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황금기에 접어들고 있는 中 스키산업
  • 트렌드
  • 중국
  • 우한무역관
  • 2017-12-28
  • 출처 : KOTRA




중국 빙설산업 규모, 20251조 위안 도달 예상

 

  ㅇ 유럽, 북미, 한국, 일본 등 국가 및 지역과 비교해 중국의 스키산업은 비교적 늦게 발전하기 시작함. 1996년 제3회 동계아시안게임 개최를 계기로 스키산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됐음. 20년 후인 2016 중국 내 스키장 수는 11개에서 646, 스키인구는 1만 명에서 1510만 명으로 증가함


1996~2016년 중국 스키장 수 및 스키인구

external_image

자료원: Euromonitor


  ㅇ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와 함께 중국 빙설산업계는 또 다시 기회를 맞이함. 중국 정부는 동계올림픽 개최 신청 시 IOC에 '3억 명이 빙설스포츠를 즐긴다'는 공약을 내걸음. 이는 경기적인 측면 외에도 대중들이 빙설스포츠의 참여를 유도하겠다는 것임. 실제로 2015~2016년부터 스키를 타는 중국 어린이들이 대폭 증가했고, 베이징의 초등학생들은 그룹 활동을 통해 스키를 배우기도 함.


  최근 1년간,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는 '2016~2025년 빙설스포츠 발전 계획(冰雪运动发规划)', '2016~2020년 대중 동계운동 보급 계획(冬季运动推广普及计划)', '2016~2022년 전국 스키시설 건설 계획(冰雪施建设规划)' 등 스키산업 활성화 정책을 발표함. 


  ㅇ 정책 실시 후 2022년 전국 스키장은 800, 2025년 빙설스포츠 인구는 5000만 명을 초과하며 중국 빙설산업 총 규모는 1조 위안( 165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임.


중국 빙설산업 시장 규모


external_image

자료원: '2016~2025년 빙설스포츠 발전 계획(冰雪运动发规划)'

 

□ 여행 및 체험 위주의 스키산업


  ㅇ 스키산업은 중국 내 스키장 증가 및 스키열풍에 힘입어 1980~1990년대 출생자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나, 산업 전체적으로 보면 스키인구는 많지 않음. 실제로 2016년 전국 스키장 방문객 수는 1510만 명이었으나 실제 이용객 수는 1133만 명으로 1인당 1년에 1.33번 방문한 셈임. 


  ㅇ 주 소비층을 기준으로 중국 스키장은 3가지 유형으로 나뉨.

    - 여행·체험형 스키장이 전체 스키장의 75%를 차지함. 주 소비층은 스키장에 대한 전문적인 요구수준이 낮고, 교외에 위치하며, 이용객의 90% 이상은 1회성으로 방문함.

    - 그 다음은 학습형으로 전체의 22%를 차지함. 여행·체험형에 비해 산의 높이에 대한 요구가 크지 않고,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음.

    - 휴가목적형은 스키장의 3%를 차지함. 산의 높이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스키시설 이외에 숙박 등을 필요로 함.


방문 목적 별 중국 내 스키장 분류

유형(비율)

고객 유형

스키장 특징

이용객 특징

예시

여행· 체험형

(75%)

여행관광

 - 평범한 시설

 - 일반적으로 여행지구·교외 위치

 - 초급코스만 보유

 - 90% 이상은 1회성 체험 목적

 - 평균 이용시간 2시간

쉬에스지에스키장

(雪世界滑雪),

나오차오스키장(巢滑雪)   

학습형

(22%)

현지주민

 - 산의 높이가 낮음

 - 교외에 위치

 - 초급, 중급, 고급 코스 보유

 - 현지 주민의 비율이 높음

 - 평균 이용시간 3~4시간

난산스키장(南山滑雪),

쥔두산스키장(都山滑雪),

과이포스키장(怪坡滑雪)

휴가 목적형

(3%)

휴가

 - 일정 규모 이상의 산 높이

 - 숙박 등 필요

 - 야간 이용고객 비율이 높음

 - 평균 이용시간 1일 이상

완커송화후리조트

(万科松花湖度假),

완다창바이산리조트

(达长白山度假)

 자료원: 중상칭바오왕(中商情报网)


□ 중국 주요 스키 원정국: 일본, 한국, 스위스

 

  ㅇ 2017년 10ClubMed와 Tripadvisor 발표에 의하면 중국 스키인구의 37%는 장거리, 18%는 외국의 스키장을 찾음. 스키 원정 상위 3개국은 일본, 한국, 스위스이며 이외에도 캐나다,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이 있음.


     중국 스키 원정국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러디엔스키보고서(点滑雪)


  ㅇ 스키장 선택 시 소비자들의 주요 고려요소는 장소 및 시설의 안전성(43%), 부대시설 및 편의성(41%), 교통(40%). 휴가목적형 소비자들은 스키장까지의 직통여부(50%), 온라인평판(46%), 숙소 등 서비스시설(43%)이 고려됨. 반면, 가격을 중시하는 이용자는 34%에 불과함.


  ㅇ 스키인구의 잠재소비력은 상당한 편임. 스키여행객의 23%는 회당 2000~5000위안( 33만~82만5000), 10% 5000~1만 위( 82만5000~165만 ), 6% 1만 위안( 165만 ) 이상을 소비함. 또한 이용객 중 43%는 친구와, 20%는 가족과, 16%는 배우자와 스키장을 찾음.


