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집트 파운드화, 어디까지 추락할까?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김지혜
  • 2016-09-22
  • 출처 : KOTRA

 - 공식환율 기준 2015년 1월 달러당 7.14EGP 대비 현재 8.85EGP로 24% 평가절하 -
- IMF 긴급자금 도입예정에 따라 추가 절하 불가피 -




□ 정보 요약


  ㅇ 이집트 파운드화(EGP)의 가치가 2015년 1월 달러당 7.14EGP였다가 같은 해 11월에는 7.83EGP를 기록한데 이어, 2016년 현재는 8.85EGP로 2015년 1월 대비 24% 평가절하됐음.

    - 이는 공식환율 기준이며, 암시장에서는 현재 달러당 12EGP 내외로 거래되고 있음. 


  ㅇ 한편, 지난 8월 11일 이집트 정부가 부족한 외환을 IMF로부터 긴급 지원받기로 잠정 합의함에 따라 향후 추가 절하가 불가피한 실정

    - 3년간 총 120억 달러를 지원할 IMF가 지원조건으로 암시장 척결을 요구하고 있어, 어느 정도의 절하는 불가피  


  ㅇ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의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파운드화의 가치는 2016년 말 9.5EGP, 2017년 말 10EGP, 2018년 말 10.5EGP, 2019년 말 11EGP로 지속 절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최근 5년간 이집트 파운드화 환율 추이

external_image

자료원: Trading Economics.com     

 

□ 평가절하 배경


  ㅇ 이집트 파운드화 평가절하의 근본 원인은 달러 부족에 기인하고 있음. 이는 '달러 부족에 따른 정부의 외환송금 통제 → 달러 수요자의 암시장 활용 계기 마련 → 공식환율 대비 암시장 환율 급등 → 암시장 환율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공식환율 인상'이라는 악순환을 만들고 있는 상황임.

 

  ㅇ 이집트에 달러가 부족한 원인으로는 이집트의 경제체질이 워낙 허약해 매년 약 350억 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하는 것을 들 수 있음. 정부는 이와 같은 부족액을 지난 2011년 혁명 이전까지는 관광수입(약 150억 달러), 수에즈운하 운영수입(약 50억 달러), 해외거주 자국민 송금액(약 150억 달러) 등으로 메꿔왔으나, 혁명 이후부터 이들 수입원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음.

    - 관광수입의 경우, 혁명 이후 치안 악화로 관광객의 발길이 점차 뜸해지더니 2015년 10월 이집트 휴양지 샤멜세이크에서 발생한 러시아 여객기 추락사고 이후에는 완전히 끊겨 현재까지 회복이 안 되고 있음. 우리나라 관광객도 혁명 이전에는 연간 5만∼6만 명이 방문했으나, 현재는 전무한 실정임.

    - 안타까운 것은 수에즈운하 수입인데, 이집트 정부는 운하 수입 확대를 위해 2015년 8월 기존 운하 옆에 85억 달러를 투입해 착공한 지 1년 만에 제2운하를 완공함. 그러나, 세계경기 침체 및 예멘 정국 불안으로 운하 이용 선박 수가 과거보다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선박은 유가하락에 따라 운하 사용을 기피하고 남아공 희망봉 경유노선을 선호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음.

    - 해외거주 자국민 송금액도 저유가로 인한 걸프국의 경기침체 및 리비아 사태로 급감하고 있는 상황임. 송금액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걸프국 거주 자국민은 약 4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중 300만 명이 사우디에 있음. 사우디는 최근 자국 내에서 번 돈에 대해 자국 내 투자 또는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 외국인의 송금액에 2∼6%를 과세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음. 석유자원이 풍부한 리비아에도 한때 석유시설 공사 등의 업종에 약 150만 명의 이집트인이 종사했던 것으로 알려짐. 이밖에 치안불안에 따른 외국인의 직접투자액(FDI) 감소도 외환부족 사태의 원인이 되고 있음.


  ㅇ 이집트의 외환보유고는 혁명 전인 2010년에는 350억 달러 이상이었으나, 2016년 8월 말 현재는 수입액의 3개월치 정도에 불과한 약 165억 달러에 불과한 실정임. 이에 따라 정부는 IMF, World Bank, AFDB 등지로부터 약 210억 달러의 차관도입을 모색 중이며, 이 중 최근 IMF로부터 120억 달러 차관이 잠정 확정됨에 따라 여타 차관도 순조로히 진행될 것으로 판단됨. 그러나, 외부자금 도입이 이집트 외환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지는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시사점
 
  ㅇ 파운드화의 지속적인 평가절하는 FDI 유치에 긍정적일 수 있으나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재정적자를 심화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현상을 초래할 수 있음. 전문가들에 의하면, 10% 평가절하 시 1.5∼2%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것이 예상되며, 최근 이집트 정부에서 과감하게 추진하고 있는 부가가치세(VAT) 도입, 에너지 보조금 삭감 등과 더불어 인플레이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ㅇ 인플레이션은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우리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현지 환율동향에 대해 우리 기업들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Daily News 등 현지 일간지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파운드화, 어디까지 추락할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