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공항과 항만의 최단거리를 갖춘 바레인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상목
  • 2017-10-31
  • 출처 : KOTRA

- 바레인, 공항, 항만, 교량, 도로 등 물류 인프라 계속 확장 중 -

- 행정적 지원과 지리적 이점으로 성장 가능성 커 -




□ 바레인 무역 현황 및 전망


바레인 무역 지표

                                                                                                                                                        (단위: 십억 달러)

2015

2016e

2017f

2018f

22.24

21.68

22.77

24.25

26.25

28.08

29.28

30.92

무역량

48.48

49.77

52.05

55.17

 무역성장률(%)

-17.07

2.65

4.59

5.99

주: e는 추정치, f는 예상치

자료원: BMI

 

  ㅇ 바레인 포함 대부분 GCC 국가는 저유가가 국가 경제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해 바레인 정부의 '경제비전 2030'과 같이 비석유 부분의 산업다각화에 노력하고 있음.

    - BMI는 바레인의 무역 교역량을 2016년 2.65%, 2017년 4.59%로 전망함.

    - 이로 인해 도로, 항만, 항공의 화물 물동량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바레인 정부는 자유무역지대(Free Zone)를 투자유치 중심의 제조산업(Bahrain International Investment Park)과 인접한 항공과 항만시설 중심의 물류산업[Bahrain International Airport, Bahrain Logistics Zone(Khalifa Bin Salman Port)]의 각 장점을 최대한 반영해 설계함.

    - 추가로 적극적인 투자유치를 위해 기존의 GCC 간 무관세, 소득세, 법인세를 없애고, 2016년에는 외국인 100% 지분 소유를 허용함.

 

주요 품목 교역량

                                                                                  (단위: 백만 달러)

external_image

주: 2015년 기준

자료원: BMI

 

  ㅇ 석유, 가스, 알루미늄 등 천연자원과 이를 가공 생산한 제품이 바레인의 주 수출품목임.

    - 원재료의 원상태로 수출하기 보다 한 단계 가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인 원자재 수출에 중점을 두면서 플랜트 사업 등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주요 국가 수입 교역량

external_image

주: 2015년 기준

자료원: BMI

  

  ㅇ 바레인의 수출은 국가 간에 편차가 크게 없는 것과 달리, 수입은 특정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음.

    - 이는 바레인이 자체 석유를 가지고 있으나 원유를 수입 및 정유해 수출하고 있기 때문임.

 

바레인 도로, 항공, 항만 화물량

                                                                                   (단위: 천 톤)

external_image

: f는 예상치

자료원: BMI

 

  ㅇ 2016년 항만의 화물량 감소를 제외하고 무역 교역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이는 곧 도로, 항만, 항공 등 전반적인 화물동량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주요 무역 및 물류 관련 기관

 

  ㅇ 무역 및 물류 인프라 관련 관청은 관세청(Minstry of Interior Customs Affaris), 상공관광부(Ministy of Industy, Commerce, and Tourism), 교통통신부(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 등이 있음. 또한 민간회원들이 운영하는 바레인 상공회의소(Bahrai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가 있음.

    - 관세청(www.bahraincustoms.gov.bh)은 본청이 칼리파 빈 살만항(Khalifa Bin Salman Port)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공항과 항만, 국경지 등에 분소가 있음. 특정 품목을 제외하고 GCC 국가와 동일하게 일반적으로 관세율 5%를 부과함.


관세청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Minstry of Interior Customs Affaris(www.bahraincustoms.gov.bh)

 

    - 바레인 상공회의소(www.bcci.bh)는 1939년 이후로 다양한 경제분야에 국내외의 민간 비즈니스 교류 향상을 위해 노력해옴. 수출입 문서 인증, 전시회, 컨퍼런스, 대내외 무역 대표단 네트워크 교류, 비즈니스 법률 제정 의견, ATA Carnet 발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

 

바레인 상공회의소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Bahrai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www.bcci.bh)

 

    - 상공관광부(www.moic.gov.bh)는 '바레인 경제 비전 2030'을 담당하면서, 비즈니스 환경의 규제관리, 중소기업 지원, 제조산업 경쟁력 강화, 대외무역 극대화 등을 목표로 관련 산업의 현지 투자 시 적극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상공관광부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Ministy of Industy, Commerce, and Tourism(www.moic.gov.bh)


    - 바레인경제개발청(www.bahrainedb.com)은 바레인 국외자본 유치정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최근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 투자유치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음. 홈페이지에서 바레인 투자 진출에 대한 이점과 혜택, 진출할 산업 분야 등을 설명하고 있음.

 

바레인경제개발청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Economic Development Board(www.bahrainedb.com)

 

    - 교통통신부(www.mtt.gov.bh)는 바레인의 산업경제 발전에 근간이 되는 도로, 항공, 항만, 교량, 통신 등의 산업기반시설을 제공하면서 우편 업무 정책까지 담당하고 있음.

