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신재생 에너지, 캄보디아의 새로운 빛이 될 수 있을까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김민경
  • 2018-05-07
  • 출처 : KOTRA

- 캄보디아 태양광사업에 대한 해외 투자 관심 증가 -
- 태양광 설비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진출 기대 -




□ 캄보디아 신재생에너지 발전 관심 증가


   캄보디아 태양광 설비를 통한 전력 도입에 관심 및 수요가 증가로 현지 태양광 설비 업체들이 다수의 프로젝트 진행 중
    - 캄보디아 대표적인 태양광 발전 서비스 업체인 Kamworks사는 2017년 캄보디아 최대 맥주 제조업체인 Khmer Beer 및 Silver Town 콘도, Don Bosco 학교 등에 태양광 설비 설치 및 서비스 제공
    - 에너지 판매 회사인 Total Solar는 프랑스 모회사 Total Energy의 캄보디아 주유소(Gas Station)에 태양광 설비 도입을 통한 비용 저감 효과를 홍보하며 설비 서비스도 함께 제공 중
    - 캄보디아 주재 미 대사관은 2018년 4월 100만 달러 규모의 960개 태양광 패널 설치 및 완공식을 진행했으며, 연간 약 60만5000달러의 비용 감소를 볼 수 있을 것이라 발표. 캄보디아의 가장 큰 국제학교인 ISPP도 태양광으로 자체발전 시스템을 구축


   캄보디아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정부의 보조금없이 민간주도로 발전 중

    - 프랑스, 말레이시아, 중국 등의 태양광 프로젝트 업체들은 프로젝트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 중

   -  민간 기업 및 단체에서는 캄보디아의 높은 전기료와 낮은 품질의 전력사정을 보완하는 보조 발전의 형태로 도입이 활발 
    - 태양광 이외 신재생에너지 부분은 대표적으로 사탕수수 찌꺼기를 활용한 발전으로 Phnom Penh Sugar Power Plant, KAMADHENU VENTURES 등의 업체가 사업 수행중에 있으며, 그외 많은 도정업체들은 왕겨를 활용한 자체 발전시설 갖춤.
    - 태양광의 경우 최근 태양광 설비 가격인하 및 저렴한 설치비용, 중장기 전기료 절감과 결부한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수의 프로젝트 스터디가 진행중이며, 독립형 발전으로 봉제공장 및 지방 가정까지 다수 사업이 진행됐음.


KAMADHENU VENTURES사 바이오매스 발전 설비

자료원: 캄보디아 에너지자원부(Cambodis Energy Sector)


태양광 설비 도입 캄보디아 봉제공장

RE Project

Implemented Company and location

Suppliers

Solar PV system on rooftop

(413kW Hybrid system)

Kaoway Sport Co., Ltd

(Bavet Svay Rieng)

Budget Energy Corp

Solar PV system on rooftop

(2,150kW)

Lin Wen Chih Sunbow Enterprises Co., Ltd

(Kandal Province)

Budget Energy Corp

Solar PV system on rooftop

(638kW)

Sabrina(Cambodia)

Garment MFG(Kampong Speu Province,)

Budget Energy Corp

Solar PV system on rooftop

(594kW)

Grand Twins International(Cambodia)

Plc(Phnom Penh)

Hengs Technology Co., Ltd.

자료원: Green Move Consulting, Study of Renewable Energy in Cambodia 

 

   캄보디아 정부차원의 신재생에너지 도입은 아직까지 시범수준

    - 캄보디아 정부는 2006년부터 지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마스터 플랜 및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신재생 에너지 에 대한 보조금이 없고, 높은 발전단가로 GRID에 포함시키는 정책은 전무

    - 이에 따라 캄보디아의 태양광 발전 비중은 아직 낮은 편이며, 정부 차원에서 직접적인 지원 정책과 프로젝트를 만들지 못하고 있음.


