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EU FTA 중소기업 수혜상품 시리즈②, 자동차 부품
  • 통상·규제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유지윤
  • 2015-10-05
  • 출처 : KOTRA

 

한-EU FTA 중소기업 수혜상품 시리즈②, 자동차부품

- FTA 이후 자동차부품의 수출 단시적 증가 -

- 지속적 시장 유지를 위해서는 기술력 구비가 관건 -

 

 

 

□ 한-이탈리아 교역 현황

 

 ○ 한-이 수출은 FTA가 발효된 2011년 15.1% 증가를 기록했으나, 2012년과 2013년에는 수출이 감소, 2014년 이후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

  - 유럽 재정위기가 본격화 된 2012년에는 전년 대비 20.6%, 2013년에는 4.2% 급감하며 수출 시장이 잠시 주춤했으나, 2014년에는 전년 대비 11.1% 증가하며 재정위기 이전 수출로 조금씩 회복

  - 최근 2015년 1~8월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해 2014년 이후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음.

 

 ○ 반면, 한국의 대이탈리아 수입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

  - 2010년 이후 평균 약 12.3%의 수입 증가세를 유지해왔으나 최근 2015년 8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8.5%를 기록함으로 2009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

 

한국의 대이탈리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8월

수출액

3,569

4,107

3,262

3,126

3,473

2,462

증감률

27.6

15.1

-20.6

-4.2

11.1

6.1

수입액

3,723

4,374

4,828

5,383

6,261

3,875

증감률

6.0

17.5

10.4

11.5

16.3

-8.5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 자동차부품 수출동향

 

 ○ 한국의 대이탈리아 HS Code 4자리 기준 수출 상위품목에서 자동차부품인 8708 품목은 12위를 차지

  - 최근 2015년 1~8월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함으로 2013년 -21.2%의 감소세 이후 2014년부터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음.

 

한국의 대이탈리아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8월

수출액

53,870

73,165

57,657

64,411

44,890

증감률

9.6

35.8

-21.2

11.1

4.7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 HS Code 6자리 기준 세부 제품

  ① 기어박스(HS Code 870840): 2011년 한-EU FTA 체결 이후 기본 관세 3.0%에서 협정관세율 0%로 혜택을 받음에 따라 이듬해인 2012년 1374.3%의 폭발적인 수출 성장을 보임. 2013년 유럽 재정위기 속에서 -77.4%로 대폭 감소했으며 2013년과 2014년에 소폭 증가세를 보임.

 

한국의 대이탈리아 기어박스(HS Code 870840)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8월

수출액

529

7,801

1,765

1,766

1,242

증감률

546.1

1,374.3

-77.4

0.1

6.0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② 자동차용 차체 기타 부품(HS Code 870829): 2011년 한-EU FTA 체결 이후 기본 관세 3.0%에서 협정관세율 0%로 혜택을 받음. 2011년 27.2%의 수출 증가와 2012년 13.8%로 수출이 급증했으며, 2013년 -2.4%의 소폭 감소 이후 2014년에 102%로 증가하며 그 증가세를 이어감.

 

한국의 대이탈리아 자동차용 차체 기타 부품(HS Code 870829)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8월

수출액

707

804

785

1,585

488

증감률

27.2

13.8

-2.4

102

-59.9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③ 클러치와 그 부품들(HS Code 870893): 2011년 한-EU FTA 체결 이후 기본 관세 3.0%에서 협정관세율 0%로 혜택을 받음. 2011년 FTA 24.5% 수출이 증가했으며 2012년에 -4.7% 소폭 감소했으나, 2013년과 2014년에는 다시 수출 증가세로 전환

 

한국의 대이탈리아 클러치와 그 부품들(HS Code 870893)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8월

수출액

2,354

2,244

4,789

5,135

3,139

증감률

24.5

-4.7

111.6

8.1

-12.9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④ 기타 자동차부품(HS Code 870899): 2011년 한-EU FTA 체결 이후 기본 관세 3.0%에서 협정관세율 0%로 관세 혜택을 받음. 2011년 -3.1%로 수출이 소폭 감소했으나, 2012년 유럽 재정위기 속에서도 52.2% 증가. 2013년에는 -25.3% 감소, 그 이후 2014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섬.

 

한국의 대이탈리아 기타 자동차부품(HS Code 870899)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8월

수출액

32,409

49,326

36.851

44,466

32,881

증감률

-3.1

52.2

-25.3

20.7

16.9

자료원: KITA(한국 무역 협회)

 

 ○ 대이탈리아 자동차부품의 수출은 무역협회 자료 기준 2011년 FTA 발효 이후 첫 해 혹은 그 이듬해에 급증해 큰 폭의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기타 자동차부품인 HS Code 870899 제품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그 시장을 유지

 

□ 이탈리아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 조건

 

 ○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독일의 시장점유율은 지속적으로 3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의 빠른 기술력 확보와 우월한 가격경쟁력으로 중국 제품은 전체 시장의 5% 이상 점유율을 유지

  - 또한 일본의 통화가치가 하락하며 2013전 잠시 주춤했던 시장점유율을 2014년부터 높여가고 있으나, 반면 한국 제품은 꾸준히 시장 점유율 감소를 보이고 있음.

