업 및 미국 브랜드인 NBA, 월마트와 영국 브랜드인 Miss K London 등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함 

        * 한가지 주의할 점은 이 조사내용은 기업의 자발적인 응답에 따른 것이므로 진위여부에 대해서는 확인이 불가함.


기업명

주 업종

국적

생산제품

  OEM 브랜드

모기업 기준 거래 브랜드

Almeda 

 Textile PLC

Spinning, Weaving,
Knitting, CMT

에티오피아

Shirts, Polos, Trouser,
Underwear, Bed Sheet

H&M, KiK(, Siggi, Key Apparel, Edwards

좌동

Arvind

Lifestyle

Garment

인도

Garment

H&M

Tommy Hilfiger, Quicksilver,
Brooks Brothers, Silver Jeans, CK, Pull & Bear, Esprit, Mexx, Sisley, Benetton
외 다수

Ayka

Addis

Spinning, Weaving,
Knitting, CMT

터키

Shirts, Tops, Pants, Shorts,
Jackets, Pyjamas
등 다수

Tchibo(독일)

N/A

Beconnected Industrial

Printing, Labelling

벨기에·

독일

Printing, Labelling

Disney

H&M, ZARA

C&H Garment

PLC

N/A

중국

N/A

N/A

N/A

Concept Intl.

Ethiopia

Spinning, Weaving,
Knitting, CMT

에티오피아

T-shirts, Jackets, Bags

H&M

N/A

Desta PLC

Garment

에티오피아

Shoe laces, Shorts, Sport
trousers, Sport bag

NBA, Navigare, Martin's,
Uniform group, Cartoon
Network, Miss K London

N/A

ELTEX Textile

and Garment

Knitting, Dyeing,
Garment, Finishing

에티오피아

Knitted and dyed fabrics,
T-shirts and shorts

Studio Ray, Umbro, Gerrys,
Weather Proof, Miss K
London, Stanley, CANTORP

N/A

ETUR

Textile

Spinning, Weaving,
Knitting, CMT

터키

T-shirts, Sweat-pants, Tights, Polo Shirts, Hoodies

N/A

N/A

Haama

N/A

이스라엘

N/A

N/A

C&A, Marks & Spencer, Levis Strauss

Hirdaramani

Garment

N/A

스리랑카

Knitted and wooven apparel

H&M

PVH, Inditex, CK, UNIQLO,
Adidas, Hugo Boss, J Crew,
Michael Kors, Asics, Reebok, George, Eddie Bauer, Columbia, PINK, Victoria's Secret, True
Religion, Club Monaco, TU,
Lilly, OshKosh, Cotton On

jay jay Textile

N/A

에티오피아

N/A

H&M

N/A

MAA Garment

& Textile

Spinning, Weaving,
Knitting, CMT

에티오피아

Knitted and wooven products
(T-shirts, Trousers, Blouse,
Underwear, Jackets)

H&M, Edwards, Walmart,
Obermeyr, MOC, Bonghwa,
Tesco, Asda Stores

N/A

MNS

Manufacturing

Spinning, Weaving,
Knitting, CMT

터키

Hotel towels, Bath robes, Sofa Beds, Pillows

독일, 노르웨이,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터키 등

N/A

MUST Garment

N/A

홍콩

Pants, Blouses, Shorts, Jackets

N/A

Abercrombie & Fitch, American Eagle, Brandtex, C&A, Columbia, JC Penny, Macy's, Ralph Lawren, SEARS, Tommy Hilfiger, Orsay, Benetton, Walmart

Nazareth

Garment

CMT

영국·
에티오피아

Nested suits, Formal/Casual
jackets, Formal trousers

H&M

N/A

New Wide

Garment

N/A

대만

Garments

PVH

Tommy Hilfiger, CK, IZOD,
Van Heusen, Arrow, Speedo

A

N/A

한국

Workwear, Outerwear

N/A

N/A

Tai Apparel

N/A

홍콩

Shirts, Blouse, Pants, Kints,
Suits, Outerwear

N/A

Burberry, J.Crew, Nordstrom,
Patagonia, PVH

Vestis Garment

Production

N/A

N/A

N/A

H&M

N/A

yirgalem Addis

Textile

Spinning, Weaving,
Knitting, Garment

N/A

N/A

N/A

N/A

자료원: 주에티오피아 네덜란드 대사관 보고서 – Quick Scan of the linkages between the Ethiopian Garment Industry and the Dutch Market

 

ㅇ 외투 기업들의 경우 해당 외투 기업 본사에서 납품관계를 맺은 브랜드 수는 상당히 많다고 응답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에티오피아에서 생산하는 브랜드는 H&M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낮은 제품 혹은 박리다매용 노브랜드 제품이거나 혹은 대다수 기업들이 영업 비밀을 이유로 응답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됨.

