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초고속 통신장비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이지현
  • 2021-09-07
  • 출처 : KOTRA

- 미국 초고속 통신망∙장비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견조 -

- 중국산 5G 통신장비를 대체할 기술과 공급망이 필요, 중계기 및 스몰셀 등의 통신장비 유망 -

 

 

 

상품명 및 HS Code

 

통신장비는 HS 코드 8517.62에 해당되는 물품으로서,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수신용∙변환용∙송신용∙재생용 기기[교환기와 라우팅(routing) 기기를 포함한다]에 해당된다.

 

시장동향

 

(코로나19 영향) 코로나19로 인해 미국에서는 재택근무, 온라인 교육, 홈 엔터테인먼트, 원격의료, 모바일 쇼핑 등 비대면 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했고, 경제활동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반 기술인 초고속 5G 통신망∙장비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Informa Tech 및 Omdia가 공동 연구한 5G World 2020 Global Insights Survey(2020년 8월)에 따르면 기업의 17%는 코로나19가 새로운 5G 투자 사례 및 수익 기회를 유발했다고 밝혔으며, 또 다른 14%는 코로나19가 5G 투자 및 출시 계획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다른 많은 투자 활동이 급격히 감소했지만, 5G 기술에 대한 투자는 경제 침체가 시작된 시기에도 건재했다. 실제로 IHS Markit의 새로운 예측에 따르면 2020~2035년에 전 세계 5G 투자 및 R&D가 1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클라우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량, 커넥티드카 등의 기술도 점차 상용화되고 있어 초고속 통신망∙장비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견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계 시장규모)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Technavio 따르면, 2021 5 5G 장비 시장 분석보고서에서 전세계 5G 장비 시장은 2021~2025 동안 67% CAGR 가속화되어 242 6000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특히 예측 기간 동안 스마트 시티, 사물인터넷 등에서 5G 네트워크 채택이 가속화되면서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미국 통신장비 제조시장 동향)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의 2021년 8월 미국 통신장비 제조시장 분석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의 통신장비 제조시장 규모는 285억 달러로, 라디오 방송국 장비가 해당 산업에서 가장 큰 제품부문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장 성장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가 이끌고 있다. 미국에서 무선 네트워크 가입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무선 인터넷 접근 및 이미지∙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초고속 통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빠르게 5G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초고속 무선통신이 일반화됨에 따라 초고화질(4K, 8K) 스트리밍, 증강 및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 사물인터넷, 스마트 시티 및 커넥티드 홈과 같은 기술 트렌드가 확산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에는 무선 기지국을 공중 음성 및 데이터 네트워크, 휴대폰, Wi-Fi 공용 장비 및 WiMax 장비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셀룰러 이동 전화 교환 장비도 포함된다.

 

미국 통신장비 분야별 시장 규모

자료: IBIS World

 

한편 2021 10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는 5G용 3.45~3.55GHz 대역 총 100MHz 주파수를 추가 할당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3~5GHz 대역 주파수 공급은 400MHz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역범위별로 살펴보면 1)고대역 부문에서 FCC는 28GHz 대역에서 첫 5G 스펙트럼 경매를 마쳤다. FCC는 또한 26~42GHz 대역에서 2.75GHz의 5G 스펙트럼을 확보하려고 하고 있으며, 70/80/90GHz 대역에서 추가 밀리미터 대역 스펙트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했다. 2)중대역 부문 스펙트럼 역시 균형 잡힌 커버리지와 용량 특성을 감안해 5G 구축의 대상이 됐다. 2.5GHz, 3.5GHz 및 3.7~4.2GHz 대역에 대한 작업을 통해 5G 배포에 600MHz 이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미국 5G 칩셋 동향) 5G 칩셋은 모뎀과 무선주파수 집적회로(RFIC) 등 다양한 하드웨어 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고속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미국의 5G 칩셋 시장 역시 초고속 인터넷과 광범위한 네트워크 적용에 대한 수요 증가, 셀룰러 사물인터넷 연결 증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로 인해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MarketandMarket의 2020년 5G 칩셋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북미지역 5G 칩셋 시장규모는 2020년 17억 48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3.8%로 증가해 2027년에는 134억 1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코로나19로 인해 5G 출시가 지연된 면이 있고 모바일 기기용 5G 칩셋의 높은 비용이 시장 성장을 억제하고 있지만, 다양한 사업부문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든 정부의 통신정책 동향) 바이든 정부는 직접 광대역 인프라 투자에 나서고 있으며, 5G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고도화 및 보편적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8월 10일 미 상원에서 가결된 인프라 투자법안에 의하면 농어촌 및 소외지역 고속 인터넷 망 구축에 65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이 지원될 예정이다.

