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모잠비크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문진욱
  • 2021-11-08
  • 출처 : KOTRA

- 모잠비크는 1, 3차 비중이 70% 이상으로 높고 제조업 기반이 아주 열악한 상황 -

-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 천연가스 개발 등에 따른 산업화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준비 필요 -

 



산업구조

 

모잠비크는 1, 2차 그리고 3차로 산업을 분류한다. 1차 산업은 농업, 목축, 수산업, 벌목, 광산업 등이다. 2차 산업은 제조업, 전기, 가스, 수도, 건설업 등이다. 3차 산업은 유통업, 숙박 및 요식업, 교통, 정보통신, 각종 서비스업 등이다.

 

모잠비크 산업 분류

산업

세부 산업

1

농업, 수산업, 임업, 축산업, 수렵, 벌목, 광산업

2

제조업, 전기, 가스, 수도, 건설업

3

유통업, 숙박 및 요식업, 교통, 정보통신, 금융서비스, 부동산, 공공행정, 교육, 보건, 기타서비스

자료 : 모잠비크 통계청(INE)

 

모잠비크 20211분기 GDP를 기준으로 1차 산업 비중은 29.4%, 2차 산업 비중은 12.3%, 3차 산업의 비중은 44.1%이다. 최근 5년 통계를 보더라도 비슷한 수준으로 1, 3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0%가 넘는다. 반대로 2차 산업은 12.3%에 불과한데 이는 모잠비크 현지에 제조업 기반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산업동향

 

2017~2021년 모잠비크 GDP에서 산업별 비중

(단위 : %)

산업

세부산업

’17

’18

’19

’20

’21(1분기)

1

농림축산업

21.8

21.7

21.5

22.5

23.5

수산업

1.5

1.4

1.5

1.5

1.2

광산업

6.9

7.4

7.1

6.1

4.7

소계

30.2

30.5

30.1

30.1

29.4

2

제조업

8.0

7.9

7.8

7.8

8.4

전기수도

2.9

2.7

2.6

2.8

2.5

건설업

1.8

1.7

1.7

1.7

1.4

소계

12.7

12.3

12.1

12.3

12.3

3

유통업

9.7

9.6

9.4

9.3

10.3

교통통신

10.1

10.3

10.5

10.4

9.2

숙박요식업

1.8

1.9

1.9

1.5

1.4

금융서비스

5.2

5.2

5.3

5.3

6.0

부동산

4.9

4.9

5.0

5.1

5.0

공공행정

6.5

6.4

6.5

6.2

3.5

교육

6.1

6.0

5.9

5.9

6.1

보건

1.5

1.5

1.5

1.7

1.8

기타 서비스

0.8

0.8

0.8

0.8

0.8

소계

46.6

46.6

46.8

46.2

44.1

중간 합계

89.5

89.4

89.0

88.6

85.9

세금

10.5

10.6

11.0

11.4

14.1

최종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모잠비크 통계청(INE)

 

모잠비크 전체 GDP20211분기 0.12% 성장률을 보였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1차 산업이 0.25% 성장했다. 그러나 2차 산업은 3.05%, 3차 산업도 1.11% 감소했다. 1차 산업을 제외한 2, 3차 산업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코로나19에 따른 국가비상사태 지속과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각종 방역 조치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모잠비크 경제에서 비중이 높은 1차 산업의 증가율이 낮은 것은 주요 분야인 광산업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20211분기 광산업은 전년 같은 분기에 비해 18.02% 감소했다. 반면, 농림축산업이 4.84%, 수산업이 1.26% 증가해 전체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면할 수 있었다.

   

2차 산업은 세부 사업이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건설업이 8.41%로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제조업과 전기수도 분야가 2.33%, 2.21% 각각 감소했다. 3차 산업은 금융업이 2.27% 성장을 보였다. 그렇지만 숙박 및 요식업이 15.13% 감소했다. 교통통신도 9.62% 감소했다.


20211분기 모잠비크 주요 산업별 성장률

                                                                                                (단위: %)

자료: 모잠비크 통계청(INE)

 

모잠비크 산업발전의 구조적 제약 요인

 

모잠비크는 성장 잠재력에 비해 아직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중요하게 뽑히는 이유는 경제 주체인 기업이 아직 적고 분야도 아직 다양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1, 3차 산업 비중이 높고 제조 산업이 부족해 남아공, 중국 등에서 공산품은 주로 수입하고 있다. 또한, 낙후된 인프라와 같이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제약 요인들도 적지 않다. 아래 6가지 요인들은 모잠비크 기업들이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꼽는 것들이다.