 

  ㅇ 현지 의류 생산기업들을 대상으로 문의한 결과 에티오피아의 경우 숙련공의 숫자도 매우 적을 뿐더러 품질관리나 글로벌 브랜드가 해외로부터 소싱 시 요구하는 다양한 기준들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매우 단순한 제품에 국한해서 생산할 수 밖에 없는 실정임.


  ㅇ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H&M 매장을 대상으로 ‘Made in Ethiopia’ 제품이 몇 개인지 조사를 했는데 다수의 응답 기업이 H&M에 납품하고 있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찾을 수 있었던 제품은 순면 95~100% 내외의 단순 흰색 티셔츠 2개 품목, 검정색 레깅 품목 1개에 불과했음. 

 

□ 글로벌 브랜드 대상 대에티오피아 소싱 여부 조사 결과

 

  ㅇ 에티오피아로부터 현재 소싱 중이거나 뉴스 등을 통해 에티오피아로부터 소싱에 관심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글로벌 브랜드 17개사 대상 조사한 결과, 8개사의 경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없었으며 일부 응답한 기업들도 과거 한 차례 에티오피아로부터 소싱한 이후 거래를 중단했거나 소싱 가능성을 검토 했으나 기본적으로 자사의 소싱 기준에 부합하지 않았다는 등 대체로 부정적인 의견을 보임.


  ㅇ H&MTchibo(독일)의 경우 에티오피아 섬유-의류 소싱에 대한 문제점과 중점적으로 개선할 사안, 기타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에 대한 향후 발전가능성 등에 대해 언급했으며 대체로 현재 상태에서는 에티오피아로부터의 소싱을 확대하기는 어려우나 현지 기업으로부터 원자재 품질개선 및 공급 확대, 숙련인력 확충 등의 개선점이 보완될 경우 에티오피아와의 비즈니스 규모를 늘릴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도 있었음.

 

  ㅇ 응답 기업들은 OEM들의 원가 절감도 중요하나 생산성, 직원 숙련도, 생산설비의 기술수준은 물론 환경, 인권, 노동조합 등 다양한 평가기준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입장임. 에티오피아는 이들의 기준에는 향후 개선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분석      


글로벌 브랜드 대상 설문조사 결과

브랜드명

설문에 대한 주요 답변내용

H&M

H&M은 전 세계로부터 소싱을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도 소싱 대상국으로 장기적 관점에서는 H&M의 소싱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에티오피아의 경제성장에도 기여하고자 함.
2014년부터 에티오피아산 순면(Cotton)은 낮은 품질 문제로 인해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H&M은 현지 순면업체, 나아가서는 에티오피아 순면산업의 지속성장 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계획에 있음.
2017년부터 순면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를 시작해 순면 재배지 추적 및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모범이 될 수 있는 사례를 만들고자 함. 이러한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은 에티오피아산 순면을 자사의 제품에 더 많이 활용하기 위함임.
ㅇ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발전의 저해요인을 꼽는다면 높은 물류
비용, 불안정한 현지 순면공급체계직원들의 낮은 숙련도, 경영 및 재무관련 비전문성 등을 들 수 있음.

Levis Strauss

2017년 초 Levis는 동아프리카(특히 탄자니아) 지역으로부터 소싱가능성을 조사했음. 조사결과, Levis 가 신규 소싱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속한 대응 및 납기준수에 있어서 동아프리카의 지형적 위치나 인프라로는 소싱이 어렵다는 결론을 냄.

