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일본 기지국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배성현
  • 2017-12-05
  • 출처 : KOTRA

- 4G 구축 일단락으로 2016년 시장은 감소했으나, 2020년 도쿄올림픽까지의 5G 구축으로 다시금 성장 예측 -

- 한국은 일본 시장에서 전통적 기지국 강호, 다양해진 수요 대응이 관건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기지국(HS Code 851761)


□ 시장규모, 동향 및 선정 사유    


  ㅇ 기지국은 통신네트워크 장비의 한 종류로, 2016년도 일본 국내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장비시장은 전년 대비 6.2% 감소한 966억 7200만 엔을 기록함. 이는 2008년 이후 최저 수준을 경신한 것으로, LTE 서비스 전개가 종식됨에 따른 통신 사업자의 설비 투자 억제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

    - 각 이동 통신사에서 800MHz 대역, 900MHz 대역, 2.1GHz 대역 등 주요 주파수 대역에서 LTE를 지원 투자가 일단락

    - 최근에는 700MHz 대역, 1.5·1.7GHz 대역 등 새롭게 할당이 이루어지며 관련 투자가 일부 나타남.


  ㅇ 한편 3.5GHz 대역 대응제품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의한 고속화를 목적으로 2017년 이후 수요가 증가할 전망. 이는 기지국시장을 지탱할 것으로 예상됨.


  ㅇ 특히 2018년 이후 통신사업자의 신규 서비스, 5G용 네트워크 구축 수요에 따라 시장은 다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2016~2021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8.3%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 2020년 도쿄올림픽을 맞아 투자가 더욱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바, 2019년도에는 올림픽 경기장 및 경기장 주변의 대중 교통을 포함한 트래픽 밀집 지역에서 국소적으로 5G 대응이 진행될 것으로 보임.


휴대전화 기지국의 시장규모

external_image

자료원: 후지키메라총연


□ 한국 등 주요 국가로부터의 수입동향
    
  ㅇ 최근 일본의 기지국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 2016년에는 2937억7800만 달러의 규모로 전년 대비 90%의 성장을 보임.


  ㅇ 한국은 일본의 2위 기지국 수입국으로 2015년에는 574억3900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고, 2016년에는 전년 대비 65%라는 큰 폭으로 증가해 1344억40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함.


  ㅇ 2017년 1~9월은 1위 중국과 차이가 크게 벌어졌으나, 전년 동기 대비 60%의 증가를 보임.
    - 대만은 전년대비 427%의 큰 증가로 활약이 두드러졌지만, 중국과 한국의 일본 수입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확고함.


기지국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51761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5

2016

2017(1~9)

점유율

증감률

('17/'16)

2015

2016

2017(1~9)

- 

전 세계

154,444

293,778

290,571

100

100

100

86.63

1

중국

84,392

143,140

184,790

54.64

48.72

63.6

119.33

2

한국

57,439

134,440

98,048

37.19

45.76

33.74

60.81

3

이스라엘

311

5,808

405

0.2

1.98

0.14

-85.21

4

핀란드

7

4,239

1,325

0

1.44

0.46

-63.18

5

폴란드

141

2,284

96

0.09

0.78

0.03

-93.29

6

스웨덴

8,507

746

432

5.51

0.25

0.15

138.12

7

캐나다

253

743

79

0.16

0.25

0.03

-85.81

8

대만

702

595

2,423

0.45

0.2

0.83

427.78

9

말레이시아

388

508

1,269

0.25

0.17

0.44

368.24

10

프랑스

214

381

1,283

0.14

0.13

0.44

3096.13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수입규제, 관세율 및 필수 인증 등


  ㅇ 규제내용(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 특이사항 없음.

 

  ㅇ 관련 인증

    - 소규모 무선국에 사용하는 무선국으로서 총무성평에서 정하는 것은 '특정 무선 설비'로 적합 증명을 받는 경우 무선국 면허 절차의 생략 등의 특례 조치를 받을 수 있는 바, 세무사항은 총무성 전파이용 홈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람.

    · 총무성 전파이용 홈페이지 상 제도 설명: http://www.tele.soumu.go.jp/j/sys/equ/tech/type/index.htm 

 

  ㅇ 관세율은 무관세이며 통관 시 유의해야 할 특이사항 없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2016년 휴대전화기지국 시장점유율

(단위: 백만 엔, %)

external_image

자료원: 후지키메라총연


  ㅇ 매출 1위인 노키아 솔루션 앤 네트웍스는 NTT도코모, KDDI, 소프트뱅크에 해당 제품을 제공하고 있음.
    - NTT도코모와 소프트뱅크에 의한 투자 억제와 경쟁 업체의 실적 확대로 판매는 감소할 전망임.
    - 세계의 통신 인프라 장비 시장에서는 노키아가 동업의 프랑스 알카텔-루슨트를 인수, 에릭슨과 화웨이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3강 체제가 됨. 현재 고속통신 '4G'에서 대형 3사의 시장 점유율은 8%로 전망됨.


  ㅇ 2위 NEC는 NTT도코모에 해당 제품을 제공하고 있음. 2015년 800MHz대역, 2.1GHz대역에 고도화 C-RAN에 따른 LTE- Advanced 대응이 완료됐기 때문에 판매는 감소경향으로 추이
    - 2016년에는 1.5·1.7GHz대역, 700MHz대역의 수요 지속과 더불어 3.5GHz대역의 수요가 증가


  ㅇ 3위 에릭슨 재팬은 NTT도코모, KDDI, 소프트뱅크에 해당 제품을 제공하고 있음.

    - 주요 판매처인 소프트뱅크의 투자 억제로 인해 판매가 축소하고 있지만, KDDI의 700MHz대역 대응제품 제조업체로 선정돼 서서히 KDDI로의 판매가 증가해 2016년에는 큰 감소가 나타나지는 않음.


□ 시사점


  ㅇ 2016년에는 일본 기업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통신기기 대기업 또한 실적 부진에 시달렸는데, 이는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 현재 휴대기기의 통신 규격인 4G 고속 통신이 이미 보급, 인프라 투자가 일단락됐기 때문임.

 

  ㅇ 그럼에도 불구 한국의 기지국 일본 수출은 2016년, 2017년 호조, 통신사용 대형 기지국 뿐만 아니라 LTE 소형 기지국, 이동형 기지국 등 다양하게 개발된 기지국 수출이 가능했기 때문임.

    - 최근엔 대형 장비보다 가격이 저렴한 소형 및 이동형 기지국에 대한 수요가 급증, 장비 구매처도 대기업부터 중소규모의 기업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ㅇ 한편,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까지 5G망 구축을 목표로 다시금 통신 대기업 중심의 투자가 본격화되는 상황으로, 2018년 이후 점차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이기에, 큰 환율변동 문제만 없다면 국내기업은 지금까지와 같은 수출 호조를 한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한국의 기지국 기술력은 전통적으로 일본 통신대기업으로부터 인정받는 상황이기에 국내기업은 현재의 일본 시장호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기지국 수요에 대응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중장기적으로는 5G 시대에 일반화될 것으로 보이는 IoT 관련 서비스, 솔루션 개발에도 집중해 나가면 일본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후지키메라총연, 닛케이NEEDS산업해설레포트, 총무성무선국, WTA 등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일본 기지국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