캄보디아 신재생에너지 정책 도입 진행상황

 

자료원: ASEAN Centre for Energy (2016), Asean Renewable Energy Policy

 

    - 캄보디아의 태양광 발전은 예산이 부족한 정부 차원의 프로젝트 및 발전사업은 아직 없으며, 원조자금에 의존하거나 민간 주도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권유되고 도입되고 있음.


   전문가 컬럼

    - 캄보디아 에너지 자원부(Ministry of Mines and Energy) 부국장 미팅 결과, 발전망 연결(On-Grid)에 대해서는 아직 법령 및 정책이 완비돼 있지 않아 캄보디아 정부에서 사업 승인이 나고 있지 않다고 전함.
    - 다수의 프로젝트 스터디 진행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 업체인 Sunseap(ADB 민간 financing을 통한 Bavet지역 프로젝트)을 제외하고는 On-Gird 태양광 발전을 수행중인 프로젝트 없음. 
    - 2017년 캄보디아 에너지부는 온그리드 민간 발전 사업을 위해 ADB 자금 지원을 받아 F/S 진행한 바 있으며, 해당 사업도 PPP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짐. 이에 정부 관계자는 캄보디아 프로젝트 진출시 ADB 프로젝트를 통한 입찰 지원하기를 권유

    - 또한 정부 차원에서 전력이 연결되지 않은 지역에는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아 독립형 시스템의 도입을 원조받기 원함.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연구 현황

업체명

프로젝트

조사 지역

규모(MW)

Willobrook, USA

Solar

Bavet, Svay Rieng

200

Inter Far East

Energy Corporation(IFEC)

Solar

Kampong Speu

20

Global Purity Power

Investment Request

Kampong Chhnang,

Kampong Speu, Takeo

10

Power Japan Plus. Inc

Hybrid Solar & Waste

Cambodia

NA

Quadran

Hybrid Solar & Waste

Siem Reap, Phnom Penh

200

GMG (BB Star Energy)

Solar Investment

Cambodia

600

Luis Pichnil

Solar Investment

Kampong Chhnang,

Prey Veng, Takeo

3

Soma Group

Solar hybrid with biomass

Kampong Thom

4

Ly Utnet Import export

Solar

Banteay Meanchey,

Battambang, Preah Sihanouk

500

China Machinery

Engineering Cooperation

Solar

Cambodia

210

Y An Tech(Cambodia)

Solar

Cambodia

500

Sunseap Group

Solar

Bavet, Svay Rieng,

10

자료원: Green Move Consulting, Study of Renewable Energy in Cambodia

 

□ 캄보디아 전력 공급 및 개발 현황


  캄보디아의 현재 전력 공급량은 2017년 도서마을 기준으로 약 75%, 가구 기준으로 약 59%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음.  2010년경 34%에 불과했던 전력 공급량과 비교해 크게 상승 중
    - 장기계획으로 2020년까지 100%의 도서마을 전력 공급률 달성, 2030년까지 전체 가구의 70%전력 공급량 달성을 목표로 정책을 펼치고 있음.


캄보디아 전력 공급 지도

자료원: 캄보디아 에너지자원부(Cambodis Energy Sector)

 

캄보디아 연간 전력 공급량 현황

자료원: 캄보디아 Electrical Authority of Cambodia, 'Overview on Power Sector'


  그러나 꾸준한 전력공급 개선에도 불구하고 인근국가 대비 높은 전기세 및 여전히 부족한 전력 공급량으로 인한 문제로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공급에 관심을 가지는 원인이 되고 있음.
    - 태국, 베트남 1kWh당 0.07~0.13달러의 전력요금이 책정돼 있는데 반해 캄보디아는 0.15~0.25달러 수준으로 지역 및 공급자에 따른 편차에도 불구하고 인근국 대비 두 배에 달함.
    - 전력 안정성도 아직 미흡해 잦은 정전으로 인해 제조업 및 전력이 필요한 생산 공장등에서는 발전 설비를 필수로 구입하고 있음.
 