높은 수입의존도를 보이는 중국 스키용품업계


  중국 스키용품 제조업이 스키산업 발전속도에 미치지 못해 스키용품의 수입의존도가 80%에 달함. 중국 스키용품 브랜드는 스키장갑, , 고글 등 저가제품에 국한되며 이마저도 대부분은 OEM생산에 그쳐 점유율이 낮음. 특히 스노우보드, 스키화, 스키스틱 등은 외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높음. 


중국 주요 스키용품 및 대표브랜드 

상품분류

대표사진

판매가격(위안)

대표브랜드

스키복

  

300~10,000

DECATHLON, THENORTHFACE,

TOREAD(探路者), LAFUMA

스키장갑

(1세트 기준)

50~2,000

DECATHLON, THENORTHFACE,

KAILAS( 凯乐)

스키화

 

500~5,000

HEAD, BURTON, NORTHWAVE

스키헬멧

 

10~1,500

DECATHLON, UVEX, GIRO, BERN

고글

 

100~3,000

OAKLEY, FEIYU(), VOLOCOVER

스키스틱

 

100~1,000

LEKI, K2, CAMEL(骆驼), ROSSIGNOL

스노우보드

 

1,000~20,000

BURTON, HAGIBIS, HEAD, K2

스키플레이트

 

1,000~25,000

NORDICA, HEAD, SALOMON

고정기

 

500~5,000

DECATHLON, MARKER, UNION

자료원: 타오바오왕(宝网)

  ㅇ 외국 브랜드의 중국시장 진출 방법은 다양함. ROSSIGNOL, ELAN, SALOMON등은 대리상 채널을 통해, ATOMIC, BURTO, FISCHER등은 현지 연락사무소를 설립했으며, 합자회사 및 다수의 점포를 설립해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도 함.


  한편 중국 스키용품의 75~80%는 스키용품 전문점에서 판매되고 있음. 스키장에서도 스키용품을 판매하지만 대부분 장갑, 양말, 고글 등 저급물품에 한정됨. 한국의 장갑, 니트모자, 방풍마스크, 백팩 등 스키용품이 인기를 끎. 


□ 외국브랜드가 강세인 스키장 설비업계


  ㅇ 스키장 설비로는 리프트, 조설기, 전동 운반 컨베이어벨트 등이 있음. 프랑스의 ROSSIGNOL, SALOMON, 독일의 HEAD, 오스트리아의 ATOMIC, 스위스의 STOECKLI, 미국의 K2 등 세계적 스키설비 제조업체들이 중국 시장을 선점했으며 해당 시장에 진출한 중국 토종업체는 없음.


  ㅇ '2016 중국빙설산업백서(滑雪产业白皮)'에 의하면, 2016년 전국 스키장의 조설기 보유수량은 약 5180대로, 1180대가 2016년에 추가됨. 중국 국산 조설기는 전체의 15% 정도 차지함. 2016년 정설차 80대 중 65대는 수입산임. 이에 베이징, 충리() 등의 대형 스키장은 홈페이지에서 외국브랜드를 언급하며 홍보함.


2015~2016년 중국 스키장 시설설비 보유수량 및 증가율

(단위: 대, %)

 구분

2015

2016

증가량

증감률

케이블카

198

226

28

14.1

리프트

367

367

0

0.0

컨베이어벨트

618

850

232

37.5

조설기

4,000

5,180

1,180

29.5

정설차

330

410

80

24.2

대여용 스키

350,000

485,000

135,000

38.6

자료원: '2016년 중국 빙설산업백서(滑雪产业白皮)'


시사점


  2018년 제21회 평창 동계올림픽, 2022년 제22회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연속해 아시아에서 개최됨. 세계 각 국의 스키산업 발전 규모 및 경험에 비추어볼 때, 중국 스키산업은 향후 10년간 빠른 속도로 발전할 것이며, 2022년 전후로 전성기를 맞을 것임


  ㅇ 한국은 1970년대부터 스키산업을 육성했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통해 동계스포츠 강국으로 거듭남. 한국의 스키장 및 부대시설은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했으며, 가격도 일본에 비해 저렴해 중국 스키인구의 관심대상임. 동계올림픽붐(奥风)을 타고 여행 및 스포츠의 결합, 빙설종목 위주의 서비스 향상 등을 통해 동계스포츠 소비를 촉진해 경제성장의 신 동력으로 삼아야 함


  ㅇ 스키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스키복, 스키장 운영, 여행업 및 부대시설 제조업 등 스키산업 밸류체인 업계도 기회를 맞이함. 한국의 스키장 및 관련 업체들은 중국 스키장과 협력해 홍보 및 방한 여행객을 모집하고, 중국 스키장은 한국의 스키 기술 및 스키장 경영, 직원 교육 방법을 전수받는 등 상호 윈-윈 할 수 있음



자료원: Euromonitor, '2016~2025년 빙설스포츠 발전 계획(冰雪运动发规划)', 타오바오왕(宝网), 왕이뤼요우(易旅游), 중궈뤼요우신원왕(旅游新闻网), '2016년 중국빙설산업백서(滑雪产业白皮)', 러디엔스키보고서(点滑雪), 중상칭바오왕(中商情报网), KOTRA 우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황금기에 접어들고 있는 中 스키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