Primark
(
영국 매장)

'15년 에티오피아에 일부 기업들과 방문해 현지 생산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현지 기업 관계자들과 공장관리, 직원 숙련도, 노조활동, CSO 등과 관련된 인터뷰를 실시 후 에티오피아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Tchibo
(
독일)

ㅇ 현재 에티오피아로부터 제품을 소싱받고 있으며 소싱 이유는 아래와 같음.
    - 오랜기간 Tchibo에 제품을 공급한 Ayka Textile(터키-에티오피아 공장 운영 중)의 섬유, 의류공장 추가투자를 통한 생산시설 현대화를 약속

    - 에티오피아로부터의 소싱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 현지 사회 기여
    - 에티오피아 주요 수출품인 커피도 Tchibo의 주력 아이템
Tchibo Ayka Textile과의 거래가 유일하며 터키에서 투자한 회사이기 때문에 에티오피아 기업에 비해 믿을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현재 이 회사로부터는 니트웨어와 가정용 섬유제품을 주로 공급받고 있음.
ㅇ 제품에 사용되는 순면 중 40%가 에티오피아산 순면이며 나머지 60%
해외로 부터 유기농 순면을 수입해 사용하는데 이는 에티오피아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순면의 질이 다소 낮기 때문임. 향후 에티오피아로부터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유기농 코튼을 공급할 수 있는 에티오피아 기업과 협력 희망
ㅇ 에티오피아로부터의 소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자국항 부재, 불안정한
원자재 수급, 공장경영 및 인력관리의 비전문성, 직원들의 낮은 숙련도, 노조와의 원만한 관계형성 미숙, 공공의료 부재 및 공공교통 미흡, 효율성 제고를 위한 조직적인 시스템 부재 등을 꼽았음.

TESCO

(영국)

ㅇ 약 2년전 에티오피아의 공장에 처음으로 주문생산을 한 경험이 있으나 이후 후속 주문은 없었음. TESCO 핵심 협력업체 2곳이 현재 에티오피아로부터 소싱할 것인지를 검토하고 있으나 소싱 가능한 제품은 단순한 제품일 것으로 사료되며 TESCO 자체가 에티오피아를 중점 소싱국으로 인식하지 않음.
ㅇ 초기 주문생산 후 왜 후속주문이 없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방글라데시
등과 비교할 때 에티오피아로부터의 소싱은 가격 측면이나 납기준수 가능 여부에 있어서 TESCO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으며, 현재 상황에서는 자사의 직원이 이미 파견된 믿을만한 협력업체로부터의 소싱 확대가 더욱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피력함.

MARKS & SPENCER
(
영국)

ㅇ 에티오피아로부터 섬유-의류제품을 소싱한 적도 없을 뿐더러 향후에도 그러한 계획은 없음.

Adidas

ㅇ 에티오피아로부터 소싱은 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함. 어떤 이유로 소싱하고 있지 않은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Adidas는 신규 소싱기업 선정 시 혁신역량, 직원들의 숙련도, 생산설비의 기술수준, 수출제약 정도인권, 환경보호 등 다양한 기준을 적용해 평가하는데 에티오피아는 이 기준에 미충족

C&A

(벨기에)

ㅇ 현재 에티오피아부터 소싱하고 있지 않으며 신규 소싱 제품의 경우 소싱 대상국 혹은 소싱 업체를 대상으로 인권, 노동자 보호, 생산성, 품질 등 전반적인 사안에 대해 내부평가 기준을 거치는데 아직까지 C&A에 공급하는 업체들로부터 이에 대한 요청은 없었음.

Inditex

( 스페인)

ZARA의 모기업인 Inditex는 에티오피아로부터 소싱하고 있지 않으며 향후에도 그러한 계획은 없음.

미응답 브랜드: JC Penny(미국), Kik(독일), PVH-Phillips Van Heusen(독일 - CK, Tommy Hilfiger, Van Heusen, IZOD,  

Arrow , Speedo 브랜드 보유), Schoffel(독일), Walmart(미국), Obermayer(미국), George(영국), VF Corporation(미국 -

Timberland, North Face, Lee, Wrangler 등 브랜드 보유)

자료원: 주에티오피아 네덜란드 대사관 보고서 – Quick Scan of the linkages between the Ethiopian Garment Industry and the Dutch Market


5.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SWOT 분석 및 투자진출 관련 종합의견

 

□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SWOT 분석


강점(Strength)

- 풍부한 순면 공급 가능

- 에티오피아 정부의 우선 육성희망 산업

- 풍부한 노동력과 저렴한 인건비

- 산업공단 등 투자진출 가능 지역 개발 확대

- 수출기업 대상 면세 및 과세유예

- 저렴한 산업용 전기, 용수 및 각종지원 확대

약점(Weakness)

- 직원 숙련도 미흡, 충분한 숙련공 확보 애로

- 기대수준 이하의 현지 원자재 품질

- 낮은 생산성, 불량률 개선 미흡

- 공장운영 및 재무관리 등 선진 시스템 부재

- 글로벌 OEM의 관심유도 미흡

- 섬유-의류산업에 특화된 투자 인센티브 부재

기회(Opportunities)

