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전자상거래, B2C에서 B2B로 무게중심 이동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6-04-28
  • 출처 : KOTRA

 

中 전자상거래, B2C에서 B2B로 무게중심 이동

- 해외직구 세제 개편으로 관련 업체, B2C → B2B 전환에 박차 -

- 중국 B2B 업체, 종합서비스 플랫폼으로 변신 시도 -

- B2B 발전정책 강화 전망, B2C로 교란된 시장질서 확립도 기대 -

 

 

 

자료원: newzsocial.com

 

□ 中 ‘4.8 세제 개편’으로 업체들 B2B 주목

 

 ○ 4월 8일부로 신중국 해외직구 세제가 시행되면서 B2C 방식으로 국제 전자상거래를 해온 업체들은 B2B 방식으로의 전환을 적극 시도

  - 지난 3월, 당국의 ‘해외직구 상품에 적용하던 행우세를 폐지하고 종합세를 부과하는 정책’에 이어 4월 7일 중국 재정부 등 11개 부처는 ‘해외전자상거래 소매품 리스트’를 발표

  - 이는 중국 정부의 B2C, C2C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세수관리 강화 조치

  - 전문가들은 향후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의 B2C에서 B2B로의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

 

 ○ 업계 관계자들은 ‘4.8 세제 개편’을 통해 중국 정부가 B2C 수입세를 B2B 방식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인상한 것이며, 사실상 B2C가 아닌 일반 무역방식의 B2B 국제 전자상거래 발전을 추진하려는 정부의 의도를 반영했다고 분석

  - 전자상거래 업체가 증치세·소비세, 행우세(소비자 대신) 납부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며, 모든 국제전자상거래를 정부 관리감독체제로 편입한 것임.

 

□ 중국 국제전자상거래 분류 및 현황

 

 ○ 국제전자상거래란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당사자가 인터넷에 의해 오더, 결제, 택배 또는 국제소포의 방식으로 상품을 매매하는 방식의 거래를 의미

  - 전통 수출입을 전산화, 디지털화, 인터넷화하고 전자상거래를 국제무역에 응용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소비수준 향상, 정책 완화, 물류시스템 발전, 관련 비용 절감, 통관 절차 규범화, 효율 향상 등이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의 신속한 발전 원인으로 꼽히고 있음.

  - 중국의 국제전자상거래는 주로 B2C(Business to Consumer) 수출입과 B2B(Business to Business) 수출입으로 분류됨.

 

 ○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의 발전에 따라 기업, 소비자들은 통관이 편리하고 납부 세율이 낮은 점 등을 원인으로 B2C 방식을 선호하면서 B2C 비중도 급증

  - 2010년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에서 B2C의 비중은 2.3%에 그친 데 반해, 올해에는 10%의 비중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

  - 인터넷 업체들은 B2B보다 사업모델이 단순하며, 진입장벽이 낮은 B2C 중심의 전자상거래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한 것으로 풀이됨.

   · B2C 방식은 수입품목에 따라 각각 10%, 20%, 30%, 50%의 행우세만 부과되며, 관세(10~15%)와 증치세(17%) 및 일부 상품의 소비세(10~56%)를 납부할 필요가 없음.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에서 B2B, B2C 비중

자료원: iResearch

 

□ 중국 국제전자상거래 발전 연혁

 

 ○ (1995~2008년) 중국 국제전자상거래는 B2B 플랫폼 위주

  - 1990년대 단순한 비즈니스 정보 사이트 ‘쭝궈황이에(中國黃葉)’에서 시작됐음.

  - 당시 중국은 수출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고, 제조업도 고속성장 시기여서 국제전자상거래 플랫폼은 기업들의 B2B 상품 수출통로로 급부상

  - 따라서 알리바바, 후이충(慧聰), 환치우즈위안(環球資源), 중국화공망(中國化工網), 중국제조상(中國製造商) 등 B2B 기업이 속출

 

 ○ (2008~2014년) 알리바바, JD 닷컴 등 거두들이 B2C 업무, 특히 해외직구 업무를 대대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중국 국제전자상거래는 B2C 위주로 발전

  - 글로벌 금융위기로 해외 수요가 위축되며 중국 의류, IT 제품, 가전 등 업종은 직격탄을 맞았음.

  - 중국 제조업이 저조기에 접어들었고, 중국 내 소비자들의 수입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

  - 알리바바 산하의 B2C 플랫폼 타오바오의 경우, 2006년 거래액이 1000억 위안 미만. 그러나 2015년에는 2조 위안 상회

  - 중국 B2C 온라인 플랫폼인 JD닷컴의 2006년 거래액은 8000만 위안 수준, 그러나 2015년에는 4000억 위안대로 성장

 

 ○ (2015년부터 2016년 4월 7일) 중국 소비자들의 해외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정부의 다양한 지원책에 힘입어 B2C가 폭발적인 성장을 이뤘음.