  인근국 수입 전력을 제외한 캄보디아 국내 생산 전력은 석탄 및 수력 발전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며 각각 국내 생산의 45%, 46% 로 두 전력원의 비중이 90%가 넘음.

    - 베트남 및 태국 국경에서는 이들 국가로부터 전기를 수입해 현지에 판매하는 지역전기사업자가 25년 내외의 사업승인을 받아 해당 주에 전기를 공급중인데 전기료가 캄보디아 정부에서 판매하는 전기료대비 30~50% 저렴


에너지원별 전력 공급량

자료원: 캄보디아 Electrical Authority of Cambodia, 'Overview on Power Sector'


□ 전망 및 발전방안


  ㅇ 캄보디아 신재생에너지 관심 증가에 따라 우리 기업도 뛰어난 기술력 활용해 태양광 사업분야에 캄보디아 진출 고려해야 함.

    - 일반적인 정부 프로젝트나 직접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력판매사업은 아직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

    - 반면 전기료 부담에 따른 전력 저감시설에 대한 현지 기업들의 관심과 수요는 높은 편으로 선 시설 설치후 5~10년간 전기료 인하분의 차액을  매출로 하는 서비스 설치 및 운영사업은 한국의 높은 기술력을 활용한다면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음.

    - 한국 투자기업들의 경우에도 매월 2만~15만 달러의 전기세 인하를 위해 고심 중인 것으로 파악됨.


  ㅇ 적은 규제, 높은 태양광 효율 등의 장점이 있으나 관세율로 인한 가격경쟁력 부족, 전기판매에 따른 법인세 및 부가세, 초기 투자에 비해 자금 회수가 느린 단점도 있어 철저한 사전 조사는 필수


  ㅇ 캄보디아 주요 태양광 발전 제품 인근국 대비 관세율 비교

 

태양광 패널 수입관세(HS Code 8541.40.22 기준)

구분

한국

중국

일본

아세안

FTA관세

35%

0%

35%

0%

일반관세

7%

자료원: 캄보디아 관세청(General Department of Taxation Cambodia)


인버터 수입관세(HS Code 8504.40.40 기준)

구분

한국

중국

일본

아세안

FTA관세

0%

35%

15%

0%

일반관세

15%

자료원: 캄보디아 관세청(General Department of Taxation Cambodia)


축전장치 수입관세(Lithium-ion Battery, HS Code 8507.60.90 기준)

구분

한국

중국

일본

아세안

FTA관세

0%

0%

35%

0%

일반관세

35%

자료원: 캄보디아 관세청(General Department of Taxation Cambodia)


    - 캄보디아 정부는 발전 차액등에 대한 보조금이 없으나 자국민과 기업의  높은 전력 요금에 대한 부담을 인지하고 있음에 유의

    - 현재로서는 전기료 인하는 캄보디아 증시에 상장된 전기판매 공기업인 EDC의 수익악화로 연결됨에 따라 전기료 인하가 한정적일지라도 중장기 캄보디아 정부의 전력 정책과 함께 수익성 악화 대비도 필요


  Third Party Ownership 모델 방식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
    - 캄보디아 진출 태양광 업체들은 Third Party Ownership 모델을 적용해 전력 수요업체에 태양광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하며 전력 저감 및 생산 전기에 대한 비용을 받는 모델 활용 중
    - 캄보디아 전력 정책에 따라 민간 발전사업 가능하며, 자체 사용을 위한 태양광 발전 규제사항이 없어 투자기업의 전력비용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고, 태양광 업체는 장기적인 수입으로 사업 확장이 가능함.


Third Party Ownership Model

 

자료원: USAID, The Business Case for Solar PV in Cambodia



자료원: 캄보디아 에너지자원부, Green Move Consulting, ASEAN Centre for Energy(2016), Asean Renewable Energy Policy, 캄보디아 Electrical Authority of Cambodia, 캄보디아 관세청, USAID,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신재생 에너지, 캄보디아의 새로운 빛이 될 수 있을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