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MCN 산업동향을 통해 보는 한국 문화
  • 트렌드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방보경
  • 2016-03-10
  • 출처 : KOTRA

 

미국 MCN 산업동향을 통해 보는 한국 문화

     

     

 

□ 미국의 영향을 받은 한국 MCN(Multi Channel Networks) 사업 열풍

     

 ○ 한국 문화에 끼치는 MCN 현시장

  - 최근 인터넷 1인 방송 제작자인 BJ들과 인터넷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심 폭발적 향상

  - 차세대 미디어인 인터넷 방송을 기반으로 해 새로운 한류를 이어갈 산업으로 기대

  - 최근 공중파까지 콘텐츠가 진출하면서 세대 영역도 확장되고 있음.

  - Naver, Daum 등 대형 포털 사이트에서 자체 MCN 채널 운영 중, 공중파 및 방송업계까지 MCN 설립

     

네이버의 자체 MCN 채널

    

자료원: Naver 홈페이지

     

 ○ 미국의 MCN 산업 동향 및 시장 규모

  - 이미 미국은 2013년부터 MCN 산업에 대한 투자, 인수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돼 왔음.

  - 미국 인터넷 광고 시장은 2015년 기준 약 70억 달러로 매년 29% 상승세

 

    

자료원: Maker Studios 홈페이지

     

  - 2014년 미국 최대 MCN인 Maker studios를 디즈니에서 5억~10억 달러에 인수*, 그 외 2014년에만 미국 MCN 시장규모 10~15억 달러로 추정

   * 계약 당시 최소 금액은 5억 달러였으며, 향후 1~2년간의 성과를 통해 최대 1억 달러까지 지급을 약속함.

  - 2015년 업계에서 Maker Studios의 수익률 문제 제기, 2015년 12월 Disney에서 Maker Studios의 CEO였던 Ynon Kreiz를 경질해임하면서 MCN 산업에 대한 수익구조 문제 인식이 확산됨.

  - 2016년 2월에 최소금액에서 약간 더 높은 6억7500만 달러에 Maker Studios 최종 인수계약 마무리됨.

  - Maker Studios 사례 이후 미국 내 MCN 산업에 대한 투자가 급격하게 위축됨.

     

□ 다양성 파악으로 미래 방향성을 예측하다

     

 ○ MCN과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차이점

  - 인터넷 광고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 인터넷 방송 산업의 전망도 매우 밝음.

  -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통한 1차 콘텐츠로 인한 수익은 대부분 인터넷 방송 서비스업체의 몫, BJ와만 분배

  - 1차 콘텐츠를 편집한 2차 콘텐츠는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광고수익은 유튜브, BJ, MCN 업체가 분배

  - 편집한 2차 콘텐츠는 유튜브 외에도 인터넷 방송 서비스 업체의 채널에도 업로드되며, 2차 콘텐츠로 인한 수익은 MCN 업체와도 분배 가능

     

한국 인터넷 방송 산업의 구체적인 수익구조 모형

    

자료원: 아프리카TV 홈페이지

     

 ○ MCN 업계가 적자일 수밖에 없는 인터넷 방송산업 구조

  - 배분율을 배재한 총 수익구조만으로 본다면 BJ > 인터넷 방송 서비스업체 > 유튜브 > MCN순

   · 한국 MCN 업계는 이외에도 사이버머니 시스템으로 인터넷 방송 서비스업체와 BJ에게 부가적인 수익이 창출됨.

  - MCN 업체를 제외하더라도 산업구조에는 전혀 이상이 없으나, MCN을 제외한 다른 요소는 빠지게 될 경우 콘텐츠로 인한 수익에 심각한 문제 발생 혹은 콘텐츠 제작이 불가능한 구조

  - 콘텐츠로 인한 수익은 가장 적으나 1차 및 2차 콘텐츠 제작비용은 대부분 MCN 업체가 부담하게 됨.

   · 방송장비 및 스튜디오 제공, 수출용 콘텐츠의 경우, 자막 제작 및 통역까지 지원

  - 유명 BJ들을 내세운 한국의 대형 MCN 몇 개 업체 이외에는 대부분의 MCN 적자 기록 중

     

 ○ MCN, 꼭 필요한가?

  - 대부분 MCN 업체에서 섭외하는 BJ들은 이미 유명한 BJ들, MCN 업체의 지원 없이도 기본적인 방송장비와 일정 수준의 영상 편집 실력을 가지고 있음

   · 인터넷 방송은 1인 미디어로 시작된 산업, 대중 미디어 정도의 수준을 요구하지 않음.

     

Dia tv 소속 BJ '대도서관‘

    

자료원: Dia TV 홈페이지

     

  - MCN 업체에서는 가입을 위해 콘텐츠의 질적 향상 외에 더 높은 수익률을 BJ에 보장해야 함.

  - 광고 수익이 분배되는 상황에서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view와 구독자 수 필요

  - MCN에 가입한다고 해서 view나 구독자수에 큰 변화가 생기는 경우는 없음.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통해 잠재적 시장의 확대는 가능

     

□ 시사점

     

 ○ 한국 MCN 산업의 숙명, 해외진출

  - 미국과 달리 한국의 인터넷 광고 시장 규모 작음.

  - 광고 수익이 낮아 콘텐츠 제작비에 미치지 못해 지속적인 손해

  - 대부분의 MCN 업체들은 중국 및 아시아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설립된 업체들

  - 한류에 특화된 기획사 아이돌 및 연예인들에 밀려 MCN 업계는 주로 게임, 뷰티 2가지 콘텐츠로 공략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짐.

     

 ○ 한국 MCN의 중국 시장 진출 사례

  - Dia TV, 트레져 헌터 등 대형 MCN들의 자본과 BJ들을 내세운 중국 시장 최적화 공략

  - 중국 유저들의 불법적인 콘텐츠 유포를 역으로 이용해 홍보효과를 본 게임 전문 MCN ‘콩두컴퍼니’

  - 국내 화장품 커머스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한 뷰티 MCN ‘레페리’

  - 게임, 뷰티 등 기존의 인기 있는 콘텐츠 이외에 다양한 시도를 통해 아시아 시장 진출을 노리는 포털 MCN들

          

 ○ 위기의 미국 MCN 산업, 콘텐츠의 다양화로 회복 시도

  - MCN 소속 BJ들 간 협업으로 영화, 드라마까지 자체 제작해 Netflix에 배포하는 대형 MCN 제작사들

  - 자체적 이슈 리서치를 통해 기사 작성, 관련 영상까지 모든 콘텐츠를 제작, 관리하는 Buzzfeed

     

뮤직비디오 촬영 중인 Maker Studios 크리에이터들

     

  자료원: Buzzfeed 홈페이지

 

  - 영상 매채를 통한 상품 홍보를 넘어서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전략을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한 Awesomeness TV

  - 단순히 영상을 업로드하는 채널을 넘어, 매체간 접목을 통해 MPN(Multi Platform Network)로 거듭나고 있는 미국 인터넷 방송 산업

     

     

작성자: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박대식

자료원: naver, afreeca 홈페이지, netflix 홈페이지, awesomenesstv 홈페이지, makerstudios 홈페이지, buzzfeed 홈페이지, youtube 홈페이지, Tubefilter, Streemdaily.tv, mt.co.kr, fnnews.com, latimes, vanityfair 및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MCN 산업동향을 통해 보는 한국 문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