  - 이는 한국 자동차 유럽 현지 생산율이 증가하며 관련 제품은 생산시설이 갖춰진 동유럽에서의 직접 부품공급이 이뤄지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A/S 부품 등 한국 기업이 이탈리아 수출시장 유지 및 확보를 위해 한-EU FTA를 통한 협정관세율 혜택을 적극 활용해야 함.

 

이탈리아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6월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1

독일

1,815

30.16

2,009

30.52

2,182

31.46

1,006

27.62

5

중국

310.5

5.16

365.5

5.55

398.2

5.74

191.9

5.27

15

일본

85.5

1.42

85.4

1.30

97.4

1.40

53.8

1.48

25

한국

41.9

0.70

39.8

0.61

34.9

0.50

13.87

0.38

자료원: ISTAT(이탈리아 통계청)

 

 ○ 한-EU FTA 협정관세율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

  - 수출 시 해당기관(세관, 상공회의소)에서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아 수입자가 수입 시 협정관세율로 수입이 진행되도록 해야 함. EU는 원산지신고서(Origin Declaration)를 발급받아야 하며, 기본적으로는(건당 6000유로 미만시) 자율 발급을 원칙으로 해 협정이 정하는 방법과 절차에 따라 수출자가 해당 물품에 대해 원산지를 확인해 작성한 후 서명해 사용

   · 주의: 건당 수출금액이 6000유로 초과시에는 원산지인증수출자만 자율발급 가능

  - 전문 수출 기업의 경우 ‘인증수출자’ 취득을 통해 원산지증명서 발급절차 또는 첨부서류 제출 간소화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인증수출자는 업체별, 품목별로 취득이 가능하며 취득시 인증수출자 번호 부여. 5년간 유효하며 완료 30일 이전에 연장 신청 가능

   · 관련 상세 정보는 관세청 홈페이지(www.customs.go.kr)에서 확인 가능

 

FTA 활용 절차

자료원: 관세청 홈페이지(www.customs.go.kr)

 

□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KOTRA 밀라노 무역관의 제언

 

 ○ 완성차 1대를 구성하는 자동차부품은 약 2만7000개로 이탈리아에서 수입되는 부품 분야 중 기술집약적인 자동차부품인 엔진시스템과 모터의 비중이 53.3%로 가장 높음.

  - 또한, 타이어·고무는 20.8%, 음향장치는 12.5%, 전장제품이 11.3%를 차지

 

2015년 1~3월 품목별 수입 동향

자료원: ANFIA

 

  -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전역에 친환경정책이 강화되며 이와 관련한 핵심부품들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장점유율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에 필요한 기술집약적 핵심부품들의 개발을 통한 시장 확대를 노려볼 수 있음.

 

 ○ 전시회의 활용

  - 이탈리아 내에서 한국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전시회 및 페어에 참가해 초기 바이어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

 

 ○ 이탈리아 바이어와의 미팅 시 참고사항

  - 자동차부품은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이 주를 이루기에 꾸준한 접촉을 통해 신뢰도가 형성돼야 거래가 성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테스트 보고서를 구비해 바이어 미팅에 참석해야 함.

  - 자동차부품 관련 필수인증으로 유럽공동체 마크인 CE마크, 자동차분야 유럽경제공동체(EEC) 마크인 e-Mark, 국제연합 산하의 유럽경제위원회(UN/ECE)의 e-Mark가 있으며 해당 제품에 적합한 인증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

  - 또한, 바이어 대상 회사소개자료 및 제품홍보물에서 영어자료 이외에 이탈리아 자료를 구비할 경우 보다 더 유리한 위치에서 협상을 진행할 수 있음.

  - 이탈리아 기업들은 중소기업 위주로 지리적,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해 보다 유연한 거래관계를 형성하는 특징을 보이기에 첫 바이어의 구매 물량이 다소 적더라도 이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 시사점

 

 ○ 한국의 자동차부품 기업은 한-EU FTA 이후 꾸준히 이탈리아 시장을 공략해 이탈리아 업체의 OEM 혹은 1차 혹은 2차 부품업체에 공급을 하고 있는 상황

 

 ○ 한국 제품의 친환경 기술 및 성능 개발이 지속될 경우, 한-EU FTA 효과 극대화 가능

  - 현대기아차의 이탈리아 내 시장점유율 확대와 연계돼 발생하는 A/S시장의 수요 증가를 토대로 현지 바이어들의 한국 기술력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 제고가 선행된다면, 한-EU FTA 발효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현지 시장점유율 증가가 가능

 

 

자료원: 한국 무역협회, 이탈리아 통계청(ISTAT), 관세청 홈페이지, ANFIA 및 KOTRA 밀라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 한-EU FTA 중소기업 수혜상품 시리즈②, 자동차 부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