- 미국(AGOA), 유럽(EBA) 활용 시장진출 확대

- 개발은행을 통한 투자 자본금 대출 지원

- 물류여건 개선(아디스-지부티 철도 운행)

- 동남아의 인건비 상승 압박에 따른 관심 증대

- 인구 1억 명의 내수시장 성장 가능성 고조

- 아프리카, 유럽, 중동 시장과 인접

위협(Challenge)

- 불안정한 인프라로 인한 생산활동 저해

- 내륙국, 자국항 부재로 높은 물류비와 적기 납품 차질 발생 가능

- 후진적 행정시스템으로 인한 행정처리 지연

- 종족간 영토분쟁 등 정치적 불안요인 상존

- 중앙-지방정부간 모호한 권한영역 및 자의적인 행정 해석


□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투자진출 관련 종합의견

 

  ㅇ (최근 동향)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은 인건비 상승 압박으로 인근의 미얀마라오스 등지로의 이전을 고려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동아프리카 특히 에티오피아 진출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것이 사실임.

    - 동남아 국가들은 매년 정부에서 결정하는 급지별 최저임금으로 인해 현지 기업은 물론 특히 외투 기업도 이에 비례해 급여를 인상해야 하므로 현장에서 체감하는 인건비 상승 압박은 날로 거세지고 있음.

    - 일정 수준의 경제규모에 도달한 동남아 국가들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에서 탈피해 전기, 전자, 기계, 자동차 등 경공업과 중공업 투자유치 확대를 통한 체질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 노동집약적 산업 투자 시에는 주요 도심으로부터 원거리에 소재한 낙후지역을 위주로만 부지확보가 가능해 갈수록 노동집약적 산업이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음. 

    -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의 경우 2년 전만 해도 월 1건 내외의 투자진출 문의가 있었던 반면 최근 들어 월 3~4건 가량의 문의가 접수되고 있으며 KOTRA를 통하지 않더라도 에티오피아에 기진출한 한국 기업 혹은 타국 기업을 통해 현지 투자여건에 대한 기초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감지됨.   

 

  ㅇ 에티오피아 투자진출을 고려하는 대다수 기업들은 에티오피아 생산직 직원의 월평균 급여가 USD50~70사이라는 점을 크게 주목하고 있음.

    - 비용절감에 있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나 현장의 공통된 의견은 인건비 절감을 상쇄하는 물류비와 각종 Hidden Cost를 주목해야 하는 것임.

    - 지부티(Djibouti)항에서부터 아디스아바바까지 40ft 컨테이너 기준 트럭 운송료는 USD1500~2000 내외임. 많은 수출기업들이 물류비 절감을 위해 지켜보고 있는 아디스아바바-지부티간 경전철(Addis-Djibouti Railway) 물류운송도 작년부터 개통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현재 운행 중인지를 알거나 혹은 이를 사용했다는 기업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 본격적인 운행 시점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는 상황

    - OEM의 경우 납기준수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배송 스케줄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항공물류 등을 이용하게 된다면 그만큼의 손해도 감수해야 함. 내부의 문제보다는 수입 원부자재 통관 및 배송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 폭우로 인한 도로유실, 지방 종족간 갈등으로 인한 심야운행 금지, 행정당국의 늑장 행정처리 등 다양한 외생변수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 보통임. 이를 비용으로 환산한다면 인건비 절감분을 상쇄할 수도 있으며 오히려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음.

 

  ㅇ 과거 동남아 진출 초기에 겪었던 경험에 비추어 초기에는 이익을 내는 것이 힘들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음.

    - 해당 건에 대해서는 다소 원론적인 의견이나 동남아의 체계를 바탕으로 현지의 문화와 사고체계, 근로 특성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관리체계가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완과 개선이 필수적일 것

    - 정교(Orthodox)와 회교(Muslim)가 공존하는 에티오피아의 종교적 다양성과 가치체계, 법 체계의 넓은 틈새로 인한 자의적인 행정조치, 한국 기업들이 예측 혹은 통제하기 어려운 수준의 외부 위협요인 등을 감안한다면 동남아에 비해서 보다 치밀한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 예측 불가능한 돌발상황이나 문제 발생 시 이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 유연한 대처능력이 절실함.

