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잠비크 농업산업 재개
  • 트렌드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김수형
  • 2015-05-06
  • 출처 : KOTRA

 

모잠비크 농업 산업 재개

- 모잠비크 농업 환경에 알맞은 기술 개발 필요 -

- 바나나, 사탕수수 등 품종개량 통한 수출 확대 -

     

     

 

모잠비크 농업 현황

 

 ○ 모잠비크 전체 인구의 80%가 종사하며 총 GDP 20% 이상을 차지

  - 모잠비크의 긴 국토는 건조하고 메마른 건조성 지역, 강우량이 적고 증발이 심한 반건조성 지역 그리고 습기 지역으로 나뉘며, 기후에 따라 다양한 작물 재배 가능

  - 주 품목인 옥수수, 카사바(Cassava) 외 수수, 기장, 쌀, 콩, 땅콩, 고구마 등의 작물 재배

  - 평균적으로 남부 9월, 북부 12월 첫 비가 내림과 동시에 한해 농사를 시작

     

모잠비크 연평균 기온과 강수량  

자료원: World Bank

     

     

모잠비크 농산물 생산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2012년

2013년

증가율

카사바

4,098

4,303

5.00

옥수수

1,171

1,270

3.10

101

142

39.80

땅콩

85

91

6.7

담배

54

76

40

캐슈넛

65

83

28

수수

21

25

14.3

자료원: 모잠비크통계청

     

모잠비크 주요 수출입 농산물 통계

                        (단위: 천 달러)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옥수수 수입

10,596

32,321

5,621

19,417

37,169

쌀 수입

74,104

135,356

94,476

248,729

187,361

땅콩 수입

487

714

178

735

1,050

수입액 합

85,178

168,391

100,275

268,811

225,580

옥수수 수출

1,122

6,375

1,172

399

13,012

쌀 수출

2,976

1,898

1

122

457

땅콩 수출

10,177

4,383

7,595

15,387

7,957

수출액 합

14,275

12,656

9308

15,908

21,426

자료원: Trade Map     

     

모잠비크 주요 수입 채소 통계

                        (단위: 천 달러)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토마토

2,948

1,770

1,605

2,143

2,834

양파

1,397

3,469

5,032

6,743

8,051

감자

2,974

3,913

5,137

6,660

7,479

상추

175

120

139

276

421

당근

85

261

345

562

586

오이

11

18

32

66

97

합계

7,590

9,551

12,290

16,450

19,468

자료원: Trade Map      

     

 ○ 국내 수요 위해 수입량 꾸준히 증가

  - 모잠비크인들의 주식은 카사바·옥수수·쌀이 대표적이며, 카사바는 국내 생산량으로 수요 충족이 가능하지만 옥수수와 쌀은 꾸준히 수입 중

  - 주요 수입 농산물인 쌀의 총 수입액은 18억 달러로 2013년 대비 25% 감소했지만 국내 수요를 위한 생산량 부족으로 태국(55%), 파키스탄(13%), 인도(11%)로부터 꾸준히 수입 중

  - 2013년 대비 2014년 옥수수 총 수입량은 2배 이상 증가했으며, 85% 이상을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수입

  - 토마토, 양파, 감자 등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의 채소 수입이 2010년 이후 평균 연간 25%씩 꾸준히 증가

        

 ○ 농업 기술 개발, 농업 정책 및 농산물 유통 인프라 부족으로 농업 산업 부진

  - 현재 모잠비크에서 이용 중인 경작지는 전체 경작지의 10% 수준인 것으로 추측되며 농업 종사자의 97%는 기자재(트랙터, 비료,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음.

  - 또한 정부의 신품종 개발, 개량 종자 보급화 및 기자재 지원 정책 부진으로 면적 대비 수확량 적음.

  - 강수량이 풍부하며 비옥한 중·북부 지방의 소농들은 생산품 판매를 위한 시장 접근이 어려워 자급을 위한 옥수수, 카사바 등의 동일 품목에 집중

  - 관개 시설의 부재로 대부분의 농작물은 비에 의해서만 수분을 공급받기 때문에 날씨가 모잠비크 농산물 생산량의 주요 결정 요인

     

 ○ 모잠비크 맞춤형 농업 개발 시도 필요

  - 모잠비크 중·북부는 빈번히 홍수가 발생하지만 농업에 알맞은 토질과 기후로 높은 농업 잠재력 보유     

  - 모잠비크 신 정부는 민간기업 지원과 협력을 통한 모잠비크 농산물의 경쟁력 및 생산성 강화 방법 모색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

  - 효율적인 경작을 위한 공동작업, 시장 접근성과 안전한 신용 거래 시스템 마련, 체계적이고 다양한 작물 생산을 위한 시스템 개발 필요

 

□ 쇠퇴한 농업 산업 재개 위한 복구 시도

     

 ○ 세계 캐슈넛 생산량의 50%를 차지했던 모잠비크는 내전 이후 공장 국유화 및 부적절한 농장 관리로 캐시넛 산업 하락

  - 현재 정부 재정 지원 및 기계화 공정 도입으로 캐시넛 산업 복구 시도, 현재 20여 개의 업체가 남풀라 주를 중심으로 자체 브랜드 잠비크를 개발, 철저한 품질 관리 및 운송망으로 전 세계 바이어들과 다년 공급 계약 체결 성공

