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샴푸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8-06-25
  • 출처 : KOTRA

- 수입 샴푸기능성 샴푸에 대한 수요 증가 -

- 온라인 시장 급성장, 차별화 전략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샴푸(HS Code 3305.10)

 

샴푸 관세율 및 증치세율

HS Code

상품명

2018년 한-중 FTA

최혜국

증치세율

3305.10

샴푸(洗发剂)

4.68%

3%

17%

자료원: 중국 해관세칙, 국무원, 한중FTA양허표

 

  ㅇ 샴푸의 한- FTA협정세율은 2018년 기준 4.68%. 양허유형은 PR-35로 기준관세(6.5%) 35% 5단계로 일정하게 인하해 발효 5년차부터 기준관세의 65%를 유지함.

    - 샴푸의 기존 최혜국 관세율은 6.5%였으나, 2018 5 31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새로운 최혜국 세율을 발표하며 3%로 낮아짐. 해당 최혜국 세율은 2018 7 1일부터 적용됨.

    - 따라서, 2018년 7월 1일부터는 한중 FTA 세율보다는 최혜국 세율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함.

 

선정사유

 

  ㅇ 중국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및 소비능력 제고에 따라 샴푸 제품에 대한 요구도 더욱 다변화됨. 기존에는 청결 기능에만 관심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보호, 영양 등 기능성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을 갖춘 수입 샴푸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임.

    - 특히 국경 간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중국 소비자에게 수입 샴푸가 더 이상 구하기 어려운 제품이 아닌 친숙한 일용화학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수요는 더욱 확대 추세임.

 

  ㅇ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샴푸는 총 6116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8.8% 증가함.

    - 중국 소비자는 한국의 실리콘유 무첨가, 식물성 샴푸 등 제품에 대해 일정 수준의 인지도와 선호를 가지고 있음. 따라서 한국 샴푸 수입은 지속 증가할 전망임.

 

시장동향

 

  ㅇ 샴푸는 일종 생활소비재로서 그 수요는 사회의 경제수준 및 소비자의 소비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

    - 2013~2017년 중국 국내 일용화학제품 산업의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소비자의 샴푸 수요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여옴. 이에 따라 샴푸의 판매량 역시 빠르게 증가함. 2013년 중국 시장의 샴푸 판매 규모는 44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 성장했고, 2017년에는 판매규모가 57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 성장함.

 

중국 샴푸산업 시장규모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ㅇ 최근 중국 샴푸산업은 기존의 전통적인 오프라인 판매 방식에서 점차 '온라인+오프라인' 결합 판매 방식으로 변화함.

    - 샴푸의 유통은 오프라인 대형마트, 백화점, 일용화학품 전문매장 등이 있고 온라인으로는 브랜드 전문점, 플래그숍 등에서 이뤄짐. 그 외에 샴푸 생산기업의 각급 딜러 역시 여전히 샴푸 유통의 주요 채널임.

 

  ㅇ 샴푸 산업 전체적으로 봤을 때, 현재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태이며 이런 상태는 앞으로 장기간 지속될 것임.

    - 몇 년간의 빠른 발전을 거쳐오며 유명 외국계 기업과 중국 기업들이 이미 대부분 시장을 점유했고, 샴푸시장의 주요 기능성에 따른 세분화도 기본적으로 완성된 상태임. 또한 상품의 품질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차이가 크지 않음.

    - 따라서 수입 제품은 중국 시장에서 자신만의 특수한 기능과 품질로 차별화 전략을 펼쳐야 경쟁이 치열한 중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임.

 

주요 경쟁기업

 

  ㅇ 샴푸시장에서의 경쟁은 이미 브랜드, 광고, 유통, 할인판촉 등 다방면에서 매우 치열함.

    - 광고, 매체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고, 판촉은 더욱 다양해짐. 단일한 광고, 브랜드 경쟁을 하는 방식은 이미 지나갔으며 기업들은 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중소도시에서 농촌지역까지 지역에 따라 다른 광고와 브랜드를 내세우며 경쟁하는 추세임.

 

  ㅇ 징동(JD) 통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시장에서 비교적 인기가 있는 수입 샴푸 브랜드로는 로레알, 슈바르츠코프, , 시세이도 등이 있음.

 

중국 인기 수입 샴푸 브랜드

브랜드

국가

주요 제품

프랑스

수분케어샴푸, 염색.퍼머손상케어샴푸, 모발용에센셜오일, 비듬방지샴푸 등

독일

엑스트라케어 8가지 에센셜오일샴푸, 영양샴푸, 퓨어&프로텍트샴푸, 비타민샴푸 등

한국

손상윤기케어샴푸, 두피딥클린징샴푸, 고영양케어샴푸, 두피비듬케어샴푸 등

일본

AQUAIR 샴푸, TSUBAKI 샴푸 등

한국

윤고더퍼스트, 윤고더프리미엄, 자윤비책 등

프랑스

손상모발용 기능성샴푸, 가는 모발용 샴푸, 윤기 샴푸 등

일본

녹차향 샴푸, 플라워향 샴푸 등

독일

마일드샴푸, 오일콘트롤샴푸, 머릿결보호샴푸, 비듬방지샴푸 등

독일

카페인샴푸, 비듬탈모방지 기능성샴푸 등

한국

식물성샴푸, 식물성 두피보호샴푸, 동백헤어컨디셔너 등

자료원: 기업 홈페이지, 바이두, 징동

 

수입동향

 

  ㅇ 중국 샴품 수입은 최근 3년간 크게 증가함. 2017년 수입규모는 1832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2% 증가함.