 

ㅇ 중국, 인도를 위시로 한 에티오피아 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후발주자로 에티오피아 투자진출에 대한 비용 증가가 우려되는 반면 섣부른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우려해 망설일 수 있음. 

    - 투자진출에 관심을 보이는 기업일수록 일정 수준으로 투자여건이 조성될 때까지 시장을 관망하는 것도 어렵지만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이 겪는 애로와 여러 채널을 통해 입수된 부정적인 소문들로 인해 에티오피아 투자진출을 선뜻 결정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많음.

    - 4~5년 내 인건비 상승으로 중남미 혹은 아프리카로의 투자진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최악의 경우 투자를 철회해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해 최소투자를 통한 단순 제품을 위주로 한 테스트 생산으로 투자 리스크를 낮추는 것이 좋음. 한편으론 테스트 생산 기간 중 발생하는 경영, 노무재무 등 주요 사안에 대한 경험 축적을 통해 향후 대규모 투자에 대비한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

    - 에티오피아 투자청에 따르면 일부 외국기업들의 경우 매우 기초적인 제조설비를 구비해 소규모 인원의 채용을 통해 시범적으로 공장을 가동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함. 

 

  ㅇ (중장기적으로 바라본 에티오피아 투자) 아직까지 글로벌 OEM들의 에티오피아 중장기 투자계획이나 관심 여부는 검증되지 않은 소문만 무성할 뿐 실제로 언제 얼마만큼 투자될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음. 

    -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제고라는 당면과제를 놓고 볼 때 대다수 기업들의 주력 생산기지인 동남아의 인건비 상승압박을 계속 버텨내는 것도 쉽지 않을 뿐더러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 전자, 기계산업으로의 인력이동으로 인한 적정 수준의 노동력 확보에서도 섬유-의류산업이 앞으로 직면하게 될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음.

    - 에티오피아에 공격적으로 진출해 현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중국, 터키, 인도 기업들과의 향후 경쟁에서도 후발주자로 시장에 진입하는데 따른 시간, 비용증가 및 기타 투자진출 제반여건에 있어서도 후발주자로서 감내해야 하는 일정 손실이 발생할 것. 이를 감안한다면 당장의 투자는 아니더라도 지금부터 에티오피아 투자진출에 대한 관심가질 필요가 있음. 

    - 에티오피아는 지난 4Abiy Ahmed 총리가 취임한 이후 경제성장이 다시금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음.

    - 한때 에티오피아의 영토였던 에리트레아와는 ‘18년 7월부터 양국 대사관 재개설, 항공노선 재개, 에리트레아의 수도인 아스마라를 거쳐 Assab항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을 재정비해 지부티에만 의존하던 교역통로를 확대하는 등 동아프리카 제조업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

    - 에티오피아의 인권 문제로 과거에는 다소 거리를 두었던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Abiy 총리 취임 이후 지난 6 미국 통상사절단의 에티오피아 방문을 통해 양국간 경제협력이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함. 행사를 주관한 에티오피아 주재 미국 상무부에 확인한 결과 통상사절단 참가기업들 대다수가 Abiy 총리의 경제개혁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동아프리카 투자 가능성을 발견한 것을 매우 고무적으로 평가함.  

    - 다만 내외부의 전반적인 호평가는 에티오피아 투자진출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 중의 하나일 뿐 투자진출 여건개선 및 기회 확대 등으로 확대 해석에 대한 주의가 요구

    - 실무적인 차원에서 에티오피아 투자진출을 냉정하게 평가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인건비 절감효과를 극대화하고 안정적인 생산체계 구축에 주력해야 함. 한편 장기적으로는 H&M이 추구하는 바와 같이 에티오피아 현지에서 직접 조달할 수 있는 순면가죽, 기타 원자재의 소싱 비율 확대를 통해 세계 시장진출 확대를 위한 경쟁력 제고가 핵심

    - 현재 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는 순면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은 낮은 품질로 실제로 사용량이 매우 한정된 것. 순면과 마찬가지로 동물가죽 역시 전 세계 2위의 가축 보유량을 기록하나 가죽제품을 생산하는 외투 기업들도 현재는 낮은 품질로 인해 원부자재를 해외로부터 공급받는 실정   

    - 장기적으로는 경쟁력 있는 현지 순면재배 농가와 방적사 제조업체를 발굴하고 이들에 대한 전략적 지원과 육성을 통해 안정적인 원부자재 공급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투자진출 시 장기적으로 고려하고 추진해야 할 핵심 과제



자료원: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동향 및 투자진출 여건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