 

수입동향

 

HS 코드 8517.62에 해당되는 품목으로 수입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0년 미국 수입액은 약 385억 4600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0.6%감소했다. 최대 수입국은 2020년 수입액 약 118억 7300만 달러를 기록한 중국으로, 전체 수입 시장의 30.8%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의 경우 미국의 많은 제조업체들이 중국에 생산을 아웃소싱해 비용절감을 꾀하기 때문에 수입액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 다음으로는 멕시코과 베트남이 뒤를 잇고 있다. 멕시코와 캐나다의 경우 미국과의 지리적 접근성이 높고, 무역장벽을 낮추는 북미자유무엽협정(NAFTA)의 영향으로 대미수출 실적이 좋은 편이다. 수입국 1위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27.8% 감소했고, 이외에도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액이 전년대비 감소했다. 반면에 베트남,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이스라엘, 체코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베트남은 가장 높은 62.5%의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 3년간 미국 통신장비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US$ 백만, %)

주: HS Code 8517.62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편, 한국은 2020년 미국의 통신장비 수입시장에서 약 1억 9500만 달러 규모의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했다. 2020년에 한국산 통신장비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0.5%로 2019년 대비 수출액은 소폭 감소했지만, 2021년 6월까지 한국산 통신장비의 미국 시장 수출액은 1억 8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5.34% 증가하여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미국 버라이즌이 5G 투자를 개시한 사실이 수출 호조의 가장 큰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경쟁동향

 

미국의 비영리 글로벌 정책 싱크탱크 기관인 RAND Corporation이 2021년 5월에 발행한 ‘미국의 5G 시대’ 보고서에 의하면 RAN 장비 및 핵심 네트워크 장비 부문의 시장 리더와 각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는 모바일 장치용 칩셋, 통신장치, RAN 장비, 기지국 및 이와 함께 배치된 모든 스위치, 라우팅 및 핵심 네트워크 장비가 포함된다.

 

미국 RAN 장비 및 핵심 네트워크 장비 부문 경쟁동향

자료: RAND Corporation

 

기지국으로 구성된 RAN 장비 부문 기지국은 거의 전적으로 외국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에릭슨은 33% 시장에서 가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키아와 화웨이가 뒤를 잇고 있다. 핵심 네트워크 장비 부문은 이더넷 스위치와 서버 부문으로 세분화할 있는데, 먼저 이더넷 스위치 부문은 시스코가 시장의 절반을 점유하고 있고, 서버 부문은 델과 휴렛패커드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5G 기술 표준과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면에서 아직 개발단계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미국은 5G 뿐만 아니라 6G 시대도 준비하고 있다. 미국은 인공지능과 같이 급부상하는 기술을 포함해 광범위한 기술에서 주도권을 확립하고 유지해야한다는 기조 하에 초고속 통신기술 또한 기반기술로 인식하고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등 새로운 접근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민간 기업의 노력뿐만 아니라 연방 정부 차원의 직접적인 연구개발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유통구조

 

통신장비들은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통신사들과의 계약으로 구매가 이루어지므로 통신사들의 기존 장비와 호환되는지 여부와 공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적합한지 여부가 중요하다. 민간기업들과의 거래를 제외하고 정부 조달의 경우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경쟁업체와 동일한 성능을 전제로 가격경쟁력이 있는 업체가 선정되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통신장비의 설치도 중요하지만 기존 장비의 유지보수를 통해서도 수익을 얻을 있으므로 관련 업계는 현지 동향에 대하여 미리 조사하고 접근하는 것이 좋다.

 

관세율 수입규제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통신장비가 속하는 HS Code 8517.62 제품군에 대해서는 무관세가 적용된다.


통신장비를 미국으로 수출할 경우, FCC에서 요구하는 인증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FCC는 통신법(The Communication Acts)에 의거해 민간부문의 통신을 관할하고 있으며, 전기∙전자제품으로부터 복사되는 불필요한 전파가 공중통신에 방해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규제 위반시 미국 내로 제품을 통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FCC 인증 획득은 필수적이다. 한편, FCC는 각종의 무선통신장비뿐만이 아니라 사용 중에 전자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대부분의 전자기기를 규제하며, 의도적, 비의도적 전자파사용, 전자파 발생의 정도 등에 따라 FCC 적합증명 절차와 시험요건, 마킹요건 등이 다르게 적용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시사점

 

5G를 비롯한 초고속 통신기술은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업부문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주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러한 잠재력 때문에 미국은 5G 채택을 가속화하고 있다. 전세계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산업조직인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2025년까지 미국의 전체 네트워크(사물 인터넷 제외)의 점유율 측면에서 5G가 차지하는 비율은 5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중국산 5G 통신장비에 대한 사용을 규제하면서 이를 대체할 기술과 공급망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우리 기업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미국의 이동통신사와 협력관계에 있는 통신장비 제조업체에서 근무하는 M씨는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에서 5G 상용화를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고대역 주파수는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 기지국을 많이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중계기 및 스몰셀 등의 통신장비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미국의 이동통신사들은 표준화된 3GPP 아키텍처와 공통 모바일 구성요소를 사용해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정형 무선액세스(FWA; Fixed Wireless Access) 방식의 5G 서비스가 유선 브로드밴드를 대체하면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바, 5G FWA용 라우터∙게이트웨이∙안테나∙광케이블 등의 시장에 새로운 기회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또한 미국은 무선 기지국 연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요소를 개방형 표준으로 통일하는 오픈랜 전환(O-RAN; Open-Radio Access Network)을 추진하고 있는바, 미국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통신장비 관련 우리 기업은 해당 동향에 대한 면밀한 조사도 필요하다.

 

 

자료: Informa Tech, Omdia, IHS Markit, Technavio, IBIS World,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MarketandMarket, Global Trade Atlas, RAND Corporation,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 GSMA,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초고속 통신장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