    - 중국 샴푸 수입은 최근 3년간 2015년에 107.2%, 2016년에 20.9%, 2017년에 18.2% 증가하며 빠른 증가세를 이어오는 추세임.

 

중국 샴푸 수입동향(HS Code 3305.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연도

2015

2016

2017

2018(1~3)

수입액

128,239

155,055

183,245

49,728

증가율

107.2

20.9

18.2

48.0

자료원: KITA

 

  ㅇ 국가별로는 우리나라에서의 수입이 가장 많음. 2017년 한국에서 수입액은 6116만 달러로 전년 대비 8.8% 증가함.

    - 뒤이어 일본, 프랑스, 미국, 독일 등 국가에서 수입이 많으며 수입 증가율도 높은 편임.

 

중국 샴푸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305.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한국

56,222

57.3

61,160

8.8

2

일본

39,177

16.8

55,043

40.5

3

프랑스

12,957

3.5

16,549

27.7

4

미국

99,65

-5.9

15,991

60.5

5

독일

7,339

11.8

8,170

11.3

6

태국

9,718

-24.4

5,315

-45.3

7

영국

3,535

40.7

4,811

36.1

8

호주

3,600

11.1

4,318

19.9

9

스페인

2,433

-10.1

3,238

33.1

10

이탈리아

1,744

32.4

1,928

10.5

자료원: KITA

 

대한 수입동향

 

  ㅇ 중국의 대한 샴푸 수입은 최근 3년간 크게 증가함. 2015 3575만 달러로 전년 대비 417.6% 급증한 이래로 2016 5622만 달러로 57.3% 증가, 2017년에는 6116만 달러로 8.8% 증가함.

    - 다만 2018 1분기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다소 감소함. 이는 일본, 프랑스, 미국 등 경쟁국가로부터의 수입규모가 급증(일본 79.3%, 프랑스 166.2%, 미국 53.1% )한 것과 대조적임.

    - 그러나 2018년 최혜국 세율이 3%로 낮아지는 등 샴푸 수입 환경이 좋아짐에 따라 한국 샴푸 수입도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 샴푸 대한국 수입동향(HS Code 3305.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연도

2015

2016

2017

2018(1~3)

수입액

35,752

56,222

61,160

14,319

증가율

417.6

57.3

8.8

-3.1

자료원: KITA

 

  ㅇ 한국 샴푸는 주로 상하이, 저장성, 허난성, 광둥성 등을 통해 수입됨.

    - 2017년 상하이로 수입된 한국 샴푸는 총 1998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32.7%를 차지함. 허난성의 경우 2015년 이후로 한국 샴푸가 대량 수입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물류거점 때문인 것으로 보임.

 

필요 인증

 

  ㅇ 샴푸는 화장품류에 속해 사전 수입검역신고가 필요함. 사전에 샘플을 먼저 검험검역기관으로 송부해 중국 식품의약청(SFDA)의 비준문서를 받아야 함. 대략 샴푸 제품의 처리 기간은 4~6개월이며 특수용도 제품의 경우 9~12개월임.

    - 비준문서를 받은 후 해당 해관에서 수입상품 등록을 해야 하며 등록 처리시간은 근무일 약 7일.

 

시사점

 

  ㅇ 온라인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고급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해야 함.

    - 2017년 중국 온라인 샴푸 판매액은 157500만 위안에 달해 전년 대비 43.2% 성장함. 그 중에서도 실리콘유 무첨가 샴푸 판매는 61600만 위안으로 전체 샴푸 판매의 39.1%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94.9% 급증함.

    - 중국 소비자들이 샴푸의 품질과 성분에 신경을 쓰고 있으며 두피, 머릿결 보호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이런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공급이 필요함.

 

  ㅇ 한국 샴푸를 에이전트 판매하는 광저우쭝궈(纵国)무역유한공사 정() 총경리는 KOTRA 광저우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브랜드 중국 브랜드 샴푸 모두 차별화된 중고급 샴푸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으며, 유통상들도 고급 샴푸를 취급하기 시작함. 따라서 고급 샴푸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이 것이라고 밝힘.

    - 베이징대학의 생물화학및분자생물학과 주성겅(圣庚) 교수도 개인위생용품 시장에서 향후 중고급 제품시장의 성장이 필연적이라고 밝힌 있음.

 

 

자료원: 新思界, 时尚中国, 百度, 搜狐, 新浪, 각 기업 홈페이지, KITA,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샴푸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