 

교통통신부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www.mtt.gov.bh)

 

□ 국제공항 및 화물항공사

 

  ㅇ 바레인은 무라크(Muharraq)에 위치한 바레인국제공항이 있으며, 화물항공사 외에 현지 승객 항공사는 Gulf Air, Comlux, MENA Aerospace 등이 있음.

    - 1920년도부터 시작된 바레인국제공항은 2017년 10월 현재 2008년도에 창립된 바레인공항사(Bahrain Airport Company)가 관리·운영하고 있음. 이외에 화물운송처리 등은 별도로 바레인공항서비스사[Bahrain Airport Service사(bas.com.bh)]가 운영을 담당하고 있음.

    

Bahrain Airport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Bahrain Airport(www.bahrainairport.com)

 

  ㅇ 화물항공사는 Texel Air(texelair.com)가 있음.

 

Texel Air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Texel Air(texelair.com)


□ 무역항만 및 자유무역지역

 

  ㅇ 주요 항구로는 미나 살만항(1962년)과 칼리파 빈 살만항(2009년)이 있으며, 칼리파 빈 살만항은 컨테이너 터미널항으로 연간 화물처리량이 100만 TEU임. 또한 2017년 10월 현재 8000톤 급에서 1만2000톤 급 선박선이 입항할 수 있도록 개발 중임.

    - (무역항) Khalifa Bin Salman Port(BH, www.mtt.gov.bh)

    - (자유무역지역) Bahrain Logistic Zone(www.moic.gov.bh)

     · 자유무역지역 관련 정보는 Ministry of Industry, Commerce and Tourism 참조(www.moic.gov.bh)

   

□ 해상연육교  

 

  ㅇ 섬나라 바레인은 인접한 GCC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와는 이미 해상연육교를 연결했고, 카타르와는 건설 추진 중임.

    - King Fahd Causeway는 길이 25km로, 1981년 착공해 1986년 완공됐으며 총사업비 12억 달러가 투자된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연결된 교량임. 사우디아라비아가 전액 출자한 교량으로, 이름을 당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이름으로 함.

    - 바레인과 카타르를 잇는 연육교 프로젝트인 Baharian-Qatar Causeway는 세계 최장 길이의 연육교로 철로가 추가된 거리 40km, 소요시간 30분, 건설비가 30억 달러의 대형 투자 사업으로서 2022년 완공 목표임.

    - 2016년 12월에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간에 50억 달러의 새로운 해상연육교(King Hammed Causeway) 건설사업을 추진하기로 함. 이는 두 나라 간에 두 번째로 연결되는 해상연육교임.

 

King Fahd Causeway

external_image

자료원: King Fahd Causeway Authority

 

□ 주요 유통·물류 기업

 

  ㅇ 현지 유통·물류 기업

    - Bahrain Maritime & Mercantile International(BMMI, www.bmmigroup.com)


BMMI 홈페이지

external_image 

자료원: BMMI(www.bmmigroup.com)


    - Alsharif Group(www.alsharifbahrain.com)

    - BANZ Group(www.banzgroup.com)

    - TransGulf Maritime Services W.L.L.(www.transgulfmaritime.com)

    - Al Arrayed Logistics(www.alarrayed.com)

    - Turk Heavy Transport and Logistics(www.turktransport.biz)

 

  ㅇ 글로벌 물류 기업

    - DHL(www.dhl.com.bh)

    - Agility Logistics(www.agility.com)

    - Gulf Agency Co.(Bahrain)

    - W.L.L(www.gac.com)

 

□ 시사점


  ㅇ 바레인은 작은 도서국가이나 풍부한 석유, 가스, 알루미늄의 천연자원으로 인해 부유한 생산국임. 바레인은 최단거리로 연결된 공항과 항만, 그 중간에 있는 자유무역지대, 아라비아반도의 내륙 간 원활한 물류 이동을 위한 고속도로와 해상연육교를 갖추고 있어 이슬람 금융산업 중심지와 더불어 중동 아프리카 물류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비석유 산업의 다각화 노력과 의지의 결과라 볼 수 있음.  

    - 이러한 정부의 물류 환경 조성과 투자기업에 대한 적극적이고 다양한 행정지원은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에 좋은 여건임. 또한 바레인을 기반으로 중동과 아프리카, 나아가 유럽과 중앙아시아 등으로 진출할 수 있어 지정학적으로 유리함. 다만 같은 GCC 국가인 카타르 간의 단교가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나, 이를 극복하고 경제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ㅇ 바레인의 경제개발청이 서울에 한국사무소(2017년 7월)를 개소함. 바레인 한국사무소에는 다양한 안내 자료가 있으며 상담도 할 수 있음. 특히 금융, 제조, 물류, ICT, 관광 분야의 바레인 해외진출 관련 상담 필요 시 적극 활용할 것을 추천함.


  

자료원: BMI, Euromonitor, 국내외 뉴스, 외교부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공항과 항만의 최단거리를 갖춘 바레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