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정수기 시장현황
  • 트렌드
  • 중국
  • 정저우무역관
  • 2015-11-13
  • 출처 : KOTRA
Keyword #정수기

 

중국 정수기 시장현황     

 

 

   

□ 시장규모

     

 시장규모

  - 중국의 정수기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8572만 대 생산량을 보이며 매년 판매량이 40% 성장함.

  - 정수기는 가전기업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향후 5년간 1000억 위안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전망임.

  - 현지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의 2012년 판매량은 1500만 대 가량이며, 2013년 판매량은 3010만 대 가량임.

 

    

 

□ 시장 전망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중국은 급속도로 진행되는 도시화와 공업화로 수자원 부족과 수질오염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

  - 물은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맑은 물을 마시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관건이라는 인식이 중국 국민 사이에서 확대되고 있고, 정수기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음.

  - 식수와 관련된 산업은 큰 주목을 받고 그 규모 또한 갈수록 커지는 추세임.

  - 현재 중국 성시의 가정 중 정수기를 갖춘 가구의 비율은 높지 않은 상태이나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관념과 구매의사는 점점 높아지는 추세임. 정수설비 시장은 매년 억 위안 단위의 이윤을 창출함.

  - 중국가전협회가 4개월에 걸쳐 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충칭·항저우·청두·선양 등 1·2선 도시의 수질과 가정용 정수기 보급을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의 50%가 상수도 수질을 의심하고 있으며 60%가 정수기를 사용함.

  - 중국질병예방공제센터 환경건강제품 안전연구소 연구원은 유럽과 미국의 정수기 보급률이 90%가 넘고, 일본도 70%에 달하나 중국은 2%에 불과해 앞으로 시장 발전 여지가 크다고 밝힘.

     

  수요 감소 예상 요인

  - 중국은 정수시설에 대한 시장 진입장벽이 낮고, 산업기준이 미약해 업계 발전을 크게 저해하고 있음.

  - 중국의 정수기 산업은 발전 초기단계로 정수기 제품 간 격차가 크며 A/S도 부족함.

  - 정수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품질이 이를 따라오지 못해 문제가 빈번히 발생함.

  - 천강(陳剛) 중국가전협회 부비서장은 정화(淨化)시장의 잠재력이 매우 큰 반면, 소비자들이 정수기 제품을 잘 알지 못한다고 밝힘.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주요 소비자 계층

  - 주요 소비자 계층은 사무실, 병원, 도서관 등과 같은 공공장소와 중산층 이상의 가정으로, 발전하는 정수기 시장에 따라 그 소비자층도 점차 일반 가정까지 확대될 것이라 예상됨.

     

 소비자 구매 동기

  - 소득의 증가로 생활수준 또한 높아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짐. 이는 수질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로 이어졌고, 이러한 인식 변화로 인해 정수기의 구매가 증가하고 있음.

 

□ 수입동향

     

  개관

  - 2014년 기준으로 한국은 중국의 4위 가정용 정수기 수입대상국이며, 수입규모는 500만 달러 수준임, 이에따른 주요 성장 원인은 수질오염 문제가 종종 불거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중국인들이 건강한 생활을 위한 가전제품 구매 수요 증가에 따른 것임.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중국 정수기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42121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15/14

0

총계

31,141

65,572

65,090

-

-

-

34.7

1

독일

8,276

27,710

33,897

26.6

42.3

52.1

59.9

2

미국

8,746

15,189

13,592

28.1

23.2

20.9

19.9

3

대만

2,059

7,925

4,526

6.6

12.1

7.0

-10.6

4

일본

5,858

6,036

2,908

18.8

9.2

4.5

-33.4

5

한국

3,462

5,028

3,867

11.1

7.7

5.9

-7

6

영국

538

973

827

1.7

1.5

1.3

12.2

7

이탈리아

517

741

1,283

1.6

1.1

2.0

242

8

벨기에

6

391

304

0.01

0.6

0.5

3.9

9

스웨덴

39

312

248

0.01

0.5

0.4

58.5

10

싱가포르

9

247

114

0.01

0.4

0.2

-2.1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 수입 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통관 시 유의사항

  - 통관 시 현지 商檢局罐檢科의 검역 필수

  - 중국 진출 시 반드시 중문 라벨을 상품에 부착해야 함.

  - 라벨 내용에는 상품명, 사용방법 등이 기재돼야 함.

     

  관세율

  - 수입관세: 12%

  - 증치세: 17%

 

  주요 유통채널(온라인 시장, 현지 딜러망, 대형유통업체 등)

  - 주요 유통채널은 대형 전자기기의 대리점 유통망임. 그 외에도 타오바오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 홈쇼핑 등을 통해 유통됨.

     

□ 경쟁동향

     

 경쟁제품

     

제조업체명

브랜드

제품

가격(소비자가격)

원산지(수출국)

메이디청호정수설비

유한공사

美的

1180위안

중국

안지얼그룹

安吉爾

2199위안

중국

취안라이정수설비

유한공사

1127위안

중국

친위안유한공사

 

998위안

중국

자료원: 타오바오, 바이두, 각 그룹 사이트

 

□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보통임. 한국은 수처리 기술 분야의 선진성으로 인해 정수기 전반의 성능이 높은 편으로 알려져 있음. 한국산 정수기는 환경친화적이고, 고도의 정수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 하지만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일반 중국 소비자의 구매력에 부합하도록 가격 조정이 필요함.

 

  선호 브랜드

  -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선호 브랜드는 없지만 중국인들에게 밥솥의 브랜드로 유명한 ‘쿠쿠’가 앞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의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준비 중임. 그 외에도 웅진코웨이, 청호나이스, LG전자 등 수많은 가전기기 업체들이 중국에 진출하고 있음.

  - 또한 환경가전 전문업체인 ‘한일월드’에서는 최근 닝보 지역에 정수기 생산 공장을 완공하고, 독자 정수기 브랜드인 ‘필레오’를 필두로 중국 환경가전 시장을 개척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이처럼 한국의 크고 작은 회사들이 중국 정수기 시장에 뛰어들고 있음.

     

□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2014北京世博威际净水机展,设备

전시회명(한국어)

2014 북경 국제 정수기, 정수 설비 박람회

전시품목

정수기, 살균 정수기. 전기분해정수기 등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중국/북경/매년

규모(참가업체수)

30여 개 이상의 국가의 기업들 참가

개최기간(2014년)

2014년 4월 8~10일

웹사이트

www.bsie.cn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바이어 특성

  - 무리하게 낮은 가격을 요구: 중국산 제품과 비슷한 가격, 또는 더 낮은 가격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음.

  - 독점대리판매권을 달라고 요구: 바이어들은 상담 중에 자기 실력과는 관계없이 무조건 중국 전역 총 대리권 또는 지역 총 대리권 등 독점대리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 제품 성능과 질량보다 외관에 더 관심이 있음: 현지 바이어들은 제품 내용물의 질량보다, 외관상 디자인과 포장을 중요시 여김.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중국의 정수기 시장은 아직 시작단계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함. 고가의 정수기와 중저가의 정수기를 함께 시장에 출시한다면 중산층과 일반 가정 모두 구매 가능할 것임.

  - 아직까지 한국 정수기는 중국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중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 정수기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면서 가격도 저렴하다는 점을 부각시켜 마케팅을 할 필요가 있음.

  - 한국의 정수기 브랜드를 중국인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TV광고나 온라인 광고 등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중국인들의 눈에 띌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KOTRA 정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정수기 시장현황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