 

1) 영세한 기업 규모

 

모잠비크의 기업 대부분은 영세 중소기업으로 코로나19와 같이 갑작스러운 리스크에 취약하다. 반면, 대외 변수에 견디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대기업은 적다.

 

참고로 모잠비크에서는 기업 규모를 매출액과 종업원 수로 구분한다. 2011년부터 모잠비크 정부는 극소기업(Micro-company), 소기업(Small-company), 중기업(Medium-company) 그리고 대기업(Large- company)으로 구분해왔다.

 

모잠비크 기업 규모 분류

구분

종업원수

매출액

극소기업(Micro-company)

1-4

< USD 20,000

소기업(Small Company)

5-9

USD 20,000 USD 245,000

중기업(Medium-sized Company)

10 - 99

USD 245,000 USD 495,833

자료: 모잠비크 산업통상부(2020)

 

모잠비크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모잠비크에는 총 5만1503개 기업이 비즈니스 활동을 하고 있다. 이들 중 39.5%가 극소기업으로 종업원 수가 1~4명이다. 그리고 53.5%가 소기업인데 종업원 수가 5~9명에 불과하다. 종업원 수 10명 미만, 연간 매출액이 25만 달러 미만인 기업이 전체의 93%에 육박한 것이다.

 

반면 10명에서 99명까지로 분류되는 중기업은 전체의 3.9%, 100명 이상에 연 매출액 50만 달러 이상인 대기업은 전체의 2.9%이다. 모잠비크에서 대기업은 기업 수로는 전체의 2.9%이지만 매출액으로는 전체의 76.6%를 차지한다. 그만큼 극소기업, 소기업, 중기업은 영세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모잠비크의 규모별 기업수 및 매출액 현황

(단위: %)

구분

기업수

매출액

기업수

비중

금액

비중

극소기업(Micro-company)

20,312

39.5

89

0.7

소기업(Small Company)

27,426

53.5

2,504

18.6

중기업(Medium-sized Company)

1,996

3.9

554

4.1

대기업(Large Company)

1,503

2.9

10,296

76.6

합계

51,237

100

13,443

100.0

자료: 모잠비크 산업통상부(2020)


2) 사회인프라 부족

 

모잠비크는 전력, 통신, 교통 등 기본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못하다. 참고로 2020년 기준 전력 보급률은 33% 수준에 불과하다. 오늘날 물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지만 모잠비크의 도로 포장률은 30%가 되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제조업 분야 기업들은 불안정한 전기 공급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류 기반이 열악해 원자재 등 상품 운송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가격도 비싸서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3) 자금조달의 애로

 

금융시장이 발전하지 못한데다 이자율도 높다. 모잠비크 정부는 20219월 기준 기준금리를 18.9%로 인상한 상태이다. 자국 산업체에 대한 특혜 여신제도 등도 없어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지 은행 등에 따르면 전체 중에서 5% 기업들만이 은행을 통해서 자금조달이 가능하다고 한다. 국가신용도가 낮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싶지 않다. 동시에 모잠비크의 토지는 전부 국가 소유이다. 그래서 기업들은 토지 사용료까지 고려해야 한다.

 

4) 숙련 노동력의 부족

 

모잠비크는 전체적으로 노동력 자체는 풍부하다. 실업률도 높은 편이고 젊은 층의 비중이 높다. 그리고 아직 도시화가 많이 진행되지 않아 농어촌에서 유입될 수 있는 잠재 노동력도 풍부하다. 그렇지만 각 산업 분야별로 체계적으로 육성된 노동력은 부족하다. 특히 분야별 전문 기술자가 부족하다. 아직 육성 인프라도 열악하여 기업들 입장에선 이들을 고용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제조업, 광산업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는 크다. 해당 모잠비크 기업들은 부족한 숙련공을 외국에서 데려오는 것에 대한 규제 완화를 지속 요구하고 있다.

 

5) 세제 및 관세 혜택 부족

 

모잠비크 정부도 산업자유지역(ZFI), 특별경제구역(SEZ)를 운영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기업 활동 촉진하기 위한 세제 혜택은 부족하다. 참고로 모잠비크 부가가치세(VAT)17%이다. 각종 설비와 원부자재를 수입할 때 관세 혜택은 있긴 하다. 그렇지만 통관 시스템도 낙후돼 있고, 각종 애로 사항이 많아 기업들의 어려움이 많다. 현재까지 있는 인센티브도 주로 대규모 프로젝트에 집중돼 있다. 그렇다보니 가스개발, 광산개발 등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 외에 다른 제조업 분야까지 외부로부터의 경제활동의 유입이 많지는 않다.