     

 ○ 모잠비크 해안가를 따라 위치한 코코넛 농장들은 내전 이후 교통 인프라, 처리시설 및 장기간의 농장 관리 부족으로 대부분 방치

  - 2007년 짐바브웨 Rift Valley Holding사가 코코넛 품종 교체 작업과 함께 코코넛 가공 및 착유 공장을 켈리마니(Quelemane)주에 설립함. 코코넛 가공·코코넛 부산물 가공·목재 가공업을 진행 중이며 몇몇 소기업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최고 품질의 유기농 코코넛 오일 생산 시작

     

□ 모잠비크 맞춤 품종개량 및 생산설비 구축을 통한 성공사례 등장

     

 ○ 모잠비크 연간 바나나 수출액 7000만 달러 기록

  - 저지대 댐, 강, 저수지 근처에 바나나 및 과일 농장이 들어서고 있으며, 최근 바나나의 품종개량 및 대량 생산을 통해 아프리카 3대 바나나 생산국으로 진입

  - 주 수출국은 에콰도르, 벨기에, 필리핀, 미국 등이며 최근 포르투갈과 영국 등 유럽으로 수출시장 확대

  - 성공적인 바나나 품종개량으로 인한 질 좋은 바나나 생산이 수출액 증대의 핵심

  - 마푸투 인근 보아니의 벨루지 바나나(Beluzzi Banana)는 림포포 댐 근처 대량 농장을 운영하는 회사로, 2014년 1000만 달러 규모 120만 상자의 바나나를 남아공으로 수출

  - 남풀라 주에 위치한 마타누스카는 1400㏊의 농장에서 유럽, 아시아 등으로 과일을 수출하는 회사로 최근 다국적 기업 Dole과 바나나 생산 증대를 위한 협력 체결

     

 ○ 모잠비크 사탕수수 생산 매년 평균 9% 증가

  - 1992년부터 시작된 모잠비크 사탕수수 재배의 2014년 규모는 4만4000㏊이며 2015년 4만8000㏊에 다를 것으로 전망

  - 국제 설탕 소비량 증가 및 모잠비크 국내 소비량 증가로 2014년 사탕수수 수확량 54만7000톤 대부분이 설탕 제조를 위해 소비

  - 현재 사탕수수 재배 및 설탕을 제조회사는 마라그라(Maragra), 시나바니(Xinavane), 마로메우(Marromeu), 마팜비시(Mafambisse)임.

  - 남아공 Illovo Sugar와 Tongaat hulett가 모잠비크 설탕 제조업에 진출, 프랑스 Tereos and Mauritian Suga도 진출 준비 중. 남아공 TSB사는 가자주 대형 사탕수수 농장 형성 중

  - 모잠비크에서 생산 된 사탕수수는 브라질과 같은 질의 설탕 제조가 가능하며, 연 설탕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에 따라 사탕수수 관련 외국인 투자 규모 성장 중

     

 ○ 소농들과 협력한 네덜란드농업개발무역회사 DADTCO

  - 네덜란드농업개발무역회사 닷코(DADTCO)는 이냠바니(In㏊nbane)주 모룸베니(Morrumbene) 지역에서 카사바(Cassava)를 재배 및 구매하여 카사바 빵, 분말, 맥주를 생산

  - 2010년부터 생계형 소농들에게 카사바 생산기술 전수 및 개량 품종 분배를 통한 공동 협력 프로젝트 개발. 모잠비크 내 가장 성공적인 농업 협력 사업으로 성장

  - 모잠비크맥주회(Cerveja de Mocambique)와 협력으로 생산되는 모잠비크 맥주 브랜드 Impala(임팔라)는 현재 시장 점유율이 10%에 이르며, 판매 증가로 인한 수요 보충을 위해 네더란드 세계비료개발기구(IFDO)와 대량 생산을 위한 민간협력 사업 추진

 

시사점

 

  모잠비크 내 농업 종사자들은 정책 및 인프라 부족으로 충분한 면적의 토지, 강수량, 토질 활용 불가

 

  모잠비크 정부는 농업 투자 개발사에 10~15%의 농기계 관세 환불, 토지 임대료 감면(최소 1년 임대료 1달러),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신 정부는 농업 산업 증진 장려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추가 혜택 계획 중

 

  CPI(모잠비크투자청)은 쌀 농업 개발 프로젝트, 사탕수수 프로젝트, 캐슈넛 프로젝트, 열대 과일 프로젝트, 레몬 프로젝트, 바이오에탄올 프로젝트 등 투자 개발 사 모집 중

 

  쌀 생산량이 증가하고 2014년 총 쌀 수입액은 1억8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30% 감소. 일본과 중국이 밭벼 농사가 이뤄지는 중·북부 Beira, Zambezi 및 Nacala 지역에 자국 수출용 쌀 품종 개발을 시도, 한국 기업의 관심 필요

 

  기존 재배 경작지의 90% 이상이 비료,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아 한국 기업의 품종개량 및 상품화를 통한 대량 친환경 재배 프로젝트 가능

     

     

자료원: BMI, O Pais, An Enterprise Map of Mozambique 등 KOTRA 마푸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잠비크 농업산업 재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