  - 중국 정부는 전자상거래 발전이 소비와 투자 촉진, 일자리 확대, 소득 증대 등 경제발전에 새로운 활력이 되고 있다고 평가해 보세구(保稅區), 국제전자상거래 상품 통관 등 다양한 방면의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왔음.

  - 당국은 해외 마케팅 채널을 확대하고, 수입을 늘려 내수소비 확대와 대외무역구조 개선을 추진하기 위해 무역 편리화, 통관 편리화 이외에도 세수 혜택, 결제업무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

   · 국제전자상거래 발전 추진책을 제정·발표한 부서는 중국 해관총서 외에도 중국인민은행, 상무부, 외환관리국 등임.

 

중국 정부의 국제전자상거래 관련 정책

정책

발표시기

발표 부서

주요 내용

인터넷+유통 액션플랜

2015.5

상무부

100개 전자상거래 해외창고 건설 지원,

감독서비스체계 구축

전자상거래 발전 추진을 통한

신경제성장동력 육성

2015.5

국무원

전자상거래를 중국 경제발전을 추진하는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방침

대외무역 안정적 성장 지원

2014.5

국무원 사무청

국제전자상거래 무역 편리화 조치

국제전자상거래 B2C

수출에 관한 의견

2013.12

재정부,

세무총국

국제전자상거래 수출 관세 우대 정책

국제전자상거래 B2C

수출 지원에 관한 의견

2013.11

국가질검총국

국제전자상거래 기업 및 상품 등록(備案)

제도, 수출 상품 신고제도

국제전자상거래 B2C 수출 지원

2013.8

국무원 사무청

세관, 검역, 세무, 외환거래 관련 정책조정을 통해 국제전자상거래 발전을 추진

국제전자상거래 외화결제업무

시범시행에 관한 의견

2013.2

국가외화관리국

국제온라인 결제업무 규범화

전자상거래 플랫폼 통해 대외무역을 전개하는 데 관한 의견

2012.3

상무부

국제전자상거래 발전을 위한 플랫폼 건설, 결제·물류·통관·금융·보험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자료원: KOTRA 베이징 무역관

 

 ○ 반면,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에서 B2B 수출 증가율은 20%대로 가라앉으며 지속적으로 하락할 전망

  - 중국 IT 컨설팅 전문업체 iResearch에 따르면, 중국 국제전자상거래 B2B 수출규모는 2015년 4조 위안을 돌파하며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

  - 그러나, 증가율은 2011년 35.57%를 보였던 것과 달리, 최근 20%대로 하락

 

중국 국제전자상거래 B2B 수출규모

자료원: iResearch

 

 ○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경우, 국제 도매 영업수익 증가는 글로벌 경기회복이 완만해 지난해 3분기 13%로 하락

  - 지난해 1분기에는 2014년 4분기 대비 하락하기도 했음.

 

알리바바 국제도매 업무 영업수익

자료원: WIND

 

□ 중국 B2B 변신 사례

 

 ○ 경기 악화로 중국 B2B 플랫폼들은 새로운 발전패턴을 모색하기 시작

  - 중국 대표적인 B2B 사이트 후이충망(慧聰網)은 2015년 3분기 마이너스 성장까지 기록

  - 현지 B2B 플랫폼들은 기존 정보제공 서비스에서 교역 플랫폼으로 활약하기 시작

  - 수익 방면에서는 단순히 광고료에 의존하기 보다 금융, 창고, 물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익 창출 시작

 

후이충망 영업수익 및 증감률

자료원: WIND

 

 ○ 후이충망 산하의 ‘마이화수(買化塑)과 콰이수망(快塑網)이 그 대표적인 사례

  - ‘마이화수(買化塑)는 ‘고급서비스+협력강화’ 플랫폼으로, 콰이수망(快塑網)은 ‘SAAS(서비스형 SW) 협력 플랫폼+전자상거래’ 방식을 선택

  - 후이충망은 화학플라스틱 산업의 기업 분산, 유통망 혼란, 가격파동, 과잉생산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5년 10월부터 ‘산업+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

  - 온·오프라인 거래 추진을 위해 금융, 물류, 창고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시장을 세분화해 운영 중

  - 최근 ‘마이화수(買化塑)’은 10~15억 위안/월 교역액을 기록

 

