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우크라이나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박대희
  • 2017-07-05
  • 출처 : KOTRA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화장품(HS Code 3304)

 

□ 품목 선정 사유

 

  ㅇ 우크라이나 경기 침체에도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회복되는 양상

    - 2015년 대비 2016년 화장품 제품 수입 증가율은 약 7%

    - 그 중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수요는 2015년 대비 2016 52% 상승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좋고, 우크라이나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 기업이 다수 활동 중

    - 수출 금액은 2016 200만 달러 수준으로 크지 않으나, 무역사절단 혹은 현지 전시회 참가를 통해 우리 브랜드를 알리려는 우리 기업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음.

 

2014~2016년 우크라이나의 화장품 수출입 현황(HS code 3304)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수입

191.927

138.228

147.925

수출

44.146

24.428

27.667

전체

236.073

162.656

175.592

 자료원: WTA

 

□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우크라이나 화장품 시장은 약 82% 가까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느며, 나머지를 자체 생산함.

 

  ㅇ 우크라이나 화장품 소매 유통 매출액은 2014년 발발한 동부지역 내전에도 큰 폭으로 성장

    - 우크라이나 비식품류 소매 유통 시장에서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16 3.2%로 비식품류분야에서는 자동차, 건설자재, 의약품, 석유화학제품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


                                                                                                                                                        (단위: 백만 흐리브냐, %)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규모

비중

규모

비중

규모

비중

규모

비중

규모

비중

전 품목

405,114

100

433,081

100

438,343

100

487,558

100

555,975

100

비 식품류

242,445

59.8

255,255

58.9

257,287

58.7

287,322

58.9

328,073

59.0

 - 화장품

9,330

2.3

10,408

2.4

10,903

2.5

14,273

2.9

17,863

3.2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ㅇ 우크라이나 화폐 가치 하락으로 중저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음.

    - 평균적으로 우크라이나인들은 화장품 구매에 1년간 약 35달러를 쓰는 것으로 알려짐.

    · (참고) 우크라이나 전체 평균 월 급여는 약 200달러 수준임.

    - 2016년 KOTRA 키예프 무역관이 자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월 평균 화장품 지출 비용이 300흐리브냐 미만( 10달러 수준)이라고 대답한 응답자 수가 가장 많았음(2016년 게재된 해외시장뉴스 '우크라이나 화장품 시장을 주목하라!' 참조).

    - 우크라이나 환율 폭락에 따른 구매력 감소를 고려해 해외 화장품 업체들은 제품 공급 가격을 인하하고 있으나, 환율 폭락 폭이 커 2016년 화장품 가격은 평균 30~50% 인상함. 제품에 따라 300%까지 인상된 품목도 있음.

  

  ㅇ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인기 있는 품목

    - 세계에서 인기 있는 화장품 품목과 우크라이나에서 인기 있는 품목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개인 미용용품, 헤어케어, 스킨케어, 색조화장품, 향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

    - , 우크라이나에서는 개인 미용용품과 헤어케어제품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


external_image

자료원: RBC.ua

 

□ 우크라이나의 화장품 수출입 동향

 

  1) 수입 동향

 

  2016년 우크라이나 화장품(HS code 3304) 수입은 총 1억4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 증가

    - 2016년 이후 우크라이나 경기가 회복세에 진입하면서 주요 소비재 품목의 수요가 증가 추세

    - 화장품 제품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화장품 수입 시장에서는 프랑스산 제품이 가장 높은 수입 비중을 차지

    - 프랑스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제품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편

    - 우크라이나에서 잘 팔리는 대표적인 프랑스 브랜드로는 L'oreal Paris, Elseve 등이 있음

 

  ㅇ 우크라이나 화장품 수입시장의 큰 손이었던 러시아는 양국 간 관계 악화로 인해 수입 비중이 지속 감소하는 추세에 있음.

    - 2016년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산 화장품 수입은 전년 대비 -17% 감소

 

우크라이나의 주요 화장품 수입국(HS Code 3304)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4년

2015년

2016년

 점유율

증감률

2016/2015

2014년

2015년

2016년

0

전 세계

191.927

138.228

147.925

100

100

100

7.02

1

프랑스

39.358

28.140

29.587

20.51

20.36

20.00

5.14

2

폴란드

32.312

22.716

26.847

16.84

16.43

18.15

18.18

3

독일

26.925

20.536

21.565

14.03

14.86

14.58

5.01

4

러시아

24.077

18.056

14.980

12.55

13.06

10.13

-17.04

5

이탈리아

13.653

9.592

10.236

7.11

6.94

6.92

6.71

6

중국

6.049

6.101

9.374

3.15

4.41

6.34

53.65

7

미국

11.983

8.734

8.102

6.24

6.32

5.48

-7.24

8

스위스

4.105

3.230

3.073

2.14

2.34

2.08

-4.87

9

벨라루스

2.318

1.683

2.551

1.21

1.22

1.73

51.58

10

영국

1.835

1.583

2.221

0.96

1.15

1.50

40.25

11

한국

1.375

1.331

2.030

0.72

0.96

1.37

52.52

자료원: WTA

 

  2) 수출 동향

 

  ㅇ 우크라이나의 화장품 수출 금액은 2015년 대비 2016 13.26% 증가한 2700만 달러를 기록

    - 아직까지 세계 화장품 시장에서 우크라이나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수입 대비 수출 금액이 매우 낮음.