 

6) 원부자재 부족

 

모잠비크에서 사용되는 대부분 원부자재는 해외에서 수입된다. 플라스틱 원자재 등은 상당부분이 인접한 남아공에서 수입이 된다. 이처럼 각종 원부자재가 현지에서 생산되지 못하다 보니 비효율적이고, 현지에서 제조업이 발달하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모잠비크 정부의 산업 육성 정책

 

모잠비크 정부도 2016산업육성 10개년 계획(2016~2025)’을 발표하는 등 경제발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제개발의 목적은 인적자원 개발, 기술 발전, 산업생산성 향상, 경제통합 등을 통해 글로벌 산업경쟁력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또한, 노동집약적 산업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중소기업을 육성해 일자리 창출을 확대코자 한다. 그동안의 광물, 석탄 등 천연자원뿐만 아니라 제조업으로까지 수출품을 확대하는 것도 추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북부지역의 천연가스 개발이라는 호재와 연계하여 다운스트림(Downstream) 분야의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코자 한다.

 

이를 위해 모잠비크 정부는 농식품, 섬유, 비금속광물, 금속, 목재가공, 화학, 제지/인쇄의 분야를 7대 육성산업으로 선정했다. 이러한 분야들이 사회 인프라 확충,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등과 연계되어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것을 추진하는 것이다.

 

전략적 투자 분야별 주요 추진 정책

연번

전략적 투자분야

주요 추진정책

1

사회인프라 확충

산업특구(Industrial Park) 조성 프로젝트 통합

회랑개발(Corridor Development) 정책 통합

교통시스템 정책 통합

산업자유지역(Industrial Free Zone) 정책 통합

2

인적자원 개발

기능인력 교육훈련 촉진

전문인력 육성 프로그램 통합

인적자원개발기금(Human Capital Development Fund) 조성

국내외 우수인재 발굴 및 유치 강화

3

국내산업 보호

기업들의 품질경영 및 인증 취득 지원

로컬콘텐츠(Local Contents) 사용 확대

국내기업들의 공공 프로젝트 참여 확대

4

금융시장 개선

국영투자은행(National Investment Bank) 설립

국내산업 대상 신용공여(Credit Line) 확대

시중은행들과의 협력 확대

5

기업 간 협력 강화

국내기업 맵핑(Mapping) 및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창업지원 확대

시장개척 지원

6

투자 인센티브 확대

새로운 생산기술 이용 지원 강화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개별 투자 인센티브 개발

7

혁신 및 기술 개발

기술개발 연구소 설립

신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 간 기술교류 지원

중소기업 대상 기술 개발 지원 강화

8

정책 역량 강화

산업정책 관련 부서 개혁 및 정책훈련 확대

중소기업 진흥기관 구조조정

산업정책분야 정책조정 기구 신설

민관협력 정책조정 시스템 구축

자료: Industrial Policy and Strategy 2016~2025

 

또한, 2021년 모잠비크 펠리페 뉴지 대통령은 모잠비크 산업화 프로그램을 추가로 발표했다. 기존 모잠비크의 5개년 경제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모잠비크산 원자재 생산 확대로 제조업 확대를 촉진하고, 젊은 층과 여성들을 위한 일자리를 더 많이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 계획은 인프라 건설, 비즈니스 환경 개선, 공공분야 투자 확대와 금융지원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모잠비크 정부는 매년 주요 분야별로 매년 1억 달러씩, 2031년까지 총 10억 달러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사점


모잠비크의 산업구조 재편 정책은 세계적인 제조업 경쟁력을 갖춘 우리 기업들에게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모잠비크 정부가 중점 육성하고 있는 7대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북부지역 천연가스 개발과 연계된 석유화학, 플랜트, 발전 등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모잠비크와 깊은 협력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모잠비크 진출의 어려움도 미리 파악하여 대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모잠비크는 3000만 명이 넘는 인구로 인해 젊은 층이 많아 노동력이 아주 풍부하다. 그렇지만 제조업 등에서 숙련된 노동력이 부족하고, 제조업에 사용되는 원부자재도 대부분 수입하고 있다. 그래서 모잠비크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당 부분의 자재, 설비 등이 외부에서 가져와야 한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이 향후 모잠비크의 기회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취약 요소 들도 미리 알고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각 산업별로 모잠비크 현황을 잘 파악하고 관련된 현지 기업들과 현지 협력 관계를 구축하면서 차근히 진출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 모잠비크 산업통상자원부, APIEX, KOTRA 마푸투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모잠비크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