 ○ 후이충망이 2016년 3월 설립한 순더(順德) 가전타운은 고전 중인 가전업계에 새로운 발전 기회를 열어주고 있음. (자료원: 중국가전업협회 펑바오첸(彭寶泉) 이사장)

  - 2015년 중국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의 생산량은 각각 1억4400만 대(2.5%↑), 1억4200만 대(1.8%↓), 7992만 대(9.1%↓), 7274만 대(0.7%↑)

  - 2015년 중국 TOP 500 가전 판매업체와 TOP 100 가전 판매업체의 매출은 각각 전년대비 3.9%, 3.8% 하락, 연속 4년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자료원: 중국상업정보센터)

  - 후이충망은 가전업체들이 '온라인상 협상 → 가전타운에서 샘플 점검 및 현장 오더 → 온라인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결제 편리화를 제 3자 결제시스템인 ‘후이푸바오(慧付寶)’도 구축

  - 후이충망은 2020년 1000억 위안 온라인 거래액 실현을 목표로 설정

 

 ○ 중국 과잉생산이 심각한 철강업의 대표적인 사례는 상하이 철강연합 산하의 강인덴상(鋼銀電商)

  - 중국 철강시장은 연간 교역액 1조 위안 수준에 도달했지만 과잉생산, 효율저하, 비용과다 등의 문제를 안고 있음. (자료원: 상하이 강인덴상(鋼銀電商) CEO 바이루이(白睿))

  - 강인덴상은 ‘융자혁신+위탁판매’의 패턴으로 운영됨. 철강 생산업체는 강인덴상과 융자 및 위탁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일부 예약금을 지불한 후 강인덴상의 플랫폼을 활용해 거래할 수 있음.

  - ‘플랫폼+서비스’ 방식을 통해 매매쌍방의 비용을 절감하고 정보 불충분 문제도 해결

  - 결제, 금융, 창고, 가공, 물류, 데이터 등 유통과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 2016년부터는 일부 업체에 빅데이터 상품도 제공할 예정

  - 현재 강인덴상 사용사는 5만2000여 사를 초과, 1일 위탁판매 교역량은 14만6000톤으로 연간 교역량은 2500만 톤에 도달

 

□ 전망 및 시사점

 

 ○ 당국의 B2C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관리·감독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

  - 중국 소비자들의 해외상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제전자상거래에서 수입의 비중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고 있음.

  - 전문가들은 기존 B2C 시장진입 문턱이 낮아 해외직구 상품 품질이 보장되지 않았다고 지적

  - 올해 ‘소비자의 날’ 방송 프로그램에서 중국 국가질검총국은 온라인 쇼핑몰,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품질 강화를 추진해 중국 소비자의 권익을 보장하겠다고 강조

  - 중국 해관총서는 오는 6월 1일부터 여객 수화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예정

   · 개인용품의 합리적 수량 제한, 행우세 납부 등이 골자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에서 수출·수입의 비중

자료원: iResearch

 

 ○ B2B 전자상거래의 상대적 발전과 해외직구로 교란된 시장 정상화 및 정비 기대

  - 일반 무역방식을 취해온 B2B 업체와 물류·통관업체들은 이번 세제 개편으로 중국 국제전자상거래 B2B 발전 전망이 밝아졌다고 환영하는 분위기

  - 업계 관계자들은 간이통관, 저세율 등 B2C의 메리트가 사라지면서 B2B와 B2C 국제전자상거래는 공평한 발전환경을 확보했다고 평가(자료원: 둥싱(東興)증권사)

  - 현지 통관·물류업체들은 최근 수출입 부진으로 저조했던 실적이 B2B 국제전자상거래 발전으로 다시 회복될 것으로 기대

  - B2C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은 기존 유통 및 물류망의 교란과 생태계 질서 파괴의 부정적 효과도 발생, 이번 정부 조치로 관련 업체들의 정상화 및 시장질서 확립도 기대

 

 ○ 중국 정부의 지원정책에 힘입어 B2B 국제전자상거래 발전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

  - 중국 상무부는 2016년 중국 국제전자상거래액은 6조5000억 위안, 2017년에는 8조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

  - 연간 증가율은 30%를 상회하고 중국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을 넘어설 전망

  - 또한, ‘중국제조 2025’, ‘인터넷 플러스’ 등 당국의 지원책에 의해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할 전망

 

 

자료원: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 베이징상보(北京商報), 베이징청년보(北京靑年報), 일본 MUFG(미츠비시은행), 둥싱(東興) 증권사 및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전자상거래, B2C에서 B2B로 무게중심 이동)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