    - 주요 수출국도 구소련 국가에 집중돼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음.

 

우크라이나의 주요 화장품 수출국(HS Code 3304)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4년

2015년

2016년

점유율

증감률

2016/2015 

2014년

2015년

2016년

0

전 세계

44.146

24.428

27.667

100

100

100

13.26

1

미확인 국가*

10.751

9.572

10.770

24.35

39.19

38.93

12.52

2

러시아

7.971

4.039

3.894

18.06

16.54

14.07

-3.60

3

아제르바이잔

4.572

2.779

2.578

10.36

11.38

9.32

-7.22

4

조지아

3.508

2.413

2.454

7.95

9.88

8.87

1.70

5

폴란드

0.403

0.376

1.519

0.91

1.54

5.49

303.95

6

벨라루스

6.110

1.386

1.470

13.84

5.67

5.31

6.11

7

이탈리아

0.000

0.023

1.136

0.00

0.09

4.11

4,939.51

8

몰도바

0.812

0.624

0.691

1.84

2.56

2.50

10.75

9

아르메니아

1.250

0.748

0.607

2.83

3.06

2.19

-18.92

10

카자흐스탄

5.277

0.877

0.513

11.95

3.59

1.86

-41.51

: 미확인 국가는 통계상 Unidentified Country로 표기돼 있음

 자료원: WTA


□ 대한수입 규모 및 동향

 

  ㅇ 한국산 화장품 수입 수요는 2016 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 증가

    - 수입량이 많지는 않으나 한국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돼 있음.

    - 우크라이나 내에 한류 문화가 정착돼 있지는 않으나 한국 제품은 우수한 품질로 인식되고 있으며 유럽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받음.

 

  ㅇ 기존에 소량으로 수입돼 오던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최근 들어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바이어들의 관심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임.

    - 이는 우리 기업들이 현지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우크라이나 시장 진출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이면서 나타난 효과로 풀이

 

                                                                                                                                                        (단위: 백만 달러)

품목명(HS Code)

2014년

2015년

2016년

증감률(2016/2015)

화장품(HS Code 3304)

1.375

1.331

2.030

52.52%

 - Other Beauty Prepar(HS Code 330499)

1.247

1.188

1.485

22.67%

 - Lip Make-up Prepar(HS Code 330410)

0.051

0.034

0.240

598.66%

 - Eye Make-up Prepar(HS Code 330420)

0.026

0.036

0.206

475.91%

 - Make-up, Powder, Etc(HS Code 330491)

0.013

0.012

0.094

714.64%

 - Nail Prepar(HS Code 330430)

0.039

0.061

0.033

-45.90%

자료원: WTA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우크라이나는 유럽과 가까워 유럽산 브랜드는 대부분 우크라이나에 진출해 있음.

    - EU-우크라이나 FTA 발효로 앞으로 유럽산 브랜드의 우크라이나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ㅇ 한편, 우리의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들이 이미 우크라이나 화장품 시장에 다수 진출해 있음. 그러나 현지 유통업체를 통해 주로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되고 있음.

    - 진출 브랜드: Tony Moly(온라인), Skiin79(온라인), 홀리카 홀리카(온라인), 비욘드(현지 매장), 내추럴 리퍼블릭(온라인), 미샤(온라인), 이니스프리(온라인), 잇츠스킨(현지 매장)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율

    - EU-우크라이나 FTA로 인해 EU국가에서 수입되는 품목은 무관세로 통관

    - 반면, EU 회원국이 아닌 기타 국가에서 수입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6.5%의 관세가 부과됨.

    - 또한 우크라이나에서 판매되는 모든 물품에는 부가가치세(VAT) 20%가 부과됨.


HS Code

330499, 330410, 330420, 330491, 330430

관세율(EU 국가)

0.0%

관세율(기타 국가)

6.5%

VAT

(공통) 20%

자료원  MD Office

 

  우크라이나로 화장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검역(Radiological Control) 및 위생 허가(Sanitary Epidemiological Certificate)를 받아야 하며, 대부분 현지 브로커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임.

    - 우크라이나 현지 바이어에게 수출할 경우 수입에 필요한 문서들은 보통 바이어 측에서 구비

 

□ 시사점

 

  ㅇ 이미 우크라이나 시장에 진출한 외국계 브랜드가 많으나, 아직까지 시장 규모가 크지 않고 성장 잠재력이 높아 우리 기업이 진출하기 좋은 시점임.

    - 무역사절단, 현지 전시회 참가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알리고 제품 홍보 기회를 지속 창출해야 함.

    - (참고) 2017년 우크라이나 최대 화장 미용 전시회 Intercharm Ukraine 2017에 한국관이 들어설 예정(KOTRA 미지원 사업임)

 

  ㅇ 우크라이나 소비자들의 구매력 저하로 인해 중저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으므로, 적정 수준의 가격 설정이 매우 중요함. 동일 스펙의 제품일 경우 디자인이 독특하고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임.

 

  ㅇ 또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브랜드가 이미 기진출해 있어 가격 대비 제품 품질에 대한 바이어들의 기대치가 높은 특징을 보임.

 


자료원: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우크라이나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